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7.3. 월요일 성 토마스 사도 축일                                                                     에페2,19-22 요한20,24-29



믿음의 여정

-공동체와 믿음-



베네딕도 16세 교황님께서 사임직전 교황청 사순 시기 피정을 마치며 하신 말씀입니다.


“신앙이란 세상의 어둠 속에서 하느님의 손을 잡은 채로 고요히 그분의 말씀을 듣고 그분의 사랑을 바라보는 것 외에 다른 것일 수 없습니다.”


이렇게 평범한 일상에서 하느님을 체험하며 믿음으로 살아가는 우리들입니다. 삶은 믿음의 여정입니다. 믿음도 성장하고 성숙합니다. 진정 산다는 것은 믿음의 성장과 성숙을 뜻합니다. 그러니 믿음도 보고 배웁니다. 믿음의 학교인 인생에서 끊임없이 믿음을 보고 배우는 우리들입니다. 


사실 신자분들을 만나 대화하다 보면 한분한분의 인생이 고유한 ‘믿음의 책’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부활하신 주님께서 당신 제자공동체에 나타나셔서 토마스 사도에게 주신 말씀은 우리 모두에 해당됩니다.


“너는 나를 보고서야 믿느냐? 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요한20,29ㄴ).


예수님을 보지 않고도 믿는 우리 모두는 행복한 사람들입니다. 믿음의 눈만 열리면 곳곳에 하느님 사랑의 흔적이요 하여 주님을 보지 않고도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가 살아있는 믿음을 보고 배우는 참 좋은 삶의 자리는 교회공동체입니다. 함께 살면서 함께 전례에 참석하면서 살아계신 주님을 만나 알게 모르게 끊임없이 성장, 성숙하는 우리의 믿음입니다.


사실 개인신앙은 위험하고 불안하고 허약합니다. 얼마 못가 시들어 말라 죽을 수도 있습니다. 교회공동체 신앙의 밭에 뿌리내려야 튼튼한 믿음의 성장입니다. 우리는 교회공동체를 통하여 얼마나 많이 믿음을 보고 배우는지 모릅니다. 특히 매일미사는 교회공동체에 믿음의 뿌리를 깊이하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저는 미사경문중 평화예식중에 나오는 다음 말마디에 많이 위안을 받곤 합니다.


“저희 죄를 헤아리지 마시고 교회의 믿음을 보시어 주님의 뜻대로 교회를 평화롭게 하시고 하나되게 하소서.”


교회공동체가 든든한 믿음의 배경입니다. 우리의 약한 믿음을 보완해주고 성장케 하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공동체의 믿음입니다. 교회공동체야 말로 ‘믿음의 보고寶庫’입니다. 토마스가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난 곳도 제자들의 공동체내에서 였습니다. 


그러니 교회공동체와 연결이 없는 개인믿음은 십중팔구 환상입니다. 교회공동체에 뿌리내리지 못한, 탈선한 믿음은 얼마 못가 병들어 시들어 죽을 수도 있습니다. 극단의 이단에 떨어지는 것도 교회공동체를 떠났기 때문입니다. 


성인들의 한결같은 특징은 교회를 사랑한 교회의 사람들이었다는 것입니다. 교회에 대한 사랑은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으로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오늘 에페소서에서 사도 바오로의 다음 말씀에 그대로 공감합니다. 


“우리는 이제 더 이상 외국인도 아니고 이방인도 아닙니다. 성도들과 함께 한 시민이며 하느님의 한 가족입니다. 우리는 사도들과 예언자들의 기초 위에 세워진 건물이고, 그리스도 예수님께서는 바로 모퉁이돌이 되십니다.”(에페2,19-20)


바로 교회공동체의 실상에 대한 정확한 묘사입니다. 하느님의 한 가족 공동체요, 예수님을 모퉁이 돌로 하고 사도들과 예언자들의 기초 위에 세워진 견고한 하나의 건물 같은 교회 공동체라는 것입니다.


고정된 죽은 공동체가 아니라 살아서 끊임없이 내외적으로 성장, 성숙하는 유기적 공동체입니다. 공동체 믿음의 성장과 더불어 성장하는 우리의 믿음입니다. 바로 에페소서 말씀이 성장하는 교회공동체의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잘 결합된 이 건물이 주님 안에서 거룩한 성전으로 자라납니다. 우리도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을 통하여 하느님의 거처로 지어지고 있습니다.”(에페21-22)


현재진행형으로 성장, 성숙하는 교회공동체임을 깨닫습니다. 바로 우리 수도가정교회공동체가 계속 자라나는 거룩한 성전이요 하느님의 거처라는 것입니다. 바로 우리가 하느님을 체험할 자리는 당신의 거처인 교회공동체임을 깨닫습니다. 이런 진리가 고스란히 실현되며 체험할 수 있는 장이 이 거룩한 성체성사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당신 몸인 교회와의 일치를 견고히 하시고 끊임없이 공동체의 믿음을 증진시켜 주시며 우리의 부족한 믿음을 도와 주십니다. 주님의 성체를 모실 때 토마스 사도처럼 주님을 고백하시기 바랍니다.


“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요한20,28).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51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인생 항해(航海)-2015.4.18. 부활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04.18 449
3450 "나를 따라라." 2015.2.21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2.21 268
3449 "내 안에 머물러라"2015.5.6. 부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5.06 527
3448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사랑하라, 찬미하라, 기뻐하라-2016.4.10. 부활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16.04.10 2495
3447 "너희는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사랑 예찬-2015.5.7. 부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5.07 357
3446 "당신은 누구요(Who are you)?"2015.3.24. 사순 제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3.24 317
3445 "당신은 누구요?” -주님 사랑 안에 머무르십시오-2016.1.2. 토요일 성 대 바실리오(330-379)와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330-3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1.02 389
3444 "들어라!" -행복하여라, 주님의 말씀을 듣고 실행하는 사람!-2017.4.12. 성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4.12 151
3443 "박해를 각오하십시오." -성령, 치욕, 겸손-2017.12.26. 화요일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프란치스코 2017.12.26 150
3442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2018.4.7. 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07 134
3441 "어떻게 살아야 하나?" -'짐'이 아닌 '선물', '축복된 존재'로-2018.1.1.월요일 천주의 모친 성모 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8.01.01 228
3440 "어떻게 살아야 하나?" -하느님의 감동, 영적전쟁의 승리-2018.6.13. 수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6.13 316
3439 "오늘, 예수님을 뵈었습니다."2015.3.22. 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5.03.22 347
3438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요한19,5)"-2016.3.20. 주님 수난 성지 주일 프란치스코 2016.03.20 295
3437 "주님을 기억하라"-기억(anamnesis)에 대한 묵상-2016.3.24. 주님 만찬 성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6.03.24 274
3436 "주님을 찾아라." -우리의 유일한 평생과제-2017.1.29. 연중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7.01.29 184
3435 "평화가 너희와 함께!“-손을 잡아 주십시오-2015.4.19. 부활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15.04.19 385
3434 "하느님 소원을 풀어드립시다"-2015.6.28. 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프란치스코 2015.06.28 277
3433 "하느님의 얼굴을 뵙고 싶습니까?" -파스카의 삶, 하나뿐!-2018.5.3. 목요일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5.03 152
3432 "행복하여라, 평화의 사람들!"2017.5.16. 부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5.16 9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