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2.30. 수요일 성탄 팔일 축제 내 제6일                                                       1요한2,12-17 루카2,36-40


                                                                   정주(定住)의 축복


오늘은 ‘정주의 축복’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정주자체가 축복이요 구원입니다. 오늘 복음의 한나는 진정 ‘정주의 사람’이자 ‘축복의 사람’입니다. 절집(寺刹)의 두 큰 자산은 노목老木과 노승老僧이라 합니다. 한나같은 노성녀老聖女는 진정 하느님의 집인 교회의 큰 자산임을 깨닫습니다. 남편과 일곱해를 살고서는, 여든 네 살이 되도록 과부로 지내면서 성전을 떠나는 일 없이 단식하고 기도하며 밤낮으로 하느님을 섬긴 한나입니다. 마침내 봉헌되시는 아기 예수님을 만났고 예루살렘의 속량을 기다리는 모든 이에게 기쁜 소식을 전합니다.


성전이 상징하는바 하느님입니다. 진정 정주할 곳은 하느님뿐입니다. 하느님 중심안에 정주할 때 지나는 세상 것들로부터 이탈의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덧없는 세상 것들로부터 초연할 수 있습니다. 정주의 중심을 잃을 때 혼란이요 방황입니다. 세상 것들에 집착하게 되고 욕망의 노예가 되어 버립니다. 오늘 사도 요한은 세상 것들에 집착하지 말라고 우리 모두에게 간곡히 당부합니다.


“여러분은 세상도 또 세상 안에 있는 것들도 사랑하지 마십시오. 누가 세상을 사랑하면, 그 사람 안에는 아버지의 사랑이 없습니다. 세상에 있는 모든 것, 곧 육의 욕망과 눈의 욕망과 살림살이에 대한 자만은 아버지에게서 온 것이 아니라 세상에서 온 것입니다.”


세상에 대한 사랑과 아버지에 대한 사랑은 양립할 수 없습니다. 아버지를 사랑하여 아버지 안에 정주할 때 비로소 세상 것들에 초연할 수 있으며 집착함이 없이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사랑할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 집착할 때 세상 것들부터 저절로 이탈하게 됨으로 세상을 떠나지 않고서도 세상 안에서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새삼 하느님 안에 정주하여 하느님을 사랑함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정주하지 못하는 사람은 존재하지 못한다.’라는 하이덱거 철학자의 말도 생각이 납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역시 정주하지 못함을 묘사한 말입니다. 


정주하지 못할 때 하느님도 나도 모르니 존재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너희는 멈추고 하느님 나를 알라.’는 시편 말씀도 멈추어 정주할 때 하느님을 알 수 있음을 보여 줍니다. 하여 분도수도원의 으뜸 서원도 ‘정주(stability) 서원’입니다. 오래전의 ‘호수’라는 애송 자작시도 생각이 납니다.


“나무에게 하늘은 가도가도 멀기만 하다.

 아예 고요한 호수가 되어 하늘을 담자.”


정주의 마음 호수위에 가득 담기는 하느님의 얼굴인 하늘입니다. 바로 이것이 정주의 축복입니다. 오늘 복음의 후반부, 나자렛이 상징하는바 하느님의 정주처定住處입니다. 막연한 정주가 아니라 눈에 보이는 가시적 중심의 정주처가 중요합니다. 한나의 가시적 정주처가 성전이었다면 예수님의 성장과정중의 가시적 정주처는 나자렛이었습니다.


‘주님의 법에 따라 모든 일을 마치고 나서, 예수님의 부모는 갈릴래아에 있는 고향 나자렛으로 돌아갔다. 아기는 자라면서 튼튼해지고 지혜가 충만해졌으며 하느님의 총애를 받았다.’


이 또한 정주의 축복입니다. 예전에는 대부분 어머니의 품같은 자연이라는 가시적 중심의 고향이라는 정주처가 있었는데 오늘날 이런 정주처들은 대부분 사라져 감으로 사람들 역시 많이 거칠어지고 사나워졌습니다. 정주처의 손실은 다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세상은 지나가고 세상의 욕망도 지나갑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사람은 영원히 남습니다.’


하느님 안에 정주하여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며 사는 사람은 지나는 세상에서도 영원히 남습니다. 세월의 격랑에, 욕망의 격랑에 휘말리지 않고, 허무주의에 침몰하지 않고 늘 안정과 평화를 누립니다. 


바로 오늘 지금 내 몸담고 있는 여기가 정주처이자 하느님이 계신 곳입니다. 한나의 성전과 같은 곳이자 성장기 예수님의 나자렛 같은 곳입니다. 주님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정주의 중심인 하느님 안에 깊이 뿌리내리게 해 줍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51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파스카 신비의 삶, 말씀과 기도와 회개의 삶-2021.7.27.연중 제17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7 128
2750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사랑, 배움, 따름-2021.9.12.연중 제24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9.12 128
2749 주님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삶의 여정 -찬미와 감사, 희망과 기쁨-2021.9.25.연중 제2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9.25 128
2748 귀가의 여정 -죽음은 새로운 삶의 시작-2023.3.9.이 정숙 루시아(+83세)를 위한 장례미사 프란치스코 2023.03.09 128
2747 “별을 바라보라!” (Respice Stellam!) -더불어(together) 희망의 순례 여정-2024.1.7.주님 공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4.01.07 128
2746 분별력의 지혜 -이상주의적 현실주의자의 삶-2024.1.12.연중 제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1.12 128
2745 평생 현역 -주님의 전사, 믿음의 전사-2024.1.17.수요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251-35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1.17 128
2744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인생 항해 여정- 부활하신 주님 중심의 공동체2024.4.13.부활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4.13 128
2743 겸손을 추구하라 -겸손은 모든 덕행의 스승이다-2024.5.21.연중 제7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5.21 128
2742 참행복 -렉시오 디비나의 생활화-2016.10.8. 연중 제2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0.08 129
2741 절망은 없다 -하느님이 희망이다-2017.2.11. 연중 제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02.11 129
2740 참 아름다운 겸손한 사랑 -환대와 성령-2017.5.22. 부활 제6주간 월요일(교육주간) 프란치스코 2017.05.22 129
2739 참 행복한 삶 -감사. 생명의 빵, 새 인간-2018.8.5. 연중 제18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8.05 129
2738 주님은 누구인가? -늘 우리와 함께 계신 분-2018.1.16. 연중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01.16 129
2737 참 행복의 비결 -지혜 사랑, 말씀 사랑, 예수님 사랑이 답이다-2018.10.14.연중 제28주일 1 프란치스코 2018.10.14 129
2736 자유自由의 여정旅程 -신망애信望愛의 삶-2018.10.16.연중 제28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10.16 129
2735 참된 소원所願 -성인聖人이 되는 것-2018.11.1.목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1.01 129
2734 모두가 ‘하느님의 선물’이다 -찬미와 감사의 응답-2018.11.5.연중 제3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1.05 129
2733 영적 성장 -개안의 여정-2018.12.7.금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340-39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2.07 129
2732 참 사람이 되는 길 -주님 중심의 신망애信望愛의 연대連帶의 강화와 심화-2019.2.4.연중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2.04 129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