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10.10. 연중 제28주간 월요일                                              갈라4,22-24.26-27.31-51 루카11,29-32 


                                                                          회개의 표징

                                                                     -회개, 말씀, 자유-


오늘의 강론 제목은 ‘회개의 표징’입니다. 복음의 소제목은 ‘요나의 표징’입니다만 저는 ‘회개의 표징’으로 강론 제목을 삼았습니다. 의미심장한 것이 바로 오늘 복음에 앞선 제목이 지난 토요일의 강론 주제 ‘참행복’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이들이 오히려 행복하다.”


바로 지난 토요일 복음의 결론이자 참행복의 비결을 보여주는 대목이었습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지 않아 파생되는 불행들이요 온갖 문제들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지 않아 탈선한 악한 세대의 사람들에게 회개를 촉구하십니다.


“이 세대는 악하다. 이 세대가 표징을 요구하지만 요나 예언자의 표징 밖에는 어떠한 표징도 받지 못할 것이다. 요나가 니네베 사람들에게 표징이 된 것처럼, 사람의 아들도 이 세대 사람들에게 그러할 것이다.”


시공을 초월하여 영원한 현재성을 띠는 주님의 말씀은 오늘날 세대에게도 그대로 통합니다. 예나 이제나 악한 세대라는 것입니다. 정말 반복되는 역사같고 인간성의 진보가 과연 가능한지 묻게 됩니다. 인간의 본질은 그대로인 것 같습니다. 이럴수록 답은 단 하나 회개의 길뿐임을 깨닫습니다. 


“심판때에 남방 여왕이 이 세대 사람들과 함께 되살아나 이 세대 사람들을 단죄할 것이다.”

“심판때에 니네배 사람들이 이 세대와 함께 되살아나 이 세대를 단죄할 것이다.”


솔로몬의 지혜를 찾았던 남방 여왕, 니네베 사람들을 회개로 이끌었던 요나, 모두가 우리에게 회개의 표징입니다. 이 두 경우뿐 아니라 눈만 열리면 온통 하느님을, 참 나를 찾으라는 회개의 표징들입니다. 회개의 표징중의 표징이 십자가와 부활의 그리스도 예수님이십니다.


“그러나 보라, 솔로몬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그러나 보라, 요나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바로 오늘 지금 여기 현존하시는 그리스도 주 예수님이 회개의 으뜸 표징입니다. 그러니 매일 거행하는 성체성사보다 더 좋은 회개의 표징도 없습니다. 매일 미사를 통해 회개로 새롭게 거듭나는 우리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삶은 그대로 회개의 여정입니다. 끊임없이 하느님 안 제자리로 돌아가는 여정입니다. 비상한 회개가 아니라 본래의 하느님 안 제자리에 돌아와 깨어 제대로 제정신으로 제때에 맞게 처신하며 사는 것이 회개입니다. 하여 회개의 일상화, 회개의 생활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도와 일과 성독이 균형잡힌 수도원의 일과표가 그리도 고맙습니다. 


회개는 말씀 묵상과 실행으로 연결되어야 비로소 회개의 완성입니다. 회개의 생활화를 위해 말씀을 듣고 지키는 말씀의 생활화, 렉시오 디비나의 생활화가 얼마나 직접적이고 긴요한 지 깨닫습니다. 회개를 통한 말씀의 생활화와 더불어 내적자유입니다. 말씀의 진리가 우리를 참으로 자유롭게 합니다. 오늘 제1독서 바오로의 말씀이 적절합니다.


“그러나 하늘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의 몸으로써 우리의 어머니입니다. 우리는 여종의 자녀가 아니라 자유의 몸인 부인의 자녀입니다.”


하늘에 있는 예루살렘이, 자유의 몸이 상징하는 바 바로 우리의 어머니인 성교회입니다. 성교회의 어머니 품에서 어머니의 자녀로서 부단한 회개와 더불어 말씀의 진리를 실천해 갈 때 우리는 그리스도를 닮게 되어 비로소 자유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자유롭게 하시려고 해방시켜 주셨습니다. 그러니 굳게 서서 다시 종살이의 멍에를 메지 마십시오.”


그대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주님은 미사은총으로 우리를 해방시켜 자유롭게 하시니 굳게 서서 다시 종살이의 멍에를 메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새삼 이런 자유로운 삶을 위해 끊임없는 회개와 말씀의 실천 수행이 절대적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회개한 우리 모두를 참으로 자유롭게 하시며 더욱 말씀 수행에 전념토록 하십니다. 


“주님, 천상 은총으로 저희 몸과 마음을 이끄시어, 저희가 제 생각대로 살지 않고, 그 은총의 힘으로 살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1 참사람의 본질 -간절하고 겸손한 믿음-2017.12.4. 대림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4 136
710 참사람이, 성인이 되고 싶습니까? -끊임없는 회개-2017.10.1. 연중 제26주일 1 프란치스코 2017.10.01 127
709 참선물, 참보물 -“찾으라, 발견하라, 반기라”-2023.8.2.연중 제17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8.02 323
708 참으로 ‘살기위하여’ 할 일은 무엇인가? -“잊어라, 만나라, 달려라”-2022.4.3.사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22.04.03 206
707 참으로 “의로움”은 무엇인가? -예언자, 프란치스코 교황, 예수님, 에제키엘의 가르침- 프란치스코 2023.03.03 276
706 참으로 멋진 신자의 삶 -믿음, 고백, 실천-2018.9.16. 연중 제24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9.16 107
705 참으로 살고 싶습니까?-2017.11.5. 연중 제31주일 1 프란치스코 2017.11.05 99
704 참으로 삽시다 -사랑하라, 새로워져라, 겸손하라-2020.8.30.연중 제22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8.30 118
703 참으로 삽시다 -제자리, 제모습, 제색깔, 제향기, 제대로-2019.6.8. 부활 제7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6.08 150
702 참으로 잘 살고 싶습니까? -말씀, 경배, 순종, 고백, 전투-2019.3.10. 사순 제1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3.10 142
701 참으로 정의롭고 지혜로운 의인(義人)의 삶 “회개하라, 그러면 살리라” -구원은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2024.2.23.사순 제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3 145
700 참으로 하느님이자 사람이신 -사랑의 대사제 예수님-2023.1.15.연중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1.16 222
699 참으로 행복하게 살고 싶습니까? -찬미, 기억, 순종, 추종-2018.8.26. 연중 제21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8.26 119
698 참으로 행복하고 싶습니까? -하느님 중심의 삶-2019.2.17. 연중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2.17 135
697 참제자의 삶 -사랑, 이탈, 따름-2022.6.26.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프란치스코 2022.06.26 166
696 참평화의 열매 -참 좋은 하느님의 선물-2020.10.22.연중 제29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0.22 113
695 참행복 -성인聖人이 되는 것-2021.6.7.연중 제10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6.07 127
694 참행복 -주님과 우정의 사랑-2022.6.4.부활 제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6.04 141
693 참행복 -행복은 발견의 은총이자 선택이다-2020.6.8.연중 제10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08 115
692 참행복 -렉시오 디비나의 생활화-2016.10.8. 연중 제2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0.08 129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