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1.2. 월요일      성 대 바실리오(330-379)와 

나지안즈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330-379) 기념일

1요한2,22-28 요한1,19-28



“당신은 누구요?”

-그분 안에 머무르십시오-



오늘 요한 1서는 요한 교회 공동체내의 불화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 공동체는 예수 그리스도가 육으로 온 것을 부정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 반대자들은 거짓말쟁이들이고 오늘 말씀에서 보다시피 적 그리스도입니다. 바로 여기서 저자는 성령의 내주에 호소합니다. 아버지께서 모든 신자들을 진리에로 인도하는 성령입니다. 성령의 인도하에 교회의 가르침 안에 머무르는 것입니다. 요한 사도의 말씀을 들어보십시오. 


“여러분은 처음부터 들은 것을 여러분 안에 간직하십시오. 처음부터 들은 것을 여러분 안에 간직하면, 여러분도 아드님과 아버지 안에 머무르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그분께서 우리에게 하신 약속, 곧 영원한 생명입니다.”


바로 처음부터 들어 온 교회의 가르침을 간직하고 주님 안에 머무름으로 영원한 생명을 누리라는 말씀입니다. 바로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성령입니다.


“그분께서 기름 부음으로 여러분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십니다. 기름부음은 진실하고 거짓이 없습니다. 여러분은 그 가르침대로 그분 안에 머무르십시오.”


주님은 성령의 기름 부음으로 우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십니다. 하여 그분의 가르침대로 그분 안에 머무를 수 있습니다. 그분안에 머무를 때 비로소 내가 누구인지 압니다. 안정과 평화가 있습니다. 바로 적 그리스도는 그분안에 머무르지 않는 자들입니다. 그분을 떠날 때 불안과 두려움입니다. 오늘 요한1서에서 자주 반복되는 말마디가 그분 안에 머무르라는 것입니다.


“자녀 여러분, 그분 안에 머무르십시오. 그래야 그분께서 나타나실 때에 우리가 확신을 가질 수 있고, 그분의 재림 때에 그분 앞에서 부끄러운 일을 당하지 않을 것입니다.”


바로 이의 전형적 모범이 복음의 세례자 요한입니다. 성령의 기름부음을 받은 요한이기에 늘 주님 안에 머물렀고, 하여 자기가 누구인지 알았습니다. 자기를 아는 것이 진정 겸손이요 지혜입니다. 주님 안에 머물러야 비로소 주님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물음이라면 주님은 답입니다. 주님을 떠나서 내가 누구인지 아무리 물어도 해명되지 않습니다.


“당신은 누구요?”


묻는 다면 여러분은 누구라 대답하겠습니까? 너무나 중요한 물음입니다. 우리의 신원을, 정체성을 묻는 것입니다. ‘수도자는 누구인가?’ 매일 묻는 사람이 수도자라 합니다. 믿는 이들 누구나 자주 물어야 하는 물음입니다. 주님을 떠나 자기를 잊었기에 적 그리스도의 유혹에 빠질 수 있습니다. 정체성의 혼란보다 큰 재앙도 없습니다. 세례자 요한은 자기가 누구인지 알았습니다.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다. 나는 이사야 예언자가 말한 대로 ‘너희는 주님의 길을 곧게 내어라.’하고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다.”


우리 역시 그리스도가 아닙니다. 세례자 요한은 자기를 향한 시선을 주님께로 돌립니다. 주님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신원을 확립하라는 말씀입니다. 우리의 구원자는 아드님이신 그리스도 예수님 한 분뿐입니다. 우리 모두를 향한 세례자 요한의 말입니다.


“너희 가운데에는 너희가 모르는 분이 서 계신다. 내 뒤에 오시는 분이신데, 나는 그분의 신발 끈을 풀어 드리기에도 합당하지 않다.”


세례자 요한을 찾았던 이들은 자기들 가운데 서 계신 분이 누구인지 몰랐지만 우리는 압니다. 세례자 요한이 신발 끈을 풀어 드리기에도 합당하지 않다고 고백한 분은 바로 주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우리가 누구인지 알 수 있는 길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그분 안에 머무르는 길뿐입니다.이런 주님을 몰라서 교만이요 이런 주님을 알 때 비로소 겸손입니다. 그분과의 일치가 깊어져 겸손해질 때 참 나의 신원을 알 수 있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성령으로 충만케 하시어 늘 당신 안에 머물러 참 나를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50 변모의 여정 -날마다 거룩한 주님을 닮아가는-2025.2.25.사순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24.02.25 148
3349 평생공부, 평생과제 -완전한 사람, 사랑이 되는 것-2024.2.24.사순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4 150
3348 참으로 정의롭고 지혜로운 의인(義人)의 삶 “회개하라, 그러면 살리라” -구원은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2024.2.23.사순 제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3 145
3347 참 목자 영성 -“자비와 지혜, 온유와 겸손, 사랑과 섬김”-2024.2.22.목요일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프란치스코 2024.02.22 178
3346 회개의 여정(旅程)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2024.2.21.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1 164
3345 주님의 기도 “기도와 회개, 그리고 사랑” -기도가 궁극의 답이다-2024.2.20.사순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0 149
3344 최후심판 -나는 오른쪽인가 왼쪽인가?- “우리 모두가 가장 작은 이들 가운데에 ‘한 사람’이다”2024.2.19.사순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9 159
3343 “어떻게 살 것인가?” -더불어 광야 인생 순례 여정" "주님의 전사, 말씀의 전사, 사랑의 전사, 믿음의전사, 평화의 전사로"-2024.2.18.사순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24.02.18 149
3342 “나를 따라라” -더불어(together) 주님을 따름의 여정- “늘 새로운 시작”2024.2.17.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7 101
3341 참된 단식 -하느님께서 좋아하는 단식-2024.2.16.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6 175
3340 삶은 선택입니다 -짐이 아닌 늘 선물 인생을 사십시오- “생명의 길, 행복의 길, 구원의 길, 성인의 길”2024.2.15.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5 165
3339 하느님 중심의 참된 삶 -“회개하라, 사랑하라, 진실하라”-2024.2.14.재의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4 157
3338 깨달음 예찬 “무지에 대한 답은 깨달음뿐이다” -깨달음의 은총, 깨달음의 사랑, 깨달음의 훈련, 깨달음의 여정-2024.2.13.연중 제6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3 159
3337 예닮의 여정 -무지에 대한 답은 예수님뿐이다- “행복하여라, 지혜로운 이들!”2024.2.12.연중 제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2 150
3336 치유의 구원 -갈망과 찾음, 만남과 치유, 선포와 영광-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2024.2.11.연중 제6주일(세계 병자의 날) 프란치스코 2024.02.11 139
3335 성화의 여정 -존엄한 품위의 삶- “감사하십시오, 겸손하십시오, 깨어 있으십시오”-2024.2.10.토요일 설 프란치스코 2024.02.10 163
3334 들어라! -“에파타(열려라)!”-2024.2.9.연중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9 148
3333 하느님 중심의 정주 영성과 믿음의 -한결같이, 간절하고, 절실하고, 절박한 삶-2024.2.8.연중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8 147
3332 하느님 중심의 마음 관리 “회개의 여정, 자아초월의 여정” 삶은 은총의 선물이자, '부단한 선택-훈련-습관'의 평생과제이다 2024.2.7.연중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7 172
3331 “하느님은 어디에서 사시는가?” -존엄한 품위의 우리 안에, 우리와 더불어- “우리가 바로 성전입니다”2024.2.6.성 바오로 미키(1564-1597)와 25위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2.06 1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