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8.27. 토요일 성녀 모니카(332-387) 기념일                                              1코린1,26-31 마태25,14-30


                                                                  주님과 함께 기쁨을 나누는 삶


피정지도중 실감나는 비유가 인생 순례를 일년사계로 비유했을 때 어느 계절에 와 있겠느냐 하는 것입니다. 막연하게 생각되는 인생도 일년사계에 견주어 볼 때 구체적으로 실감나게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참 재미있는 것이 소규모 단체 피정 오는 분들이 대부분 인생사계로 치면 가을 나이쯤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인생은 어느 계절쯤에 와 있습니까?”

“가을인 것 같습니다.”

“가을에는 여기 배밭을 봐도 배들이 점차 크게 익어가다가 10월 쯤 수확합니다. 여러분 삶의 열매는 잘 익어가고 있는지요?”


문답을 주고 받으면 재미있어 하며 문제의 심각성을 곧 이해합니다. 자신의 삶의 열매를 즉 믿음의 열매, 희망의 열매, 사랑의 열매를 점검해보곤 합니다. 가을 수확기의 인생이 되어도 수확할 열매가 없다면 그 인생 참 허무할 것입니다. 텅 빈 충만이 아닌 텅 빈 허무의 삶처럼 느껴질 것입니다.


오늘의 하늘나라 비유가 참으로 적절합니다. 우리의 열매가 어느 상태에 있는지 점검해보도록 합니다. 엊그제와 어제 양일간 하늘나라 비유의 핵심은 깨어 준비하는 삶이었습니다. 오늘은 구체적으로 깨어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답을 줍니다. 주님께 받은 탈렌트대로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살면서 좋은 결과를 냈는가 묻습니다. 업적의 양이 아닌 활동의 질을 묻습니다.


다섯 탈렌트 받은 이가 다섯 탈렌트 남긴 것이나, 두 탈렌트 받은 이가 두 탈렌트 받은 것이나 업적의 양은 다르지만 활동의 질은 똑같습니다. 주님께서 보시는 바 바로 활동의 질입니다. 자기 받은 몫에 최선을 다하면 충분합니다. 복음에서 보다시피 업적의 양에 상관없이 둘 다 똑같이 주인에게 칭찬을 받습니다.


“잘 하였다. 착하고 성실한 종아! 네가 작은 일에 성실하였으니 이제 내가 너에게 많은 일을 맡기겠다. 와서 네 주인과 함께 기쁨을 나누어라.”


이 말씀에 착안하여 오늘 강론 제목은 ‘주님과 함께 기쁨을 나누는 삶’이라 정했습니다. 인생 마지막에 남긴 탈렌트를 셈하는 것이 아니라 하루하루 셈하는 종말론적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바로 매일미사가 지난 하루 살았던 삶을 셈하는 시간이자 하루의 삶을 계획하는 시간입니다.


주목할 것은 사람마다 받은 은총이 다 다르다는 것입니다. 자랑할 것도 비교할 것도 없다는 것입니다. 우월감을 가질 것도 열등감을 가질 것도 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각자 받은 은총에 감사하며 최선을 다해 살면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바로 주님께 대한 깊은 신뢰와 신의를 의미합니다. 모든 것이 주님께 받은 것임을 깨달을 때 저절로 주님께 감사할 것이며 깊은 겸손도 뒤따를 것입니다. 바오로 사도의 말씀이 참으로 적절합니다. 결론하여 어떠한 인간도 하느님 앞에서는 자랑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 살게 해 주셨습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에게 하느님에게서 오는 지혜가 되시고, 의로움과 거룩함과 속량이 되게 하셨습니다.”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 살 때 열매 풍성한 삶임을 깨닫습니다. 모두가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께 받은 은총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오늘 복음의 한 탈렌트 받은 자가 문제입니다. 한 탈렌트를 전혀 활용하지 않고 땅에 묻어 두었다 합니다. 


일체의 모험을 피하고 안정 제일의 삶을 산 것입니다. 삶에 대한 의욕도 열정도 없는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자기폐쇄의 삶을 산 것입니다. 관계도 빈약했고 성장도 성숙도 없는 이런 인생 가을이라면 참 허망하기 짝이 없을 것입니다. 이 또한 하나의 삶의 유형이자 우리의 가능성입니다. 건강한 삶의 태도를 지녔더라면 받은 한 탈렌트를 활용하여 한 탈렌트를 남겼었을 것이고 주인으로부터 똑같은 칭찬을 받았을 것입니다.


삶은 은총이자 평생과제입니다. 받은 은총의 탈렌트를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평생과제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가 받은 탈렌트를 잘 활용하여 좋은 열매를 맺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51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인생 항해(航海)-2015.4.18. 부활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04.18 449
3450 "나를 따라라." 2015.2.21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2.21 268
3449 "내 안에 머물러라"2015.5.6. 부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5.06 527
3448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사랑하라, 찬미하라, 기뻐하라-2016.4.10. 부활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16.04.10 2495
3447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사랑 예찬-2015.5.7. 부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5.07 357
3446 "당신은 누구요(Who are you)?"2015.3.24. 사순 제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3.24 317
3445 "당신은 누구요?” -주님 사랑 안에 머무르십시오-2016.1.2. 토요일 성 대 바실리오(330-379)와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330-3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1.02 389
3444 "들어라!" -행복하여라, 주님의 말씀을 듣고 실행하는 사람!-2017.4.12. 성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4.12 151
3443 "박해를 각오하십시오." -성령, 치욕, 겸손-2017.12.26. 화요일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프란치스코 2017.12.26 150
3442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2018.4.7. 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07 134
3441 "어떻게 살아야 하나?" -'짐'이 아닌 '선물', '축복된 존재'로-2018.1.1.월요일 천주의 모친 성모 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8.01.01 228
3440 "어떻게 살아야 하나?" -하느님의 감동, 영적전쟁의 승리-2018.6.13. 수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6.13 316
3439 "오늘, 예수님을 뵈었습니다."2015.3.22. 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5.03.22 347
3438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요한19,5)"-2016.3.20. 주님 수난 성지 주일 프란치스코 2016.03.20 295
3437 "주님을 기억하라"-기억(anamnesis)에 대한 묵상-2016.3.24. 주님 만찬 성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6.03.24 274
3436 "주님을 찾아라." -우리의 유일한 평생과제-2017.1.29. 연중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7.01.29 184
3435 "평화가 너희와 함께!“-손을 잡아 주십시오-2015.4.19. 부활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15.04.19 385
3434 "하느님 소원을 풀어드립시다"-2015.6.28. 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프란치스코 2015.06.28 277
3433 "하느님의 얼굴을 뵙고 싶습니까?" -파스카의 삶, 하나뿐!-2018.5.3. 목요일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5.03 152
3432 "행복하여라, 평화의 사람들!"2017.5.16. 부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5.16 9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