2025.3.19.수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2사무7,4-5ㄴ.12-14ㄱ.16 로마4,14.16-18.22 마태1,16-21.24ㄱ

 

 

참 좋은 배경의 사람, 성 요셉

“기도, 자비, 믿음”

 

 

“보라, 주님은 당신 가족을 맡길

 충실하고 슬기로운 종을 세우셨다.”(루카12,42)

 

입당송 말씀이 그대로 성 요셉을 지칭하는 듯 합니다. 요셉수도원의 참 좋은 배경인 불암산을 볼때마다 떠오르는 '산처럼' 이란 시가 생각납니다. 마치 성가정의 참 좋은 배경인 성 요셉을 연상케하는 불암산입니다. 25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잊지 못하는 제 소망이 담긴 시입니다.

 

“언제나

 늘 그 자리에 머물러

 가슴 활짝 열고 

 모두를 반가이 맞이하는

 아버지 산앞에 서면

 저절로 경건 겸허해져

 모자를 벗는다

 

 있음자체만으로

 넉넉하고 편안한 산의 품으로 살 수는 없을까

 바라보고 지켜보는 사랑만으로

 늘 행복할 수는 없을까

 산처럼!”<2000.11.17.>

 

또 하나 생각나는 불암산 시입니다.

 

“아 

 크다 

 깊다 

 고요하다

 저녁 불암산!”<2005.3. >

 

때로 큰 믿음, 깊은 겸손, 고요한 마음의 성 요셉을 연상케 하는 불암산입니다. 이런 산같은 어른이, 성가정의 참 좋은 배경이 바로 성 요셉이요, 이런 든든한 배경의 어른이 되어 노년인생을 살고 싶음은 누구나의 소망일 것입니다. 오늘 옛 현자의 지혜도 좋은 경각심을 줍니다.

 

“신뢰는 십년에 걸쳐 쌓이고, 하루만에 무너진다. 명성을 드높이는 것은 많은 사람이지만 몰락시키는 것은 단 한 사람이다.”<다산>

“명문가가 되기는 하늘을 오르는 것처럼 어렵고, 몰락하기는 털을 태우는 것처럼 쉽다.”<유씨가훈>

 

쌓기는 평생이지만 무너지기는 순간입니다. 잃어버린 신뢰의 회복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매사 신중하고 조심하고 겸손하라는 가르침입니다. 아마도 성 요셉의 평생 삶이 그러했을 것입니다. 살아있는 동안 늘 경계하며 살라는 것입니다. 제 형님이 준 “정직, 효도, 우애”라는 가훈대로 화목하게 살아가는 삼형제의 조카들도 생각납니다. 오늘 참 좋은 배경의 성 요셉의 덕을 세 측면에 걸쳐 나누고 싶습니다. 

 

첫째, 성 요셉은 “기도의 사람”이었습니다.

기도할 때 큰 산같은 사람이 됩니다. 아브라함을 연상케 하는 성요셉입니다. 기도와 함께 가는 희망입니다. 아브라함은 희망이 없어도 희망하며 끝까지 주님을 믿었습니다. 희망이 없어도 희망하며 한결같이 살아간 기도의 사람, 성 요셉입니다. 기도의 사람은 침묵의 사람이자 경청의 사람입니다. 

 

오늘 복음은 온통 성 요셉의 침묵과 경청의 분위기입니다. 깊은 기도중 꿈에 나타난 주님의 천사입니다. 주님의 성 요셉에 대한 신뢰가 얼마나 깊은지 주님은 당신 천사를 통해 속내의 비밀을 다 밝히십니다. 아마도 성 요셉은 평생 이 말씀을 명심하여 마리아를 보호하고 예수님을 키우는데 전심전력을 다했을 것입니다.

 

“다윗의 자손 요셉아, 두려워하지 말고 마리아늘 아내로 맞아들여라. 그 몸에 잉태한 아기는 성령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마리아가 아들을 낳으리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여라. 그분께서 당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실 것이다.”

 

둘째, 성 요셉은 “자비의 사람”이었습니다.

자비할 때 깊은 산같은 사람이 됩니다. 한결같이, 끊임없이 바치는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와 더불어 자비한 사람이 됩니다. 자비와 함께 가는 삶의 깊이입니다. 자비하기가 생명의 땅을, 생명을 바다를 닮은 성 요셉입니다. 며칠전 산책중 써놓은 글입니다.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이 뿌리 내린

생명의 땅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을 품에 안은

생명의 바다

 

같은

하느님이

하느님 자비가 되고 싶다”<2025.3.15.>

 

요셉의 하느님 같은 자비심은 약혼자 마리아가 혼전에 잉태한 사실이 드러났을 때 그의 지혜로운 처신에서 잘 드러납니다. 자신보다는 마리아의 안위를 배려한 자비의 사람, 존엄한 품위의 의로운 사람, 성 요셉이요 다음 대목이 생생한 증거입니다. 

 

“마리아의 남편 요셉은 의로운 사람이었고, 또 마리아의 일을 세상에 드러내고 싶지 않았으므로, 남모르게 마리아와 파혼하기로 작정하였다.”

 

셋째, 성 요셉은 “믿음의 사람”이었습니다.

내적고요는 믿음의 반영입니다. 고요한 물은 깊이 흐르고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아, 참 크고 깊고 고요한, 참 아름답고 매력적인 성 요셉입니다. 역시 아브라함이 보여준 믿음에 따라 살았던 성요셉입니다. 참으로 기도와 함께가는 자비의 삶, 믿음의 삶임을 깨닫습니다. 

 

‘잠에서 깨어난 요셉은 주님의 천사가 명령한 대로 하였다.’

 

흡사 성 요셉의 참 좋은 선물인 태몽같습니다. 예전엔 좋은 태몽도 많았는데 요즘은 태몽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습니다. 성 요셉의 지체없는 순종이 멋지고 아름답습니다. 사람은 물론 하느님을 감동시키는 믿음입니다. 요셉의 순종의 믿음에 하느님의 기쁨과 고마움도 참으로 컸을 것입니다. 다음 사무엘 하권의 말씀은 성 요셉과 예수님은 물론 믿음 좋은 우리를 통해 실현된 축복처럼 들립니다.

 

“나는 그의 아버지가 되고 그는 나의 자녀가 될 것이다. 너의 집안과 나라가 네 앞에서 영원히 굳건해지고, 네 왕좌가 영원히 튼튼하게 될 것이다.”

 

믿음은 순종의 삶을 통해 검증되고 입증됩니다. 크고 작은 순종이 일상화될 때 마지막 순종의 죽음도 반가이 기쁘게 맞이할 수 있습니다. 우리 삶은 믿음의 여정, 순종의 여정입니다. 주님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주님과 함께 공동체의 참 좋은 배경인 기도의 사람, 자비의 사람, 믿음의 사람이 되어, 또 주님의 착하고 성실한 종이 되어 살게 하십니다.

 

“잘하였다, 착하고 성실한 종아!

 와서 네 주님과 함께 기쁨을 나누어라.”(마태25,21).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41 하느님 중심의 삶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뿐이다”2025.3.20. 사순 제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5.03.20 126
» 참 좋은 배경의 사람, 성 요셉 “기도, 자비, 믿음”2025.3.19.수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5.03.19 127
3739 참된 리더십, 참된 영성 “경청, 회개, 섬김”2025.3.18.사순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5.03.18 113
3738 하닮의 여정 “대자대비大慈大悲, 자비하신 하느님 아버지”2025.3.17.사순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5.03.17 128
3737 변모의 여정 “파스카의 주님과 늘 함께 하는 삶”2025.3.16.사순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25.03.16 143
3736 명품인생(2) “원수를 사랑하여라”2025.3.15.사순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5.03.15 122
3735 명품 인생 <사랑-회개-겸손-지혜> “하느님의 사랑을 영원토록 노래하리라”2025.3.14.사순 제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5.03.14 129
3734 믿음의 여정 “기도와 함께 가는 믿음”2025.3.13.사순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5.03.13 123
3733 회개의 여정 “무지의 병病에 대한 약藥은 회개뿐이다” 2025.3.12.사순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5.03.12 128
3732 주님의 기도 “100% 선의의 협조(노력)를 다해야 하는 기도” 2025.3.11.사순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5.03.11 117
3731 최후 심판의 잣대 “사랑”2025.3.10.사순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5.03.10 117
3730 영적 전쟁 “영적 승리의 삶”2025.3.9.사순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25.03.09 132
3729 더불어(together) 추종의 여정 “부르심과 응답”2025.3.8.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5.03.08 119
3728 주님이 좋아하시고 원하시는 “참된 단식”2025.3.7.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5.03.07 117
3727 행복은 선택 “오늘 늘 새로운 시작입니다”2025.3.6.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5.03.06 130
3726 사순절동안 해야 할 일 “회개, 화해, 재계”2025.3.5.재의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5.03.05 125
3725 주님과 일치의 여정중인 교회 공동체 “따름과 보상, 전례와 삶”2025.3.4.연중 제8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5.03.04 130
3724 회개의 여정 “회개와 하느님의 나라”2025.3.3.연중 제8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5.03.03 119
3723 마음의 곳간을 잘 관리하기 “주님을 사랑하라”2025.3.2.연중 제8주일 프란치스코 2025.03.02 120
3722 인간이란 무엇인가? “하느님의 모상, 하느님의 성사”2025.3.1.연중 제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5.03.01 1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0 Next
/ 190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