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2.15. 대림 제3주간 화요일                                                 스바3,1-2.9-13 마태21,28-32


                                                          아나빔(anawim)의 영성

                                                          -성서의 가난한 사람들-


성서의 가난한 사람들이 아나빔입니다. 오랜만에 생각난 반가운 말마디 아나빔입니다. 우리 믿는 이들 역시 깊이 들여다 보면 하느님께 희망과 기쁨을 두고 사는 가난한 사람들의 아나빔입니다. 성서를 관통하고 있는 주류적 영성이 아나빔의 영성이요, 이를 고스란히 이어받고 있는 우리 수도자들입니다.


“행복하여라, 가난한 사람들! 하느님의 나라가 너희의 것이다.”(루카6,20)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 나라가 너희의 것이다.”(마태5,3)


루카는 물론 마태 복음 사가의 산상설교 첫째 번 오는 것이 아나빔에 대한 예수님의 행복선언입니다. 가난의 빈자리에 하느님으로 가득하니 행복하다는 것입니다. 가난한 듯 하나 내적으로 부유한 이들이 아나빔입니다. 


가난과 더불어 주님과 내적일치의 통합(integrity)이룬 사람들이 아나빔입니다. 예수님의 가난한 사람들인 아나빔에 대한 사랑은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그대로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을 반영합니다. 


오늘날 교회가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각별한 배려도 이에 근거하며 여기서 태동한 해방신학, 민중신학입니다. 오늘 제1독서 스바니야 예언자가 아나빔의 정체를 잘 보여줍니다. 


“나는 네 한가운데에 가난하고 가련한 백성을 남기리니, 그들은 주님의 이름에 피신하리라. 이스라엘의 남은 자들은 불의를 저지르지 않고 거짓을 말하지 않으며, 그들 입에서는 사기 치는 혀를 보지 못하리라. 정녕 그들은 아무런 위협도 받지 않으며 풀을 뜯고 몸을 누이리라.”


참 순수하고 단순한, 가난하고 겸손한, 당당하고 적극적인 아름다운 사람들이 아나빔입니다. 욕심이라곤 하느님 욕심 하나뿐인 무욕의 사람들입니다. 오늘날로 말하면 좌파도 우파도 아닌 하느님께만 희망과 신뢰를 둔 하느님파입니다. 누구에 대한 원망도 증오도 미움도 없는 진정 하느님의 가난한 사람들입니다. 물질적인 가난만이 가난이 아니라 영적 가난도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영적, 육적으로 가난하고 불쌍한 아나빔들 천지인 세상 같습니다.


어찌보면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인생 사고四苦를 벗어날 수 없는 사람 존재 자체가 가난입니다. 특히 오늘날 인간의 존엄한 품위을 잃은 가난은 얼마나 많은지요. 하느님 없는 가난은 재앙이지만 하느님과 함께 하는 가난은 축복입니다. 깊이 들여다 보면 사람은 누구나 하느님을 찾는 가난한 아나빔입니다. 


사막같은 세상에서 희망과 기쁨의 원천인 하느님을 모시지 않으면 어떻게 살아낼 수 있을런지요. 필시 괴물이 아니면 폐인이 될 것입니다. 하느님을 찾아 수도원에 온 아나빔의 후예인 우리 수도자들이요 가톨릭 교회의 모든 성인들은 물론 믿는 우리 모두가 하느님의 가난한 이들인 아나빔입니다. 어제 성 오딜리아 동정녀 대축일 시 아침 성무일도 낮기도 후렴 시편구절의 아름다움을 잊지 못합니다.


“주님, 당신 곁에 있는 것이 내게는 행복, 이 몸 둘 곳 나의 희망 주 하느님이시니이다.”


독서의 기도. 두 번째 후렴도 좋았습니다. 주님께 대한 사랑때문에 자발적 아나빔의 길을 택한 수도자들임을 깨닫습니다.


"나는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때문에 세상과 그 영화를 버렸도다."


바로 이런 고백의 사람들이 아나빔입니다. 성서의 시편들 대부분 아나빔의 노래입니다. 가난중에도 좌절하지 않고 찬미와 감사로 끊임없이 하느님을 노래했던 아나빔이었습니다. 하느님을 믿고, 사랑하고, 희망했기에 절망중에도 희망을, 슬픔중에도 기쁨을, 어둠 중에도 빛을, 죽음의 상황에서도 생명을 살았던 아나빔이었습니다. 아나빔의 영성은 그래도 파스카 영성과 직결됨을 봅니다.


바로 오늘 복음의 두 아들의 비유에서 아버지의 명령에 싫다 했지만 생각을 바꾸어 일하러 간 회개의 사람, 맏아들이 가리키는 바 세리와 창녀들입니다. 끊임없이 회개하는 마음이 가난한 겸손한 자가 진정 아나빔입니다. 


반면 가겠다 했지만 가지 않은 불순종의 사람이 가리키는 바 수석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입니다. 하느님께 가까이 있는 듯 하지만 가장 멀리 있는, 진정 회개를 필요로 하는 역설적 존재가 이들 종교인들입니다. 그대로 오늘의 교회 현실 같기도 합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세리와 창녀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간다.”


주님의 충격적 폭탄 선언입니다. 세리와 창녀들이 상징하는 바 역시 믿고 희망할 분은 하느님뿐이 없는 하느님의 가난한 사람들인 아나빔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의 아나빔인 우리 모두에게 풍성한 행복을 선사하십니다. 오늘 화답송 시편 모두도 아나빔의 기도입니다.


“주님을 바라보아라. 기쁨이 넘치고, 너희 얼굴에는 부끄러움이 없으리라. 가련한 이 부르짖자 주님이 들으시어, 그 모든 곤경에서 구원해 주셨네.”(시편34,6-7).”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10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순교적 삶-2016.9.20. 화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09.20 312
3109 자비의 선물, 자비의 환대, 자비의 체험-2016.3.13. 사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16.03.13 312
3108 저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회개, 기쁨, 겸손, 감사-2015.12.13. 대림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15.12.13 312
3107 떠남의 여정 -자기인식의 복(福)된, 겸손하고 지혜로운 삶-2023.6.26.연중 제1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6 311
3106 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예수님,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2022.4.16.주님 부활 대축일 파스카 성야 미사 프란치스코 2022.04.16 311
3105 질투에 대한 치유(the cure for jealousy) 2016.1.21. 목요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1.21 311
3104 파스카 축제의 생활화 -파스카의 꽃으로, 하느님의 자녀답게 삽시다- “겸손한 섬김의 사랑”2023.4.6.주님 만찬 성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6 310
3103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2016.1.6. 주님 공현 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1.06 310
3102 늘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느님 -인내와 겸손이 답이다-2023.7.17.연중 제1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7.17 309
3101 파스카의 기쁨, 신록의 기쁨 -사랑, 믿음, 희망-2023.4.9.주님 부활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4.09 309
3100 하느님의 기쁨 -오, 하나하나의 사람! -하느님 그대의 자랑이듯이 그대 하느님의 자랑이어라-2016.10.30. 연중 제31주일 프란치스코 2016.10.30 309
3099 전례와 삶 -전례 예찬-2015.7.31. 금요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1491-1556) 프란치스코 2015.07.31 309
3098 “화해하여라!” -사랑의 화해도 은총이자 선택이요 훈련이자 습관이다- 내 안의 괴물들을 사랑의 인내와 훈련으로 길들이기2023.6.15.연중 제1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15 308
3097 사랑은 율법의 완성 -사랑이 답이다-2023.6.14.연중 제1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6.14 308
3096 봉헌의 여정-참 아름답고 복된 봉헌의 삶--2023.2.2.목요일 주님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23.02.02 308
3095 새포도주는 새부대에 담기 -꼰대가 되지 맙시다-2022.9.2.연중 제2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9.02 308
3094 회심의 여정, 주님과 일치의 여정 -복음 선포의 사명-2019.1.25.금요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2 프란치스코 2019.01.25 307
3093 ‘눈 먼 이들에게 빛을Lumen Caecis!’-주님을 만날 때의 5가지 선물-2016.12.13. 화요일 우리 연합회의 수호자 성녀 오틸리아(662-720) 동정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12.13 307
3092 산 이들의 하느님-2015.6.3. 수요일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188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6.03 307
3091 서로 사랑하여라 -살기위해-2016.4.29. 금요일 시에나의 성녀 카타리나 동정 학자(1347-138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4.29 306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