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2.23. 사순 제2주간 화요일                                                                   이사1,10.16-20 마태23,1-12


                                                                        섬김과 겸손

                                                                       -회개의 열매-


오늘은 자기 비움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자기비움이 바로 회개입니다. 결국 자기비움의 여정은 회개의 여정이자 섬김과 겸손의 여정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예수님의 복음 말씀은 군중과 제자들을 대상으로 하지만 역시 오늘의 우리를 대상으로 합니다. 한결같이 현실을 직시하여 올바로 처신할 것을 강조합니다.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처럼 환상이나 착각속에 살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들은 별난 사람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의 가능성입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듭니다. 어느 자리에서든 허영과 교만에 사로잡히지 말고 참으로 진실하고 자유롭게 살라는 것입니다.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은 바로 자기를 잃고 사는 외적인간을 상징합니다. 말만하고 행실은 따르지 않으며 하는 일은 모두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한 것입니다. 잔칫집에서는 윗자리를, 회당에서는 높은 자리를 좋아하고 장터에서는 인사받기를, 사람들에게 스승이라 불림 받기를 좋아하는 자기도취에 빠진 어리석은 사람들입니다. 


자존감이 낮을수록 이처럼 자기중심적이자 외부지향적 사람이 되기 쉽습니다. 알맹이의 삶이 아니라 실속없는 껍데기의 삶입니다. '겉'만있고 '속'이 없는, '넓이'만 있고 '깊이'가 없는 참 공허한 삶입니다. 이처럼 자기속임은 참 교묘합니다.


하느님 앞에서는 우리는 더도 덜도 아닌 나일뿐입니다. 착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겸손이란 유별난 덕이 아니라 자기환상이나 착각에서 벗어나 참나를 보고 아는 일입니다. 바로 끊임없는 회개를 통한 자기비움의 순수한 마음의 눈이 있어 이런 참 나를 볼 수 있고 또 살 수 있습니다. 다음 말씀이 우리를 모든 우상과, 환상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합니다.


“너희는 스승이라고 불리지 않도록 하여라. 너희의 스승님은 오직 한 분뿐이시고 너희는 모두 형제다.”


이런 깨달음이 우리를 겸손하고 자유롭게 합니다. 스승은 오직 주님 한 분뿐이고 우리는 모두 평등한 형제들입니다.


“너희는 이 세상 누구도 아버지라고 부르지 마라. 너희의 아버지는 오직 한 분, 하늘에 계신 그분뿐이시다. 그리고 너희는 선생이라고 불리지 않도록 하여라. 너희의 선생님은 그리스도 한분 뿐이시다.”


바로 하늘에 계신 아버지 중심의, 우리의 유일한 스승이자 선생님인 그리스도 중심의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하여 마음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하느님을 사랑해야 하고, 그 무엇도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보다 앞세우지 말아야 합니다. 


하느님 중심의 삶, 그리스도 중심의 삶이 바로 겸손입니다. 자기중심의 삶에 저절로 뒤따르는 허영과 교만의 삶입니다. 수행중의 수행이 겸손의 수행임을 깨닫습니다. 이런 겸손이 자기환상이나 착각에서 벗어나 참 나를 살게 합니다. 참으로 자유인이 되는 길은 이 길뿐입니다. 오늘 복음의 결론 말씀도 참 좋습니다.


“너희 가운데서 가장 높은 사람은 너희를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


영적진리는 언제나 역설적입니다. 섬김과 겸손으로 낮아지는 사람이 참으로 높은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영성의 진위를 식별하는 잣대가, 평생 수행의 목표가 섬김과 겸손이요, 공동체 안에서 철저히 하느님 중심의 삶을 살아갈 때의 영적 열매들입니다.


그러니 회개의 삶은 저절로 섬김과 겸손의 삶으로 향하게 됩니다. 회개에 전제되는 것이 들음입니다. 들음으로부터 시작되는 영성생활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잘 듣기 위한 침묵이며 잘 들어야 회개와 더불어 순종과 겸손, 섬김의 삶을 살게 됩니다. 베네딕도 규칙도 ‘들어라’로 시작되는데 오늘 이사야 1독서도 '들어라.'로 시작됩니다. 우선적으로 회개와 더불어 회개의 구체적 실행 지침을 주십니다.


“소돔의 지도자들아, 주님의 말씀을 들어라. 너희 자신을 씻어 깨끗이 하여라. 내 눈 앞에서 너희의 악한 행실들을 치워 버려라. 악행을 멈추고 선행을 배워라. 공정을 추구하고 억압받는 이를 보살펴라. 고아의 권리를 되찾아 주고 과부를 두둔해 주어라.”


바로 이런 선행과 공정이 회개의 진정성을 입증합니다. 이처럼 회개는 구체적 겸손과 섬김의 삶으로, 선행과 공정의 삶으로 드러나야 합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섬김과 겸손, 선행과 공정의 삶에 항구하고 충실할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올바른 길을 걷는 이는 하느님의 구원을 보리라.”(시편50,23ㄴ).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91 최후심판 -심판의 잣대는 사랑-2022.11.11.금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 학자(316-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1.11 188
2090 영적 전쟁 -주님의 전사戰士로 삽시다-2022.1.19.연중 제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19 188
2089 주님과 항상 함께 하는 삶 -주님과 우정友情의 여정-2020.4.2.사순 제5주간 목요일 ​​​​ 프란치스코 2020.04.02 188
2088 회개와 겸손 -하느님 은총으로 구원받는다-2019.10.17.목요일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주교 순교자(+110)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0.17 188
2087 주님의 기도 -예수님을 닮게 하는 기도-2019.10.9. 연중 제27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09 188
2086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인가?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2019.1.29.연중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29 188
2085 참 자유인 -하느님은 나의 닻이자 돛이자 덫이다-2019.1.22.연중 제2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22 188
2084 '사랑의 사도'가 됩시다 -‘무지의 너울’을 날로 얇게 해주는 사랑의 수행-2018.12.27.목요일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2.27 188
2083 임마누엘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2017.12.18. 월요일 12월18일 프란치스코 2017.12.18 188
2082 평생 공부 -하느님을 알고 나를 아는 공부-2016.9.9. 연중 제2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9.09 188
2081 행복의 발견-2015.6.8. 연중 제1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6.08 188
2080 영원한 생명 -삶은 선물膳物이자 과제課題이다-2022.5.5.부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5.05 187
2079 생명의 빵이신 주 예수님 -근원적 배고픔과 목마름의 해결-2022.5.4.부활 제3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5.04 187
2078 우리가 하느님의 성전聖殿입니다 -전례와 성전정화-2021.11.19.연중 제3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19 187
2077 구원의 여정 -예수님, 형제들과 함께-2020.4.29.수요일 시에나의 성녀 가타리나 동정 학자(1347-1380)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4.29 187
2076 순도純度 높은 삶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와 삶-2019.10.10.연중 제27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0 187
2075 승천의 삶 -주님과 함께 하는 삶-2018.5.13. 주님 승천 대축일 2 프란치스코 2018.05.13 187
2074 파스카의 삶 -날마다 새로운 시작-2018.4.1. 주일 주님 부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4.01 187
2073 주님은 누구를 부르시는가? -철부지 인생들-2017.7.19. 연중 제15주간 수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7.19 187
2072 영원한 생명의 양식-2016.4.11. 월요일 성 스타니슬라오 주교 순교자(1030-1079)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4.11 187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