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3.21. 성주간 월요일                                                                                         이사42,1-7 요한12,1-11


                                                                  성서聖書에서 길을 찾다

                                                                        -주님과의 만남-


어제 문득 떠오른 말마디, ‘성서聖書에서 길을 찾다’를 오늘 강론 제목으로 삼았습니다. 제가 필요하다 싶을 때 괄호안에 한자나 영어를 넣는 것은 그 뜻을 마음 깊이 새기고자 하는데 있습니다. 새벽마다 한결같이 성서를 묵상하며 강론을 쓰는 까닭은 바로 그날의 길을 찾기 위함이요, 그날의 중심과 질서를 잡기 위함입니다. 


성서를 묵상하며 주님을 만날 때 열리는 하루의 길입니다. 한 번 주님을 만났다 활짝 열리는 길이 아니라 매일 새롭게 만나야 새롭게 열리는 주님의 길, 우리의 길입니다.


육신의 성장은 멈춰도 내적, 영적성장은 죽을 때까지 평생 계속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인생 유일한 목적이자 의미입니다. 주님과의 부단한 만남을 통한 자기발견, 자기실현으로 참 나가 되는 것입니다. 추상적인 참 나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점차 주님을 닮아감으로 주님의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 환대의 집인 베타니아의 삼남매 중 마리아와 주님과의 만남이 참 아름답고 감동적입니다. 예수님을 위한 잔치가 베풀어 졌다니 얼마나 예수님을 잘 환대한 삼남매인지 깨닫습니다. 흡사 예수님을 위한 잔치이자 우리를 위한 잔치인 이 거룩한 미사를 상징하는 듯합니다. 삼남매가, 우리가 잔치에 모신 주님은 어떤 분이십니까? 바로 이사야가 오늘 제1독서에서 아름답게 묘사하는 주님의 종입니다.


“그는 외치지도 않고 목소리를 높이지도 않으며, 그 소리가 거리에서 들리게 하지도 않으리라. 그는 부러진 갈대를 꺾지 않고, 꺼져 가는 심지를 끄지 않으리라. 그는 성실하게 공정을 펴리라. 그는 지치지 않고 기가 꺾이는 일 없이, 마침내 세상에 공정을 세우리라. 섬들도 그의 가르침을 고대하리라.”


정말 닮고 싶은 모습입니다. 예수님을 통해 그대로 실현된 모습이며 우리 믿는 이들이 추구할 자비롭고 겸손한 주님의 종의 모습입니다. 이런 이들이 진정 주님께서 붙들어 주는 이, 주님이 선택한 이, 주님의 마음에 드는 이들입니다. 주님은 이런 이들을 불러 당신 일을 맡기십니다.


“주님인 내가 의로움으로 너를 부르고, 네 손을 붙잡아 주었다. 내가 너를 민족의 빛이 되게 하였으니, 보지 못하는 눈을 뜨게 하고, 갇힌 이들을 감옥에서,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이들을 감방에서 풀어주기 위함이다.”


바로 오늘 복음의 주님과 마리아의 만남을 통해 그대로 실현됨을 봅니다. 사랑의 빛이신 주님을 만남으로 마음의 눈이 활짝 열린 마리아요 어둠 속 죄의 자기감옥에서 해방된 마리아입니다. 바로 오늘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을 상징합니다. 순수한 사랑은 계산을 초월합니다. 사랑의 주님을 만날 때 저절로 회개요 사랑의 표현입니다. 주님을 만남으로 이미 지상에서 천상적 사랑의 삶을 사는 마리아입니다.


‘그런데 마리아가 비싼 순 나르드 향유 한 리트라를 가져와서, 예수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카락으로 그 발을 닦아 드렸다. 그러자 온 집안에 향유 냄새가 가득하였다.’


얼마나 아름다운 장면의 묘사인지요. 온 집안에 가득한 향유냄새가 상징하는바 마리아의 존재의 향기, 영혼의 향기, 사랑의 향기입니다. 순수한 사랑의 표현이 이런 거룩한 낭비입니다. 주님의 발치에 앉아 주님의 말씀을 경청하던 마리아가 오늘은 주님의 발에 향유를 붓습니다. 이런 마리아의 자세로 주님의 미사잔치에 참석한 우리들입니다.


“어찌하여 저 향유를 삼백 데나리온에 팔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지 않는가?”


마리아의 자세와는 너무나 다른 직제자 유다의 모습입니다. 마리아의 엄청난 낭비(?)를 애석해 하는, 영적으로 눈먼 물질주의자 유다입니다. 바로 이 말이 사랑 없는 유다를 심판합니다. 주님 가까이 있었지만 마음으로는 가장 멀리 있는 유다요, 주님을 환대하는 마리아가 바로 예수님 마음 가까이 있음을 봅니다. 이런 내적현실을 꿰뚫어 보신 주님은 마리아를 두둔하시고 변호하십니다.


“이 여자를 그냥 놔두어라. 그리하여 내 장례 날을 위하여 이 기름을 간직하게 하여라. 사실 가난한 이들은 늘 너희 곁에 있지만, 나는 늘 너희 곁에 있지는 않을 것이다.”


사랑의 분별입니다. 이미 주님의 죽음을 예견했기에, 사랑하는 주님을 만났기에 온 마음을 다해 사랑을 표현하는 마리아입니다. 바로 오늘 지금 여기, 우리 모두 주님의 발치에 앉아 마리아와 함께 주님의 말씀을 경청하며, 주님께 사랑의 향유를 부으며 주님을 환대하는 이 거룩한 미사잔치 시간입니다.


“주님은 나의 빛, 나의 구원, 나 누구를 두려워하랴? 주님은 내 생명의 요새, 나 누구를 무서워하랴?(시편27,1).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31 우리를 감동시키는 예수님 -사랑과 회개-2023.4.13.부활 팔일 축제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4.13 278
3030 살아 계신 파스카 주님과의 만남 -위로와 치유, 기쁨과 평화, 희망과 자유-2023.4.13.부활 팔일 축제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4.12 282
3029 구원의 여정 -사랑, 회개, 만남, 선포-2023.4.11.부활 팔일 축제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4.11 289
3028 예수님 부활 -사실인가 유언비어인가?-2023.4.10.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4.10 293
3027 파스카의 기쁨, 신록의 기쁨 -사랑, 믿음, 희망-2023.4.9.주님 부활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4.09 309
3026 “예수님, 부활하셨습니다!” -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2023.4.8. 성토요일 파스카 성야미사 프란치스코 2023.04.08 296
3025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신 파스카 예수님 -날마다 은총의 어좌로 나아갑시다-2022.4.7.주님 수난 성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7 296
3024 파스카 축제의 생활화 -파스카의 꽃으로, 하느님의 자녀답게 삽시다- “겸손한 섬김의 사랑”2023.4.6.주님 만찬 성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6 311
3023 배움의 여정 -우리는 모두 주님의 제자들이다-2023.4.5.성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5 277
3022 예수 그리스도님 -우리는 예수님의 제자이자 친구이다- “서로 사랑하여라”2023.4.4.성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4 291
3021 "Church, home for all" (교회는 모두의 고향) -하느님, 예수님 역시 모두의 고향- -하느님, 예수님 역시 모두의 고향-2023.4.3.성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3.04.03 302
3020 파스카 신비의 삶과 죽음 “아버지의 뜻대로” -끊임없는, 한결같은 기도가 답이다-2023.4.2.주님 수난 성지 주일 프란치스코 2023.04.02 390
3019 남북 평화 통일 -파스카의 예수님이 궁극의 답이다.-2023.4.1.사순 제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1 279
3018 하느님 중심의 삶 -자녀답게-2023.3.31.사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3.31 298
3017 깊고 넓은 내적시야內的(視野)를 지닙시다 -기도와 성독(Lectio Divina)-2023.3.30.사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3.30 299
3016 자유의 여정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2023.3.29.사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9 292
3015 믿음의 여정旅程, 믿음의 전사戰士, 믿음의 훈련訓鍊 -무지에 대한 답은 믿음뿐이다-2023.3.28.사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8 270
3014 사랑의 지혜 -“죄없는 자가 먼저 돌을 던져라.”2023.3.27.사순 제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7 281
3013 공동생활(共同生活)의 축복과 아름다움 -그리스도 예수님 중심의 공동체-2023.3.26.사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23.03.26 273
3012 하느님의 참 좋은 선물 -사랑과 겸손, 경청과 순종, 찬미와 감사-2023.3.25.토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3.25 284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