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25. 월요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사도22,3-16 마르16,15-18


                                                            회심回心과 자기발견의 여정

                                                                 -자기 비움의 여정-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아침성무일도 즈카르야의 노래 후렴입니다.


“사도 바오로가 회심하신 날을 경축하세. 그는 교회의 박해자였으나, 하느님이 선택하신 도구가 되었도다.”


하느님의 오묘한 섭리입니다. 교회의 박해자가 하느님이 선택하신 도구가, 교회의 수호자가 되었습니다. 하느님의 은총과 바오로의 열정이 회심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음을 깨닫습니다.


삶은 선물이자 과제입니다. 하느님의 모상으로 지음 받았지만 자기완성은 평생과제로 주어졌다는 것입니다. 외적성장은 멈췄거나 퇴보해도 내정성장과 성숙은 끊임없이 계속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과연 살아갈수록 하느님을 닮아  너그럽고 자비로워지는 우리의 내적 삶인지요. 


살아계신 주님을 만날 때 회심이요 자기발견입니다. 오늘 바오로의 주님과의 만남이 극적입니다. 만일 바오로가 주님을 만나지 못했다면 바오로는 평생 자기를 몰랐을 것입니다. 우리 역시 주님을 만나지 못했다면 평생 자기를 모르고 살뻔 했습니다. 만남의 주도권은 주님께 있습니다. 그대로 은총의 만남입니다. 


“사울아, 사울아, 왜 나를 박해하느냐?”

“주님, 주님은 누구십니까?”

“나는 네가 박해하는 나자렛 사람 예수다.”

“주님, 제가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일어나 다마스쿠스로 들어가거라. 장차 네가 하도록 결정되어 있는 모든 일에 관하여 거기에서 누가 너에게 일러줄 것이다.”


주님과 바오로의 만남의 과정이 자세히 드러납니다. 이어 바오로는 주님의 사람 하나니아스를 만나 눈을 뜨고 세례를 받고 죄를 용서 받음으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새로운 자기 발견의 여정이, 자기 비움의 여정이 시작되었음을 알려줍니다.


주님과의 만남과 회심은 함께 갑니다. 한 번으로 끝나는 만남이나 회심이 아니라 끊임없는 평생과정이요 점점 주님을 닮아가면서 참 나를 발견하게 됩니다. 하느님을 찾는 여정은 주님과 만남의 회심의 여정이자 자기발견의 여정, 자기완성의 여정, 자기실현의 여정임을 깨닫습니다. 


회심후의 바오로의 여정은 얼마나 치열했는지요. 계속되는 자기비움의 겸손의 여정입니다. 복음 선포 역시 주님과 만남을 통한 회심을 목표로 합니다. 주님을 모르면 나도 모릅니다. 평생 주님을 몰라 자기를 모르고 사는 사람도 얼마나 많겠는지요. 주님은 내가 누구인지 나를 비춰주는 거울과 같습니다. 


주님과 만남을 통해 끊임없는 자기비움으로 주님을 닮아 나를 알아갈 때 지혜요 겸손이요 구원입니다. 바로 이것이 복음의 골자입니다. 주님을 만나 회심을 통해 참나를 발견하게 하는 복음 선포는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사명입니다.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 믿고 세례를 받는 이는 구원을 받고 믿지 않는 이는 단죄를 받을 것이다.”


온 세상의 모든 피조물이 복음 선포의 대상입니다. 주님을 만나 회심할 때 비로소 믿음이요 무지로부터의 해방이요 자기발견의 구원입니다. 복음을 믿는 이들에게 따르는 기적들은 바로 무지로부터 해방을 알려주는 구원의 표징들입니다. 


만남 중의 만남이 주님과의 만남입니다. 바오로와 같은 비상한 만남이 아니라 평범한 만남입니다. 평범한 일상의 주님과의 만남을 통한 회심이요 회심을 통해 주님을 닮아감으로 참 내가 되어 갑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을 만나 회심한 우리 모두가 날로 당신을 닮아감으로 참 나의 발견, 참 나의 완성에 이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1 ‘참’ 멋지고 아름다운 삶 -한평생 맡겨진 책임을 ‘참으로’ 다하는 사랑-2021.11.17.수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1.17 283
470 하느님께서 좋아하는 참된 단식 -이웃 사랑의 실천-2022.3.4.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3.04 283
469 하느님 중심의 삶 -허무에 대한 궁극의 답은 하느님뿐이다-2022.9.22.연중 제2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9.22 283
468 회개와 기쁨의 거룩한 사순시기 -올바른 수행자의 삶-2023.2.22.재의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2.22 283
467 거룩한 사람이 되어라 -최후 심판의 잣대는 사랑- 2023.2.27. 사순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2.27 283
466 회개의 은총, 회개의 축복, 회개의 여정 -경천애인(敬天愛人)-2023.3.17.사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7 283
465 회심의 은총, 회심의 여정, 일치의 여정 -회심과 성체성사-2023.4.28.부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4.28 283
464 하늘 나라의 삶 -희망과 기쁨, 자비와 지혜, 인내와 겸손-"귀 있는 사람은 들어라"-2023.7.23. 연중 제16주일(조부모와 노인의 날) 프란치스코 2023.07.23 284
463 참 멋지고 매력적인 삶 -세상의 소금처럼, 세상의 빛처럼 삽시다- 프란치스코 2023.02.05 284
462 참된 영적 삶 -경청과 환대, 관상과 활동, 영적우정과 회개-2023.2.10.금요일 성녀 스콜라스티카 동정(480-547) 축일 프란치스코 2023.02.10 284
461 믿음의 여정, 믿음의 전사 -부단한 신비체험 은총과 훈련의 노력-2023.2.18.연중 제6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2.18 284
460 더불어(together) 믿음의 여정 -회개와 겸손한 믿음-2023.7.24.연중 제1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7.24 284
459 참된 단식 -하느님이 기뻐하시는 단식-2016.2.12. 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2.12 285
458 주님의 아가페 사랑(agape-love)-2016.5.14. 토요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6.05.14 285
457 새 인간 -옛 인간을 벗어 버리고 새 인간을 입자-2016.7.31. 연중 제18주일 프란치스코 2016.07.31 285
456 하느님의 시야視野 -여기 사람 하나 있다-2016.8.29. 월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8.29 285
455 끊임없는 회개 -역사는 반복된다-2018.12.28.금요일 죄 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2.28 285
454 떠남의 여정, 귀가歸家의 여정, 파스카의 여정 -성 베네딕도 예찬禮讚- 2020.3.21.토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 별세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3.21 285
453 하느님께 대한 한결같은 사랑과 신뢰, 그리고 희망 -영적탄력의 원천-2023.2.9.연중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2.09 285
452 개안開眼의 기쁨, 개안開眼의 여정 -주님과의 만남-2023.2.15.연중 제6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2.15 285
Board Pagination Prev 1 ...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