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3. 연중 제27주간 월요일                                                                         갈라1,6-12 루카10,25-37


                                                    발견의 은총, 발견의 기쁨, 발견의 놀라움

                                                            -“가서 너도 그렇게 하여라”-


풍요로운 수확이 끝난 텅 빈 배밭의 ‘텅 빈 충만’이 참 넉넉하고 편안합니다. 만약 흉작으로 수확이 부실했다면 텅 빈 배밭은 '텅 빈 허무'처럼 마냥 쓸쓸하고 허전했을 것입니다. 인생의 이치도 이와 똑같습니다. 이런 깨달음 역시 새로운 발견의 은총이요 발견의 기쁨입니다.


오늘은 ‘발견의 은총. 발견의 기쁨, 발견의 놀라움’에 대한 묵상 나눔입니다. 삶은 발견이요 발견의 여정입니다. 하느님도 나도 이웃도 끊임없이 새롭게 발견해 가는 삶의 여정입니다. 이런 발견의 여정이 우리의 내적시야를 부단히 넓혀주어 자유롭게 합니다.


이런 끊임없는 발견의 여정이 우리를 늘 새롭게, 놀랍게 합니다. 깨달음에 눈이 열림이 발견입니다. 말 그대로 발견의 은총입니다. 발견의 기쁨, 발견의 놀라움이 저절로 뒤 따릅니다. 발견의 기쁨이 늘 새 하늘, 새 땅을 살게 하며, 늘 새로운 시작을 하게 합니다. 


행복도, 감사도 발견입니다. 행복을, 감사를 옆에 놔두고 눈이 가려 못보기에 불행이요 불평입니다. 눈만 열리면 온통 하느님의 선물로 가득한 세상임을 깨닫습니다. 온통 행복거리로, 감사거리로 널린 세상임을 볼 것입니다. 온통 기쁜 소식의 복음으로 가득찬 세상임을 볼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하느님과 사랑에 빠진 신비가神祕家의 눈입니다. 며칠 전 홈페이지 게시판에 올린 ‘기쁜 소식’이란 알림글도 생각납니다. 


“-기쁜 소식-

수도원의 맛좋은 신고배가 본격적으로 수확, 판매되고 있습니다. 주문하실 분은 다음 안내실에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031-527-8115 또는 010-7200-8115”


이런 재치와 유우머 역시 하나의 발견입니다. ‘기쁜 소식’이란 말의 궁금증에 아마 많은 이들은 즉시 열어보았을 것입니다. 오늘 복음도 이런 발견의 관점에서 보면 이해가 새롭습니다. 완전히 새로운 발견이요 깨달음입니다. 보는 눈을 바꾸게 되고 기존의 행동양식을 바꾸게 됩니다. 예수님은 과연 비유의 달인입니다. 착한 사마리안의 비유를 통해 우리 눈을 열어주고 사고의 전환을 이루어 줍니다.


사마리아인 하면 유대인들이 선입견과 편견을 지닌 이방인이요 이교인입니다. 한 참 아래로 내려다 보는 사람 취급도 않는 사마리아 사람들입니다. 예수님은 이런 사마리아인들에 대한 기존관념을 일신 시킵니다. 착한 사마리아인을 통한 발견의 은총, 발견의 기쁨, 발견의 놀라움을 체험합니다.


정작 사랑을 실천해야 할 사람은 사제와 레위인이어야 했는데 사마리안이었습니다. 종족, 인종, 종교, 국가, 사회계급의 장벽을 넘어 곤궁중에 있는 이들이 도와야 할 이웃임을 오늘 복음의 사마리아인이 깨닫게 합니다. 


‘누가 나의 이웃인가’에 대한 나 중심의 추상적 물음 대신, ‘곤궁중에 있는 이들이 이웃이 되어 주라’는 예수님의 가르침이 참 신선한 발견의 깨달음입니다. 사마리아인을 통해 우리의 보는 눈도 생각도 행동도 바뀝니다. 참으로 은혜로운 비유입니다. 마지막 예수님과 율법교사의 주고 받는 결론같은 문답은 그대로 우리의 경우에 해당됩니다.


-예수님; “너는 이 세 사람 가운데에서 누가 강도를 만난 사람에게 이웃이 되어 주었다고 생각하느냐?”

 율법학자; “그에게 자비를 베푼 사람입니다.”

 예수님; “너도 가서 그렇게 하여라.”-


이제 추상적 질문은 그만하고, 발견의 기쁨에 머물지 말고, 삶의 현장에서 사마리안처럼 자비를 실천하며 발견의 기쁨을 살라는 것입니다. 우리의 보는 눈을, 사고방식을, 행동방식을 바꿔주는 참 신선하고 충격적인 사마리아인의 비유입니다. 


오늘 1독서의 바오로도 발견의 은총을, 발견의 기쁨을, 발견의 놀라움을 고백합니다. 다른 복음은 있을 수 없고 오직 하나의 복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만이 있음을 고백합니다.


“내가 아직도 사람들의 비위를 맞추려고 하는 것이라면, 나는 더 이상 그리스도의 종이 아닐 것입니다. 그 복음은 내가 어떤 사람에게서 받은 것도 아니고 배운 것도 아닙니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를 통하여 받은 것입니다.”


자기가 전하는 복음은 그대로 주님께로 받은 계시의 은총, 발견의 은총임을 고백하는 바오로입니다. 복음을 체험함으로 보는 눈도, 사고 방식도, 행동방식도 완전히 변화된 바오로입니다. 끊임없는 발견의 은총, 발견의 기쁨이 우리를 부단히 새롭게, 놀랍게, 자유롭게 변화시킴을 깨닫습니다. 


얼마전 읽은 욥기에 대한 결론 같은 어느 평자의 예리한, 통찰력 넘치는 결론같은 글을 나눕니다. 길다 싶지만 많은 생각거리를 제공하기에 그대로 인용합니다.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력히 입증하는 증거앞에서 오히려 신이 발명되고야 마는 역설. 가장 끔찍한 고통을 겪은 인간이 오히려 신 앞에 무릎을 꿇기를 선택하는 아이러니. 그럴 수밖에 없었던 마음들이 얼마나 많았을까. 나는 근래 수백 명의 아이를 잃은 부모들이 갑자기 독실한 신앙인이 된다 해도 놀라지 않을 것 같다. 무신론자에게 신을 받아들이는 일이란 곧 사유와 의지의 패배를 뜻할 뿐이지만, 고통의 무의미를 견딜 수 없어 신을 발명한 이들을 누가 감히 ‘패배한’ 사람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인가."


여기서 즉시 마음에 걸리는 말마디가 신의 발명입니다. 믿지 않는 이들에게 발명이겠지만 깨달음의 믿는 이들에겐 발견입니다. ‘발명發明이냐 발견發見이냐’참 좋은 화두입니다. 그러나 깊이 보면 발명같이 보여도 숨겨져 있던 것의 새로운 발견일뿐 발명은 아닙니다. 그러니 신의 발명發明이 아니라 신의 발견發見으로 정정합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마음의 눈을 열어 주시어 오늘도 발견의 기쁨, 발견의 놀라움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0 늘 새로운 만남, 새로운 시작 -주님과 함께-2019.8.24. 토요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24 185
669 눈높이 사랑 -부활하신 주님의 사랑-2016.3.30. 부활 팔일 축제 내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3.30 423
668 누구를 찾느냐? -찾아라, 만나라, 전하라-2023.7.22.토요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프란치스코 2023.07.22 279
667 누가 하느님의 사람인가?-2017.6.5. 월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675-754)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6.05 105
666 누가 참으로 주님을 따르는 사람인가? -자비로운 사람-2019.3.18. 사순 제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18 145
665 누가 참 행복한 사람인가? -행복하여라, 하느님께 희망을 둔 사람!-2023.9.13.수요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349-40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9.13 259
664 누가 참 아름답고 행복한 사람인가? -성소聖召에 충실한 사람-2018.7.15. 연중 제15주일 2 프란치스코 2018.07.15 96
663 누가 참 사람인가? -주님의 사랑을 받는 사람-2016.3.5. 사순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3.05 345
662 누가 착한 목자인가? -희망, 평화, 사랑-2018.7.22. 연중 제16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7.22 95
661 누가 진정 슬기로운 수행자修行者인가? -주님 반석 위에 인생집을 짓는 사람-2017.12.7. 목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07 153
660 누가 주님의 제자이자 사도인가?-2016.2.7. 연중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16.02.07 232
659 누가 좋은 지도자인가? -기도하는 사람, 겸손한 사람, 지혜로운 사람, 섬기는 사람, 담대한 사람-2017.3.30. 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3.30 169
658 누가 정말 좋은 사람인가? -토빗보다 예수님-2017.6.6.연중 제9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6.06 133
657 누가 오는 봄을 막을 수 있는가? -예수님은 봄이시다-2020.4.13.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13 168
656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인가?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2019.1.29.연중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29 188
655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인가? -기도, 공부, 실행-2018.7.24. 연중 제1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4 94
654 누가 예수님의 참 제자인가? -추종追從의 자세-2018.7.2. 연중 제1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2 114
653 누가 예수님께 합당한 사람인가? -찬미, 사랑, 십자가, 환대-2017.7.2. 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프란치스코 2017.07.02 217
652 누가 예수님 탄생을 체험하는가? -사랑, 가난, 고독, 깨어 있음-2019.12.25. 주님 성탄 대축일 밤미사 프란치스코 2019.12.24 121
651 누가 악인惡人인가? -악에 눈먼 무지의 사람-2017.3.31. 사순 제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3.31 148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