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4.11. 부활 팔일 축제 내 토요일                                                                                                               사도4,13-21 마르16,9-15


                                                                                                           파스카 신비


답은 파스카 신비 하나뿐입니다. 파스카 신비의 체험만이 우리의 살길입니다. 파스카 신비의 체험만이 치유와 구원의 길입니다. 내 상처와 아픔의 자리에 치유와 구원의 부활하신 주님이 계십니다. 한 번으로 끝나는 파스카 신비 체험이 아니라 평생 끊임없이 체험해야 하는 파스카 신비,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입니다. 오늘 예물기도와 영성체후 기도도 파스카 신비가 중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주님, 이 거룩한 파스카 신비로 저희 구원을 이루시니, 저희가 감사하며 드리는 이 제사가 저희에게 영원한 기쁨의 원천이 되게 하소서.“

"주님, 파스카 신비로 새롭게 하신 주님의 백성을 인자로이 굽어보시어, 저희가 육신의 부활로 불멸의 영광을 누리게 하소서.“


참 아름답고 깊은 기도문입니다. 신비중의 신비가 파스카 신비요, 모든 신비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파스카 신비입니다. 세상에 신비 아닌 것이 어디 있습니까? 생명의 신비, 몸의 신비, 죽음의 신비, 고통의 신비, 사랑의 신비, 믿음의 신비, 성사의 신비, 악의 신비등 끝이 없습니다. 모두가 신비입니다. 이 모든 신비를 푸는 열쇠가 바로 파스카의 신비, 부활하신 주님이십니다. 


모든 신비의 중심에 바로 돌아가시고 부활하신 주님께서 현존하십니다. 새삼 파스카 신비의 성체성사가 궁극의 치유와 구원의 만병통치(萬病通治) 명약(名藥)임을, 영원한 기쁨의 원천임을 깨닫게 됩니다. 오늘 복음에서 불신과 완고함으로 요약되는 제자들을 꾸짖으신 주님은 우리를 꾸짖으십니다.


'마침내 열한 제자가 식탁에 앉아 있을 때에 예수님께서 나타나셨다. 그리고 그들의 불신과 완고한 마음을 꾸짖으셨다. 되살아난 당신을 본 이들의 말을 그들이 믿지 않았기 때문이다.‘


바로 우리의 보편적 모습입니다. 파스카 신비를 통해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야 치유되는 불신과 완고함, 무지와 교만의 마음의 병입니다. 한 번으로 치유되는 마음의 병이 아니라 끊임없이 파스카 신비를 통해 부활하신 주님을 체험해야 치유되는 마음의 병입니다. 하여 매일 성체성사에 참여하는 우리들입니다.


오늘 사도행전의 베드로와 요한이 그 모범입니다. 무식하고 평범한 이들의 담대함에 놀란 유다 지도자들과 원로들과 율법학자들입니다. 바로 부활하신 주님의 체험이 이들을 믿음의 용사로 변모시켰음을 봅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듣는 것보다 여러분의 말을 듣는 것이 하느님 앞에 옳은 일인지 여러분 스스로 판단하십시오. 우리로서는 보고 들은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로서는 보고 들은 것을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진리에 복종하는 확신에 넘친 고백입니다.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바로 진리입니다.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일치될수록 담대한 용기요 샘솟는 활력입니다. 복음 선포의 삶에 매진합니다. 당신 제자들에게 복음 선포의 사명을 부여하신 부활하신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도 똑같은 사명을 부여 하십니다.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

각자 세상의 중심인 제 삶의 자리에서 존재론적 복음 선포의 삶에 충실하라는 말씀입니다. 우리 분도회의 정주(定住) 수도승들은 매일의 성체성사와 성무일도의 공동전례기도를 통해 온 세상에 복음을, 부활하신 주님을 선포합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70 착한 목자, 주님이 원하시는 것, 세가지 -회개, 자비, 일치-2016.8.9. 연중 제19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8.09 180
2869 기쁨과 은총의 삶 -섬김과 따름의 삶-2016.8.10. 수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축일 프란치스코 2016.08.10 186
2868 회개의 표징들 -너 자신을 알라-2016.8.11. 목요일 성녀 클라라(1194-1253) 동정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8.11 228
2867 공동생활이냐 독신생활이냐?- -사람이 되는 일이 인생의 목표이다-2016.8.12. 연중 제1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2 256
2866 회개悔改와 동심童心-하느님은 과거를 묻지 않으십니다-2016.8.13. 연중 제1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3 190
2865 영적승리의 삶-그리스도의 전사戰士-2016.8.14. 연중 제20주일 프란치스코 2016.08.14 123
2864 하느님의 승리 -어머니를 그리며-2016.8.15. 월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08.15 233
2863 하늘 나라의 삶 -참 부자의 삶-2016.8.16.연중 제20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6 184
2862 착한 목자 -너그러우시고 자비로우신 주님-2016.8.17. 연중 제2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7 138
2861 하늘 나라 축제祝祭의 삶 -삶은 은총恩寵이자 평생 과제課題이다-2016.8.18. 연중 제2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8 170
2860 “너희 마른 뼈들아, 주님의 말을 들어라.” -생명과 사랑의 말씀-2016.8.19. 연중 제20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9 261
2859 주님은 늘 바라봐야 할 삶의 중심中心이자 방향方向이시다 -동편의 일출日出, 수도원 하늘길-2016.8.20. 토요일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1090-115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8.20 286
2858 좁은 문으로 들어가도록 힘쓰십시오-사랑, 훈육, 회개, 비전-2016.8.21. 연중 제21주일 프란치스코 2016.08.21 178
2857 진실과 겸손-2016.8.22. 월요일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8.22 150
2856 회개悔改와 마음의 정주stability;定住-2016.8.23. 연중 제2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8.23 138
2855 참 행복, 영원한 행복 -주님과 늘 새로운 만남-2016.8.24. 수요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16.08.24 483
2854 깨어있어라 -충실하고 슬기로운 삶-2016.8.25. 연중 제2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8.25 155
2853 슬기로운 삶 -깨어 준비하는 삶-2016.8.26. 연중 제2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8.26 172
2852 주님과 함께 기쁨을 나누는 삶-2016.8.27. 토요일 성녀 모니카(332-38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8.27 152
2851 이런 사람이 될 수는 없을까? -진리의 연인戀人-2016.8.28. 연중 제22주일 프란치스코 2016.08.28 225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