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3.16. 사순 제5주간 수요일                                                          다니3,14-20.91-92.95 요한8,31-42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오늘은 자유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인류의 영원한 화두중 하나가 자유일 것입니다. 누구나 희구하는바 자유요 자유로워서 비로소 사람입니다. 과연 자유롭습니까? 진정한 자유인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애당초 자유롭게 태어나지 않은 한계를 지닌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자유라고 다 자유가 아닙니다. 우리를 노예로 만드는 거짓 자유도 무수합니다. 


우리의 영적 삶의 여정은 자유의 여정입니다. 갈수록 확장되는 내적자유의 여정이라는 것입니다. 하느님은 자유입니다. 결국 자유의 여정은 하느님을 찾는 여정과 함께 감을 봅니다. 오늘 다니엘서의 세 청년들이 자유인의 전형입니다. 진정 하느님을 믿는 이들이 자유인입니다. 


며칠전 다니엘서의 여주인공 수산나에 이은 세청년의 자유인들입니다. 참으로 주님께 희망을 두고 주님을 경외하며 신뢰했던 수산나에 이어 신앙인의 모범이 세청년입니다. 네부카드네자르 임금의 회유에도 하느님께 대한 신뢰를 저버리지 않습니다. 


재미있는 것이 오늘 독서에서 생략된 부분인 3,21-90절 까지의 긴부분입니다. 세 청년이 타오르는 불가마 속에서 바치는 하느님 찬미가입니다. ‘주님을 찬미하여라’ 끊임없이 계속되는 하느님 찬미가가 이들을 살렸고 자유롭게 했습니다. 바로 우리가 주일 아침기도 때나 축일 아침기도 때 바치는 다니엘의 찬미가입니다. 


아, 끊임없이 바치는 주님 찬미가 세 청년을 자유롭게 했습니다. 세 청년의 찬미공동체는 바로 수도공동체는 물론 믿는 이들의 공동체를 상징합니다. 실질적으로 공동체는 물론 개인을 보호하며 자유롭게 하는 것이 끊임없이 바치는 주님 찬미임을 깨닫습니다. 


주님 찬미의 기쁨으로 살아가는 우리 수도자들입니다. 우리 수도자들이 이렇게 내적자유를 누리며 살 수 있음도 결국은 주님 찬미의 은총임을 깨닫습니다. 네부카드네자르 임금의 찬미의 고백이 감동입니다.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 느고의 하느님께서는 찬미받으소서. 그분께서는 당신의 천사를 보내시어, 자기들의 하느님을 신뢰하여 몸을 바치면서까지 임금의 명령을 어기고, 자기들의 하느님 말고는 다른 어떠한 신도 섬기거나 절하지 않은 당신의 종들을 구원하셨다.”


진정 다니엘서의 세 청년들처럼 끊임없이 주님을 찬미하며 주님의 종으로 살 때 자유인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복음은 더 구체적으로 자유인의 길을 보여줍니다. 주님 말씀 안에 머무르면 참으로 주님의 제자가 되고 진리를 깨닫게 됨으로 자유롭게 된다는 것입니다. 


‘진리를 깨닫는다’는 말에 주목해야 합니다. 말씀을 통해 진리이신 주님을 깨달아 알아갈 때 비로소 참 자유인이라는 것입니다. 깨달음을 통한 치유요 내적자유입니다. 결국 자유의 여정은 깨달음의 여정임을 알게 됩니다. 다음 주님의 말씀이 자유에 대한 결정적 열쇠말입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죄를 짓는 자는 누구나 죄의 종이다. 종은 언제까지나 집에 머무르지 못하지만, 아들은 언제까지나 집에 머무른다. 그러므로 아들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면 너희는 정녕 자유롭게 될 것이다.”


진리자체이신 아드님이 우리를 자유롭게 할 때 비로소 자유인이라는 것입니다. 주님 말씀 안에 머물러 주님의 제자로 살아갈 때 진리자체이신 주님을 깨달아 알아감으로 비로소 자유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자유 또한 쟁취하는 것이 아니라 아드님의 선물임을 깨닫습니다. 


주님 말씀의 열매가, 주님 찬미의 열매가 자유입니다. 끊임없는 렉시오 디비나를 통한 말씀공부와 시편성무일도를 통한 주님 찬미를 통해 진리자체이신 주님과 우정이 깊어가면서 심화되는 자유이니 이 또한 주님의 선물입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를 참으로 자유롭게 하십니다. 진리자체이신 주님을 깨달아 앎으로 참으로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미사은총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30 살아 계신 파스카 주님과의 만남 -위로와 치유, 기쁨과 평화, 희망과 자유-2023.4.13.부활 팔일 축제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4.12 282
3029 구원의 여정 -사랑, 회개, 만남, 선포-2023.4.11.부활 팔일 축제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4.11 289
3028 예수님 부활 -사실인가 유언비어인가?-2023.4.10.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4.10 293
3027 파스카의 기쁨, 신록의 기쁨 -사랑, 믿음, 희망-2023.4.9.주님 부활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4.09 309
3026 “예수님, 부활하셨습니다!” -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2023.4.8. 성토요일 파스카 성야미사 프란치스코 2023.04.08 296
3025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신 파스카 예수님 -날마다 은총의 어좌로 나아갑시다-2022.4.7.주님 수난 성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7 296
3024 파스카 축제의 생활화 -파스카의 꽃으로, 하느님의 자녀답게 삽시다- “겸손한 섬김의 사랑”2023.4.6.주님 만찬 성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6 310
3023 배움의 여정 -우리는 모두 주님의 제자들이다-2023.4.5.성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5 277
3022 예수 그리스도님 -우리는 예수님의 제자이자 친구이다- “서로 사랑하여라”2023.4.4.성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4 291
3021 "Church, home for all" (교회는 모두의 고향) -하느님, 예수님 역시 모두의 고향- -하느님, 예수님 역시 모두의 고향-2023.4.3.성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3.04.03 302
3020 파스카 신비의 삶과 죽음 “아버지의 뜻대로” -끊임없는, 한결같은 기도가 답이다-2023.4.2.주님 수난 성지 주일 프란치스코 2023.04.02 390
3019 남북 평화 통일 -파스카의 예수님이 궁극의 답이다.-2023.4.1.사순 제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1 279
3018 하느님 중심의 삶 -자녀답게-2023.3.31.사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3.31 298
3017 깊고 넓은 내적시야內的(視野)를 지닙시다 -기도와 성독(Lectio Divina)-2023.3.30.사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3.30 299
3016 자유의 여정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2023.3.29.사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9 292
3015 믿음의 여정旅程, 믿음의 전사戰士, 믿음의 훈련訓鍊 -무지에 대한 답은 믿음뿐이다-2023.3.28.사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8 270
3014 사랑의 지혜 -“죄없는 자가 먼저 돌을 던져라.”2023.3.27.사순 제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7 281
3013 공동생활(共同生活)의 축복과 아름다움 -그리스도 예수님 중심의 공동체-2023.3.26.사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23.03.26 273
3012 하느님의 참 좋은 선물 -사랑과 겸손, 경청과 순종, 찬미와 감사-2023.3.25.토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3.25 284
3011 하느님 중심의 삶 -악인(惡人)이 아닌 의인(義人)으로 삽시다-2023.3.24.사순 제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4 282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