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2.3. 연중 제4주간 수요일                                                                            사무24,2.9-17 마르6,1-6

 

                                                                        마음의 병病과 죄

                                                                     -예방豫防과 치유治癒-


가장 쉬운 것이 남 판단하는 것이요 가장 어려운 것이 자기를 아는 일입니다. 하여 자기를 아는 것이 겸손이자 지혜임을 깨닫습니다. 자기를 몰라 교만이요 무지입니다. 마음의 병인 무지에서 파생되는 질투, 탐욕, 분노, 어리석음입니다. 


원죄가 상징하는바 바로 이런 마음의 병이요, 바로 이것이 치유 받아야 할 인간임을 보여줍니다. 육신의 병 못지 않게 힘든 마음의 병입니다. 이런 마음의 병에서 끊임없이 죄를 짓게 되고 죄를 지으면서 마음과 몸의 병 역시 깊어지니, 병과 죄는 함께 갑니다.


병과 죄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것이 고백성사입니다. 죄를 고백한다함은 자기를 아는 것입니다. 자기의 죄를 고백하면서 죄를 용서받아 마음의 병은 치유 받아 영육의 건강도 회복합니다. 그러니 고백성사의 보속도 주로 치유와 예방을 위한 것임을 깨닫습니다. 


하여 저는 보속으로 ‘말씀의 처방전’을 써드리면서 지킬 것을 권합니다. 말씀은 영혼의 약이자 식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마음의 병의 치유와 예방에 하느님 말씀과 찬미와 감사의 기도보다 더 좋은 것은 없습니다. 


하느님 탐구와 자기탐구는, 하느님 인식과 자기인식은 함께 갑니다. 하느님을 알아야 나를 알 수 있고 나를 알아야 하느님을 알 수 있습니다. 하느님을 모르면 나도 모르고 나를 모르면 하느님도 모릅니다. 사실 하느님을 모르면 무엇이 병이고 무엇이 죄인지 모릅니다. 하느님을 알아야 무엇이 병이고 무엇이 죄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인간이 물음이라면 하느님은 답입니다. 아무리 내가 누구인지 물어도 하느님이 없으면 답이 나오지 않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 대한 고향 사람들의 반응에서 바로 우리의 병든 모습을 봅니다. 편견이나 선입견 없이 건강한 마음의 눈으로 있는 그대로 보기는 얼마나 힘든지요. 무지에서 기인한 탐욕, 질투, 분노, 교만은 마음의 눈을 멀어 삶의 실재와 진실을 못보게 합니다. 예수님의 기적과 지혜에 못마땅해 하는 고향인들의 질투심은 바로 무지에 기인함을 봅니다.


하여 예수님은 고향에서 아무런 기적도 일으키실 수 없었고, 사람들이 그를 믿지 않는 것에 놀라셨다 합니다. 믿지 못하는 불신이 병이자 죄임을 깨닫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이 불치병과도 같은 마음의 병을 치유 받을 수 있을까요? 

회개를 통한 주님과의 만남뿐입니다. 주님과 회개의 만남을 통해 죄를 용서받고 치유받을 때 비로소 참 나의 발견입니다. 회개의 깨달음을 통한 자기발견의 겸손입니다. 회개는 깨달음입니다. '아, 하!' 깨달아 알 때 비로소 치유요 자유입니다. 그러니 회개의 여정은 깨달음의 여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바로 오늘 다윗의 경우가 좋은 본보기입니다. 지옥과도 같은 보속을 치른 다윗이 오늘 또 큰 죄를 짓습니다. 다윗이 위대한 점은 우리식으로 말하면 즉시 죄를 뉘우치고 고백성사를 본다는 것입니다. 다윗은 인구조사를 한 다음, 양심의 가책을 느껴 즉시 주님께 고백합니다.


“제가 이런 짓으로 큰 죄를 지었습니다. 그러나 주님, 이제 당신 종의 죄악을 없애 주십시오. 제가 참으로 어리석은 일을 저질렀습니다.”


하느님을 믿지 않고 사람을 믿었음이 바로 죄입니다. 다윗은 필시 인구조사를 통해 전쟁에서 싸울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세금은 얼마나 거둬들일 수 있는지 헤아리면서 자신감을 가졌음이 분명합니다. 조금 형편이 펴졌다 싶으니 교만해져서 순간 하느님을 잊은 것입니다. 하느님은 세가지 보속을 주시고 한가지 선택할 것을 명하십니다. 백성을 치는 천사를 보자 다윗은 부르짓습니다.


“제가 바로 죄를 지었습니다. 제가 못된 짓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양들이야 무슨 잘못이 있습니까? 그러니 제발 당신 손으로 저와 제 아버지의 집안을 쳐 주십시오.”


죄의 고백을 통한 하느님과의 소통으로 완전히 회개하여 마음의 가난과 겸손에 이른 다윗입니다. 무지의 병과 죄의 치유에 회개를 통한 주님과의 만남보다 더 좋은 처방도 없습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고 마음의 온갖 병을 치유해주시며 좋은 믿음을 선사하십니다.


“주님이 얼마나 좋으신지 너희는 맛보고 깨달아라. 행복하여라, 주님께 바라는 사람!”(시편34,9참조).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1 주님은 찬미받으소서-하느님 중심의 삶-2016.10.13. 연중 제28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10.13 171
1090 주님을 ‘참으로(truely)’ 만난 사람들 -엘아자르, 자캐오, 제르투르다, 나-2021.11.16.화요일 성녀 제르투르다 동정(1256-130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1.16 153
1089 주님을 감동시키는 간절하고 겸손한 믿음 -하느님 꿈의 실현-2018.12.3.월요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1506-155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2.03 130
1088 주님을 경외함이 답이다. -섬김의 삶, 환대의 삶-2017.2.21. 화요일 성 베드로 다미아노 주교 학자(1007-107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2.21 171
1087 주님을 기다리는 우리들 -기뻐하여라, 두려워하지 마라, 기다려라, 만나라-2022.12.11.대림 제3주일(자선주일) 프란치스코 2022.12.11 208
1086 주님을 꿈꾸는 사람들-2015.7.6. 연중 제1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7.06 197
1085 주님을 닮은 참 좋은 사람 -환대와 경청, 위로와 격려, 섬김의 사람-2021.3.3.사순 제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3.03 110
1084 주님을 사랑하는 참맛 -우리 모두가 주님의 애제자(愛弟子)이다-2023.12.27.수요일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23.12.27 132
1083 주님을 사랑하십시오 -기쁨, 초연, 순수-2018.12.13.목요일 우리 연합회의 수호자 성녀 오딜리아 동정(662~720)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2.13 155
1082 주님을 사랑하여 알고 닮아 하나되어 가기 -무지에서의 해방과 자유-2020.5.11. 월요일 성 오도와 성 마욜로와 성 오딜로와 성 후고와 복자 베드로 베네라빌리스, 클뤼니 아빠스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5.11 130
1081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2015.8.10. 월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프란치스코 2015.08.10 256
1080 주님을 신뢰하고 주님께 신뢰 받는 사람 -신앙인의 롤모델; 모세와 예수님-2019.4.4.사순 제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04 117
1079 주님을 증언하는 삶 -나는 어떻게 주님을 증언하는가?-2018.3.15. 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8.03.15 198
1078 주님을 찬미하라 -생명의 빵이신 그리스도-2016.5.29. 주일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청소년 주일) 프란치스코 2016.05.29 258
1077 주님을 찾는 내적순례여정 -순례자의 삶-2018.1.7. 주일 주님 공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8.01.07 162
1076 주님의 ‘평생 사랑의 학인(學人)’인 우리들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2024.5.2.목요일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295-37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02 120
1075 주님의 거룩하고 영광스러운 변모 -주님의 변모는 우리의 변모이다-2019.8.6.화요일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06 268
1074 주님의 교회 가정 공동체의 소중함과 고마움 -교회 가정 공동체 예찬-2018.7.3. 화요일 성 토마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7.03 196
1073 주님의 기도 -간절懇切하고 항구恒久히 바쳐야 할 기도-2022.6.16.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6.16 165
1072 주님의 기도 -기도 역시 평생 배움의 훈련이다-2022.10.5.연중 제27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10.05 189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