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8.23. 연중 제21주간 화요일                                                           2테살2,1-3ㄱ.14-17 마태23,23-26


                                                          회개悔改와 마음의 정주stability;定住


오늘 8.23일은 여름의 더위가 그친다는 처서處暑입니다. 새벽 은은한 달밤, 배밭사이를 산책하면서도 간간이 울리는 벌레소리와 서늘한 느낌이 이제 기도의 계절, ‘가을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제 불볕 무더위도 가고 본격적인 정주생활에 정진할 수 있는 계절이 되었습니다. 


제가 강론을 쓸 때 단어 괄호안에 한자나 영어를 병기하는 것은 그 단어의 중요성 때문입니다. 한자나 영어를 병기하면서 그 뜻을 깊이 생각하고 마음에 담아 둡니다. 한자를 보면 마치 그 뜻을 그림으로 보는 느낌입니다. 오늘 강론의 주제는 마음의 정주입니다. 정주는 분도회의 수도서원중 첫째에 속하지만 오늘날 불안한 시대에는 참으로 중요한 영성임을 깨닫습니다.


회개와 정주는 함께 갑니다. 회개와 더불어 우리 삶의 중심이신 하느님께 돌아와 하느님 안 제자리에서 제정신으로 제대로 사는 것이 정주입니다. 바로 이것이 마음의 정주요 영원한 삶입니다. 마음이 하느님 안 제자리에서 벗어날 때 파생되기 시작하는 온갖 문제들입니다. 삶은 중심과 질서를 잃어 복잡해지고 혼란스러워집니다. 부단한 회개를 통한 마음의 정주와 더불어 삶은 단순해 지고 깊어집니다. 며칠전 읽은 좋은 글이 생각납니다.


“단순한 삶은 불행을 견디는 강한 힘이 있는 반면에 복잡한 삶은 불행에 취약하다. 적게 소유할수록 삶은 단순해지고, 많이 가질수록 삶은 복잡해진다. 삶의 방식이 단순할수록 삶은 본질에 가까워지고, 단순함에서 멀어지는 사람일수록 더 세속화된다. 적게 소유하고 크게 생각하라.”


마음의 정주와 더불어 본질적인 단순한 삶입니다. 오늘 말씀을 ‘마음의 정주’라는 주제라는 관점에서 볼 때 저절로 문제에 대한 답이 나옵니다. 마음의 정주에서 벗어나 자기를 잃었기에 위선적 눈먼 어리석은 율법학자와 바리사이들의 삶입니다. 어제와 똑같이 이어지는 이들에 대한 주님의 불행선언입니다. 


“1.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박하와 시라와 소회향은 십일조를 내면서, 의로움과 자비와 신의처럼 율법에서 중요한 것들을 무시하기 때문이다. 십일조도 무시해서는 안되지만, 바로 이러한 것들을 실행해야 한다. 눈 먼 인도자들아! 너희는 작은 벌레들은 걸러내면서 낙타는 그냥 삼키는 자들이다.


2.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울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아!

너희가 잔과 접시의 겉은 깨끗이 하지만, 그 안은 탐욕과 방종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눈먼 바리사이야! 먼저 잔 속을 깨끗이 하여라, 그러면 겉도 깨끗해 질 것이다.”


마음의 정주를 잃었기에 분별의 눈을 잃어 주객전도主客顚倒, 본말전도本末顚倒의 눈먼 삶입니다. 본의 아니게 누구나 마음의 정주를 잃으면 위선자의 삶입니다. 율법학자와 바리사이들은 물론 우리 모두의 회개를 촉구하는 말씀입니다. 마음의 정주에 충실하여 마음이 깨끗하고 단순해지면 저절로 밖의 삶도 깨끗해지고 단순해지기 마련입니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바로 부단한 회개를 통해 마음의 정주를 사는 이들의 축복입니다. 1독서에서처럼 누가 주님의 날이 왔다고 말할 때 쉽사리 마음이 흔들리거나 불안해 하지도 않을 것이며, 속임수에 넘어가지도 않을 것입니다. 마음의 정주를 잃어버릴 때 탐욕과 방종의 유혹에 빠지기 쉽고, 마음은 자주 불안과 두려움에 사로잡히게 되고 안정과 평화를 잃게 됩니다. 바오로 사도 역시 우리의 정주의 삶을 격려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복음을 통하여 여러분을 부르셨습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을 차지하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형제 여러분, 굳건히 서서 여러분이 배운 전통을 굳게 지키십시오.”


주님 안에 굳건히 서서 우리가 배운 교회전통을 굳게 지키는 삶이 바로 정주의 삶입니다. 바로 수도원의 일과표가 우리의 정주의 삶을 굳건히 해줍니다. 일과표에 충실할 때 비로소 회개와 정주의 삶의 일상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비단 수도생활이 아니더라도 각자 삶의 자리에서 정주영성을 살기 위해서는 기도와 일의 균형이 잡힌 적절한 일과표가 필요함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를 사랑하시고, 당신의 은총으로 영원한 격려와 좋은 희망을 주시며, 우리의 힘을 북돋아 주시어 우리 모두 정주의 삶에 충실하게 하십니다.


“주님께 나아가면 빛을 받으리라. 너희 얼굴에는 부끄러움이 없으리라.”(시편34,6).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0 충실하고 슬기로운 주님의 종 -깨어 준비하며 제 책임을 다 합시다-2020.10.21.연중 제29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0.21 117
629 충실하고 슬기로운 주님의 종으로 살기 -하느님의 자녀답게-2023.11.10.금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10 176
628 치열熾㤠한 삶 -항구하고 간절한 기도와 믿음-2019.9.16.월요일 성 고르넬리오 교황(+253)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25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9.16 178
627 치유의 구원 -갈망과 찾음, 만남과 치유, 선포와 영광-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2024.2.11.연중 제6주일(세계 병자의 날) 프란치스코 2024.02.11 139
626 치유의 구원救援, 참 나의 실현實現이자 발견發見 -찾으라, 만나라, 일어나라-2021.6.27.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6.27 130
625 치유의 여정 -겸손과 순종, 만남과 치유, 감사와 찬양-2022.10.9.연중 제28주일 프란치스코 2022.10.09 213
624 치유의 은총 -천형天刑이 천복天福으로-2020.6.26.연중 제1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26 115
623 친구가 답이다 -주님과의 우정友情-2017.2.24. 연중 제7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2.24 123
622 침묵, 그리고 자비와 지혜 -하느님의 이름은 자비이다(The Name of God is Mercy)-2016.5.28. 연중 제8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5.28 254
621 침묵의 사랑, 침묵의 훈련 -침묵 예찬-2021.12.18.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2.18 152
620 큰 사람, 큰 사랑으로 살기 -사랑의 축제인생-2019.3.29. 사순 제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29 151
619 큰 산, 큰 사랑, 큰 사람 -하느님 중심의 삶-2019.2.3.연중 제4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2.03 181
618 탄력 좋은 삶과 믿음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2022.3.10.사순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3.10 195
617 탄생의 기쁨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2018.9.8. 토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 프란치스코 2018.09.08 377
616 탈출(Exodus)의 여정 -날마다 새로운 출발-​​​​​​​"산처럼, 물처럼-"2023.8.17.연중 제19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7 270
615 탈출(脫出;Exodus)의 여정 -파스카의 삶-2015.7.18.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07.18 255
614 탈출의 여정 -주님과의 만남과 우정-2019.10.18.금요일 성 루카 복음 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0.18 208
613 탈출의 여정, 따름의 여정 -부르심과 응답-2019.9.21. 토요일 성 마태오 복음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9.21 140
612 탐욕貪慾에 대한 처방은 믿음뿐이다-.2015.10.19. 연중 제29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10.19 201
611 탐욕에 대한 처방법 “탐욕”의 뿌리에는 “두려움”이, 두려움의 뿌리에는 “불신”이 있다 -하늘에 보물을 쌓는 사랑과 믿음의 삶을 삽시다-2023.10.23.연중 제29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10.23 156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