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8.14. 월요일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사제 순교자(1894-1941) 기념일

신명10,12-22 마태17,22-27



자유의 여정

-경천애인敬天愛人-



자유와 행복은 함께 갑니다. 참 자유에 참 행복입니다.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


많은 이들의 마음을 사로 잡고 있는 ‘그리스인 조르바’의 저자 니코스카찬스키스의 묘비명입니다. 역설적으로 니코스카찬스키스는 평생 자유를 찾았지만 자유롭지 못했음을 묘비명은 보여 줍니다. 자유에 대한 본능적 갈망을 지닌 사람들입니다. 


과연 여러분은 자유롭습니까? 

하느님을 찾는 사람은 자유를 찾는 사람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하느님은 자유이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은 사랑입니다. 그렇다면 자유는 사랑과 직결됨을 봅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시고 자유라면 하느님 없이는 참 자유도 없음을 깨닫습니다.


오늘 제1독서는 참 자유의 소재와 방법을 복음은 참 자유인의 모델인 예수님을 보여줍니다. 예수님이야말로 유일무이한 참 자유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믿는 이들의 삶은 자유의 여정입니다. 자유의 여정을 통해 예수님을 닮아갈 때 우리 모두 참 자유인에 이를 수 있습니다. 과연 살아갈수록 자유로워지는 삶인지요?


성인들 역시 예수님을 닮아 자유인들이었습니다. 오늘 기념하는 순교자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역시 참 자유인이었습니다. 아사감방에서 순교하기 직전의 과정을 보면 참 감동적입니다. 자유인만이 결행決行 할 수 있습니다.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한명의 탈출 사건이 있었고 이에 대한 벌로 열명이 아사감방에 갇히게 되었으며 그 중 한명이 울부짖었고, 그를 대신하겠다고 나선 성인이었습니다.


“나는 가톨릭 사제입니다. 나는 그 사람을 대신해 죽겠습니다. 나는 늙었고, 그는 아내와 아이들이 있습니다.”


참 자유인의 이웃 사랑의 결단입니다. 이런 결단 또한 하느님 사랑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성인덕분에 살아난 ‘프란치스제크’는 성인 순교후 54년동안 살다가 1995년 폴란드에서 95세에 선종했습니다. 그는 선종전 해에 성인의 기념 성전(Houston)에 들려 담당사제에게 말했습니다. 


“나는 그 초라했던 수도자를 결코 잊은 적이 없습니다. 나는 폐로 숨쉬는 동안 성인의 영웅적 사랑의 행위에 대해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는 것을 나의 의무로 여기고 살아왔습니다.”


외적 부자유의 환경안에서도 하느님과 이웃사랑으로 인해 내적자유를 누렸던 성인입니다. 하느님 사랑이 참 자유의 열쇠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신명기도 주님은 모세를 통해 유일하신 하느님만을 섬기고 사랑하고 경외하며 그분이 명령하신 모든 계명과 규정들을 지키라는 내용입니다. 이에 덧붙여 주님은 고아와 과부는 물론 이방인을 사랑할 것을 명시합니다. 모세 또한 참 자유인의 모델입니다.


어제 있었던 유머러스한 일화도 소개드리고 싶습니다. 평생 힘들게 믿음으로 살아온 피정 온 자매와의 미사후 면담이었습니다. 답답한 마음에 마지막 진심이 가득 담긴 덕담德談의 조언입니다.


“수도원 나가실 때, 수도원은 하느님 안 계셔도 수사님들은 알아서  잘 살 수 있으니, 하느님 같이 가자고 하시며 하느님 손 꼭 붙잡고 가셔요.”


그리고 한 달간 복용할 말씀 처방전도 써 드렸습니다.


“나의 힘이신 하느님! 당신을 사랑합니다!”(시편18,1).


면담한 자매도 유쾌하게 웃으며 집무실을 나섰습니다. 정말 하느님과 함께 산다면 매사 자유롭고 순조로울 것입니다. 바로 신명기의 모세가, 복음의 예수님이 그러합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의 수난과 부활의 두 번째 예고에 이어 성전세를 바치는 내용입니다. 이미 부활을 예견하신 예수님의 자유로운 처사가 주목됩니다. 성전세에 대한 예수님의 마지막 말씀에서 그분이 얼마나 자유로운 분이신지 깨닫게 됩니다.


“그렇다면 자녀들은 면제받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그들의 비위를 건드릴 것은 없으니, 호수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올라오는 고기를 잡아 입을 열어 보아라. 스타테르 한 닢을 발견할 것이다. 그것을 가져다가 나와 네 몫으로 그들에게 주어라.”


참 넉넉하고 여유로운 자유인의 모습입니다. 주님의 유모어입니다. 세상 모두가 주님의 것이라는, 당신과 함께 할 때는 언제 어디서나 해결책이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기적 이야기입니다.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지 말고 성전세를 바치라는, 즉 소탐대실小貪大失의 우를 범하지 말라는 참 자유인 예수님의 분별의 지혜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함께 계신 주님을 진정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경천애인의 삶을 사는 것이 내적자유의 비결임을 깨닫습니다. 그러니 자유 역시 발견입니다. 자유의 발견은 하느님의 빌견입니다. 자유의 은총입니다. 멀리 있는 자유가 아니라 지금 여기 가까이 있는 자유요 발견하여 살면 됩니다.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과 더불어 자유로워지는 삶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자유의 여정을 잘 살 수 있도록 도와 주십니다. 


“여러분은 장차 자유의 법에 따라 심판받을 사람으로서 말하고 행동하십시오. 자비를 베풀지 않은 자는 가차 없는 심판을 받습니다. 자비는 심판을 이깁니다.”(야고2,12-13).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0 일치의 중심 -하느님이 답이다-2018.5.25. 금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2/673-735)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8.05.25 118
2209 동심童心의 회복 -시편영성의 생활화-2018.5.26. 토요일 성 필립보 네리 사제(1515-1595)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8.05.26 105
2208 참 놀랍고 고마우신 하느님 -삼위일체 하느님-2018.5.27. 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2 프란치스코 2018.05.27 218
2207 무엇이 참으로 사는 것인가? -영원한 생명-2018.5.28. 연중 제8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5.28 123
2206 거룩한 삶 -버림, 따름, 섬김-2018.5.29. 화요일 복자 윤지충 바오로(1759-1791)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5.29 114
2205 고전古典같은 삶을 삽시다 -내 삶의 성경聖經-2018.5.30.수요일 수도원 성전 봉헌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5.30 148
2204 내 도반道伴은 누구인가?-2018.5.31.목요일 복되신 동정마리아의 방문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5.31 117
2203 왜 성전정화인가? -종말론적인 삶의 자세-2018.6.1. 금요일 성 유스티노 순교자(100-165)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6.01 164
2202 악마의 덫에 걸리지 맙시다! -회개, 겸손, 지혜, 자비-2018.6.2. 연중 제8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02 142
2201 밥이 하늘입니다 -밥으로 오시는 하느님-2018.6.3. 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6.03 224
2200 무지로부터의 해방 ‘믿음-덕-앎-절제-인내-경건-형제애-사랑’ 2018.6.4. 연중 제8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04 111
2199 분별력의 지혜 -하느님 중심의 삶-2018.6.5. 화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672/5-75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6.05 114
2198 우아하고 품위있는 삶과 죽음 -부활의 희망-2018.6.6. 연중 제9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06 153
2197 사랑의 학인學人, 사랑의 전사戰士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십시오-2018.6.7. 연중 제9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07 126
2196 우리의 영원한 안식처 -예수 성심의 사랑-2018.6.8. 금요일 지극히 거룩하신 예수 성심 대축일(사제성화의 날) 1 프란치스코 2018.06.08 250
2195 마음의 순수 -성모 성심의 사랑-2018.6.9.토요일 티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6.09 229
2194 “너 어디 있느냐?” -평생 화두-2018.6.10. 연중 제10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6.10 147
2193 하늘 나라 꿈의 실현 -평생 과제-2018.6.11. 월요일 성 바르나바 사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6.11 147
2192 맛과 빛 -맛있는 인생, 빛나는 인생-2018.6.12. 연중 제1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12 126
2191 "어떻게 살아야 하나?" -하느님의 감동, 영적전쟁의 승리-2018.6.13. 수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6.13 316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