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25. 월요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사도22,3-16 마르16,15-18


                                                            회심回心과 자기발견의 여정

                                                                 -자기 비움의 여정-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아침성무일도 즈카르야의 노래 후렴입니다.


“사도 바오로가 회심하신 날을 경축하세. 그는 교회의 박해자였으나, 하느님이 선택하신 도구가 되었도다.”


하느님의 오묘한 섭리입니다. 교회의 박해자가 하느님이 선택하신 도구가, 교회의 수호자가 되었습니다. 하느님의 은총과 바오로의 열정이 회심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음을 깨닫습니다.


삶은 선물이자 과제입니다. 하느님의 모상으로 지음 받았지만 자기완성은 평생과제로 주어졌다는 것입니다. 외적성장은 멈췄거나 퇴보해도 내정성장과 성숙은 끊임없이 계속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과연 살아갈수록 하느님을 닮아  너그럽고 자비로워지는 우리의 내적 삶인지요. 


살아계신 주님을 만날 때 회심이요 자기발견입니다. 오늘 바오로의 주님과의 만남이 극적입니다. 만일 바오로가 주님을 만나지 못했다면 바오로는 평생 자기를 몰랐을 것입니다. 우리 역시 주님을 만나지 못했다면 평생 자기를 모르고 살뻔 했습니다. 만남의 주도권은 주님께 있습니다. 그대로 은총의 만남입니다. 


“사울아, 사울아, 왜 나를 박해하느냐?”

“주님, 주님은 누구십니까?”

“나는 네가 박해하는 나자렛 사람 예수다.”

“주님, 제가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일어나 다마스쿠스로 들어가거라. 장차 네가 하도록 결정되어 있는 모든 일에 관하여 거기에서 누가 너에게 일러줄 것이다.”


주님과 바오로의 만남의 과정이 자세히 드러납니다. 이어 바오로는 주님의 사람 하나니아스를 만나 눈을 뜨고 세례를 받고 죄를 용서 받음으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새로운 자기 발견의 여정이, 자기 비움의 여정이 시작되었음을 알려줍니다.


주님과의 만남과 회심은 함께 갑니다. 한 번으로 끝나는 만남이나 회심이 아니라 끊임없는 평생과정이요 점점 주님을 닮아가면서 참 나를 발견하게 됩니다. 하느님을 찾는 여정은 주님과 만남의 회심의 여정이자 자기발견의 여정, 자기완성의 여정, 자기실현의 여정임을 깨닫습니다. 


회심후의 바오로의 여정은 얼마나 치열했는지요. 계속되는 자기비움의 겸손의 여정입니다. 복음 선포 역시 주님과 만남을 통한 회심을 목표로 합니다. 주님을 모르면 나도 모릅니다. 평생 주님을 몰라 자기를 모르고 사는 사람도 얼마나 많겠는지요. 주님은 내가 누구인지 나를 비춰주는 거울과 같습니다. 


주님과 만남을 통해 끊임없는 자기비움으로 주님을 닮아 나를 알아갈 때 지혜요 겸손이요 구원입니다. 바로 이것이 복음의 골자입니다. 주님을 만나 회심을 통해 참나를 발견하게 하는 복음 선포는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사명입니다.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 믿고 세례를 받는 이는 구원을 받고 믿지 않는 이는 단죄를 받을 것이다.”


온 세상의 모든 피조물이 복음 선포의 대상입니다. 주님을 만나 회심할 때 비로소 믿음이요 무지로부터의 해방이요 자기발견의 구원입니다. 복음을 믿는 이들에게 따르는 기적들은 바로 무지로부터 해방을 알려주는 구원의 표징들입니다. 


만남 중의 만남이 주님과의 만남입니다. 바오로와 같은 비상한 만남이 아니라 평범한 만남입니다. 평범한 일상의 주님과의 만남을 통한 회심이요 회심을 통해 주님을 닮아감으로 참 내가 되어 갑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을 만나 회심한 우리 모두가 날로 당신을 닮아감으로 참 나의 발견, 참 나의 완성에 이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1 하느님 중심에 깊이 뿌리 내린 삶 -기도, 일치, 치유, 선포-2020.9.2.연중 제2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02 134
470 하느님 중심의 정주 영성과 믿음의 -한결같이, 간절하고, 절실하고, 절박한 삶-2024.2.8.연중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8 147
469 하느님 중심의 참 멋지고 아름다운 신자의 삶 -회개의 삶, 무소유의 삶, 복음선포의 삶-2023.9.27.수요일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1581-166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9.27 241
468 하느님 중심의 공동체 삶 -기도하라, 사랑하라, 지혜로워라, 운동하라-2023.9.10.연중 제23주일 에제33,7-9 로마13,8-10 마태18,15-20 프란치스코 2023.09.10 223
467 하느님 중심의 공동체 삶 -중심, 질서, 균형-2023.9.28.연중 제2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9.28 216
466 하느님 중심의 공동체 삶 -혼인, 이혼, 독신-2022.8.12.연중 제1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8.12 214
465 하느님 중심의 관상적觀想的 삶 -섬겨라, 보라, 믿어라-2022.6.18.연중 제1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6.18 165
464 하느님 중심의 교회 공동체 -전례; 우정의 여정-2023.8.18.연중 제1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8 266
463 하느님 중심의 교회 공동체 삶 -기도와 성소,죽음-2021.10.28.목요일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10.28 236
462 하느님 중심의 마음 관리 “회개의 여정, 자아초월의 여정” 삶은 은총의 선물이자, '부단한 선택-훈련-습관'의 평생과제이다 2024.2.7.연중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7 172
461 하느님 중심의 믿음 -믿음의 여정, 믿음의 훈련, 믿음의 전사- “하루하루 ‘믿음으로’ 살았습니다”2024.1.30.연중 제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1.30 158
460 하느님 중심의 믿음의 삶 -하느님의 나라-2020.10.9.연중 제2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0.09 112
459 하느님 중심의 사랑-하느님이 먼저다-2015.1.20. 연중 제2주간 화요일(뉴튼수도원 71일째) 프란치스코 2015.01.20 399
458 하느님 중심의 사랑의 삶 -진실, 겸손, 섬김-2022.8.20.토요일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1090-115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8.20 314
457 하느님 중심의 삶 -"기도, 사랑, 지혜, 용기"-2022.1.5. 주님 공현 대축일 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05 161
456 하느님 중심의 삶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의 삶-2022.10.17.월요일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주교 순교자(+11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17 202
455 하느님 중심의 삶 -‘제자리’에서 ‘제정신’으로 ‘제대로’의 삶-2022.1.24.월요일 성 프린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2.01.24 185
454 하느님 중심의 삶 -“경청과 겸손, 순종의 삶”-2023.3.16.사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6 277
453 하느님 중심의 삶 -겸손(信), 경청(望), 순종(愛)-2023.12.24. 대림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23.12.24 129
452 하느님 중심의 삶 -관대, 평화, 겸손, 지혜-2022.2.23.수요일 성 폴리카르포 주교 순교자(+155/15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2.23 213
Board Pagination Prev 1 ...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