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9. 연중 제4주간 월요일                                                                 2사무15,13-14.30;16,5-13ㄱ 마르5,1-20



삶의 중심中心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



평범해 보이나 가장 중요한 말마디가 중심입니다. ‘중심이 없다’, ‘중심이 약하다’, ‘중심을 잃다’, ‘중심을 잡다’ 등 자주 듣는 말마디입니다. 사제생활 초기부터 강론에 자주 등장한 주제 역시 중심입니다. 삶의 어려움이나 비극은 대부분 삶의 중심을 잃음에서 기인합니다.


국어사전에서 중심의 뜻을 찾아 봤습니다. ‘1.사물의 한가운데가 되는 곳, 2.매우 중요한 기본이 되는 부분, 3.주관이나 줏대’ 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삶의 중심은 ‘그리스도’ 또는 ‘하느님’이라 고백합니다. 요즘 많이 보급된 향심기도(centering prayer) 역시 하느님 중심을 향하는 기도라는 뜻입니다.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라는 바오로의 고백은 제 사제서품 25주년 은경축 상본의 성구이자 제 좌우명이기도 합니다. 바로 그리스도가 제 삶의 중심이라는 고백입니다. 이 성구를 잊지 못함은 제 동창 사제의 고백 때문입니다. 


“성소가 흔들릴 때마다 이 성구를 생각하고 짐을 풀었습니다. ‘그리스도’대신 다른 말마디, ‘여자’ ‘돈’ ‘지위’ ‘명예’ 등 무슨 말을 넣어도 마음이 허전했습니다. ‘그리스도’를 넣어야 마음이 꽉 차는 느낌에 편안했습니다. 하여 서품 제의도 이 성구를 디자인한 무늬를 넣었습니다.”


수십년이 지났어도 생생히 기억하는 강론에도 수차례 인용했던 예화입니다. 오늘 복음의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과 제1독서 사무엘 하권의 ‘다윗’이 좋은 대조를 이룹니다. 전자는 중심을 잃은 사람이고 후자 다윗은 중심이 확고한 사람입니다.


중심을 잃었을 때 누구나의 가능성이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입니다. ‘그리스도 예수님’이 있어야 할 중심에 더러운 영이 자리 잡았을 때 비참한 내적분열의 인간으로의 전락轉落입니다. ‘미쳤다’는 것은 완전히 중심을 잃었다는 뜻입니다. 중심이신 그리스도를 잃는 것은 동시에 참나를 잃는 것을 뜻합니다. 급기야 사람에서 괴물怪物이나 폐인廢人으로의 전락입니다.


중심을 잃었을 때 더러운 영이 들려 고립단절의 삶이요, 또 고립단절의 삶이 중심을 잃게 합니다. 더러운 영이 상징하는 바 소외로 인한 우울증, 치매등 온갖 정신질환입니다. 마을이, 가족이 사라지는 세태에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추세일수록 삶의 중심을 잡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그는 무덤에서 살았는데, 어느 누구도 더 이상 그를 묶어 둘 수가 없었다. 이미 여러 번 족쇄와 쇠사슬로 묶어 두었으나, 그는 쇠사슬도 끊고 족쇄도 부수어 버려 아무도 그를 휘어잡을 수 없었다. 그는 밤낮으로 무덤과 산에서 소리를 지르고 돌로 제 몸을 치곤 하였다.”


바로 이게 지옥입니다. 고립단절되었을 때 인간 누구나의 가능성입니다. 중심을 잃어 미쳤을 때 괴물怪力의 괴물怪物로 전락한 인간의 모습입니다. 참 사람으로 산다는 것은 얼마나 지난한 수행을 필요로 하는지요! 마침내 삶의 중심이신 주님을 만나 중심을 회복함으로 제정신으로 돌아가 복음선포자가 된 더러운 영이 들린 사람입니다. 


“집으로 가족들에게 돌아가, 주님께서 너에게 해주신 일과 자비를 베풀어 주신 일을 모두 알려라.”


더러운 영의 중심 자리에 주님이 자리잡음으로, ‘괴물’에서 ‘사람’으로 돌아 와 회복된 관계속에서 복음 선포자의 정상인으로 살게 된 더러운 영이 들렸던 사람입니다. 


치유보다는 예방이 백배 낫습니다. 평소 삶의 중심이신 주님을 늘 확인하고 날로 신망애信望愛 관계를 깊이하는 것이 유비무환의 지혜입니다. 이래야 더러운 영의 유혹에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 누구 그 무엇도, 아무리 사랑스런 반려견, 반려식물도 삶의 중심이신 주님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제1독서에서 반란자 아들 압살롬을 피해 달아나는 다윗의 처지는 얼마나 비참한지요!


‘다윗은 올리브 고개를 오르며 울었다. 그는 머리를 가리고 맨발로 걸었다. 그와 함께 있던 이들도 모두 제 머리를 가리고 울면서 계속 올라갔다.’


죄는 용서받았지만 죄에 대한 보속으로 고난의 행군이 시작된 다윗의 처지가 불행의 극치입니다. 이런 고난의 수행을 통해 비우고 비워져 겸손을 배우는 다윗입니다. 이런 비참한 극한 상황의 시련 중에서도 다윗이 더러운 영이 들려 미치지 않을 수 있었음은 확고한 하느님 중심 때문이었습니다. 사울 집안의 친척 가운데 한 사람인 시므이의 저주에 대한 다윗의 대응에서 그의 하느님 중심의 확고한 믿음이 잘 드러납니다.


“내 배 속에서 나온 자식도 내 목숨을 노리는 데, 하물며 이 벤야민 사람이야 오죽 하겠소? 주님께서 그에게 명령하신 것이니 저주하게 내버려 두시오. 행여 주님께서 나의 불행을 보시고, 오늘 내리시는 저주를 선으로 갚아 주실지 누가 알겠소.”


이런 극한적 수모의 상황 속에서 다윗의 무한한 인내와 여유와 낙관, 모두가 하느님 중심의 확고한 믿음에서 기인함을 깨닫습니다. 이런 하느님 중심의 확고한 믿음이 있었기에 다윗은 이런 극한 상황의 고난을 겸손과 믿음의 수련으로 삼아 잘 통과했습니다. 


호랑이 한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했습니다. 어떤 상황속에서도 중심만 잃지 않으면 삽니다. 더러운 영도 침입하지 못합니다. 늘 그리스도가, 하느님이 삶의 중심이 될 때, 공동체는 물론 각자는 내적일치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평생 끊임없이 정성껏 바치는 미사와 시편공동전례기도는 ‘일치의 중심’이신 주님과의 신망애 관계를 깊이하는 참 고마운 수행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안팎의 더러운 모든 영들을 몰아내시고 당신 중심의 내적일치의 참 사람, 하느님의 자녀로 살게 하십니다. 아멘.


  • ?
    안젤로 2018.01.29 11:30
    항구한 믿음만이 우리 삶에 중시을 주님으로 할 수있습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31 "어떻게 살아야 하나?" -하느님의 감동, 영적전쟁의 승리-2018.6.13. 수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6.13 316
3130 “너는 나의 종, 너에게서 내 영광이 드러나리라.”-2016.3.22. 성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3.22 316
3129 하느님은 우리 삶의 중심이시다 -하느님 찬미의 축복-2016.2.5. 금요일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2.05 316
3128 하느님이 울고 계십니다-2015.9.30. 수요일 성 예로니모 사제 학자(347-42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9.30 316
3127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예수님을 따라 “해맞이꽃 사랑”으로-2023.8.11.금요일 성녀 클라라 동정(1194-125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8.11 315
3126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아버지 농부農夫처럼 희망, 사랑, 믿음으로-2023.7.16.연중 제15주일(농민주일) 프란치스코 2023.07.16 315
3125 “성화(聖化)되십시오!” -성화의 여정-2023.6.17.토요일 티 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17 315
3124 구원의 날 -말씀이 사람이 되시다-2017.12.25. 주님 성탄 대축일 낮 미사 프란치스코 2017.12.25 315
3123 열정과 환대-2015.11.17. 화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11.17 315
3122 귀향(歸鄕)의 여정 -늘 새로운 시작2023.8.3.연중 제17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8.03 314
3121 참된 신자의 행복한 삶 -성소, 친교, 선교-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2023.6.18.연중 제11주일 프란치스코 2023.06.18 314
3120 하느님 중심의 사랑의 삶 -진실, 겸손, 섬김-2022.8.20.토요일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1090-115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8.20 314
3119 하늘 나라의 삶 -회개, 겸손, 환대-2016.10.1. 토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선교의 수호자1873-1897) 축일 프란치스코 2016.10.01 314
3118 하느님의 눈-2016.1.18. 연중 제2주간 월요일(일치 주간) 프란치스코 2016.01.18 314
3117 그리스도 예수님 중심의 삶 -치유와 위로, 구원-2023.6.30.연중 제1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6.30 313
3116 사랑의 여정, 사랑의 학교 -“예수 성심의 사랑이 답이다”- 사랑도 선택이자 훈련이요 습관이다-2023.6.16.금요일 지극히 거룩하신 예수 성심 대축일(사제성화의 날) 프란치스코 2023.06.16 313
» 삶의 중심中心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2018.1.29. 연중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29 313
3114 빛속에서 살아가십시오-2015.12.28. 월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프란치스코 2015.12.28 313
3113 세례자 요한의 출생 -“우연은 없다, 모두가 하느님의 섭리 은총이다”-2022.12.23.금요일 12월23일 프란치스코 2022.12.23 312
3112 신망애(信望愛)의 힘과 빛 -두려워하지 마라-신망애(信望愛)의 힘과 빛 -두려워하지 마라- 1 프란치스코 2017.07.15 312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