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9.4. 연중 제22주간 월요일                                                                          1테살4,13-18 루카4,16-30



성령의 선물

-늘 푸른 기쁨의 삶-



참 좋은 선물이 기쁨입니다. 기쁨의 서비스입니다. 돈없어도 할 수 있는 참 좋은 선물이 기쁨으로 활짝 피어난 꽃같은 웃음입니다. 어제 방문했던 사제로부터 들은 평범한 이야기들이 깊은 여운으로 남았습니다.


“기쁨으로 사목하는 사제들이 많지 않을 것입니다. 타성에 젖어 직업상 그냥 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알게 모르게 이런저런 죄들이 기쁨을 빼앗아 갑니다. 기쁨의 선물을 빼앗아가는 도둑이 죄입니다. 병원 건강진단검사 받으러 갔을 때 의사들의 태도도 기쁨이 없었고 기계적이었습니다. 얼마나 피곤해 보이던지 제가 의사같았고 의사가 환자같았습니다.”


새삼 기쁨이 얼마나 중요한 선물이지 깨닫습니다. 기쁨 역시 성령의 선물입니다. 성령의 선물인 기쁨을 막는 것이 바로 죄입니다. 성령의 열매이자 선물은 사랑, 기쁨, 평화, 인내, 친절, 호의, 선의, 성실, 온유, 절제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막는 법은 없습니다. 참 좋은 성령의 샘에서 샘솟는 참 좋은 덕의 선물들입니다. 성령이 진정한 희망입니다.


비온 후 맑게 소리 내며 흐르는 시냇물은 언제 봐도 마음을 밝고 기쁘게 합니다. 비온 후 수도원 정문앞 길가에서 퐁퐁 맑게 샘솟던 모습도 참 보기 좋았습니다. 늘 맑게 샘솟던 우물이, 늘 맑게 흐르던 시냇물이 말랐을 때의 마음 같다면 참 안타까울 것입니다. 


시냇물은, 샘물은 말라도 우리 마음만은 늘 끊임없이 맑게 흐르는 기쁨의 강같았으면, 맑게 샘솟는 기쁨의 샘같았으면 좋겠습니다. 바로 성령께 마음을 열 때 성령의 선물이 맑게 흐르는 강같은 삶으로 맑게 샘솟는 샘같은 마음으로 바꿔 줍니다. 어제 써놨던 이런 소망이 담긴 글을 나눕니다.


“당신은/언제나 거기 그 자리

 늘 푸른 하늘입니다/늘 푸른 산입니다

 늘 푸른 나무입니다/늘 푸른 바다입니다

 늘 맑게 흐르는 강입니다/늘 맑게 샘솟는 우물입니다

 당신이 되고 싶습니다”


물론 당신이 지칭하는 대상은 주님이십니다. 성령 충만한 삶일 때 주님을 닮아 늘 푸른 삶에 늘 맑게 흐르는 강같은 삶, 늘 맑게 샘솟는 우물같은 삶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주님의 성령을 충만히 받아 파견되는 예수님의 모습이 그러합니다. 이사야 예언자의 말씀에서 자신의 사명을 발견한 예수님이십니다.


-주님께서 나에게 기름을 부어주시니

 주님의 영이 내 위에 내리셨다

 주님께서 나를 보내시어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고

 잡혀간 이들에게 해방을 선포하며

 눈먼이들을 다시 보게 하고

 억압받는 이들을 해방시켜 내보내며 

 주님의 은혜로운 해를 선포하게 하셨다.-


얼마나 아름다운 성령충만한 모습인지요. 그대로 우리에게 실현되는 미사은총이요, 주님과 함께 이런 해방된 모습으로 주님 해방의 일꾼으로 세상에 파견되는 우리들입니다. 다음 주님 말씀은 회당에 있던 이들은 물론 미사에 참석한 우리를 대상으로 합니다.


“오늘 이 성경 말씀이 너희가 듣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


‘오늘’에 강조점이 있습니다. 참으로 성령을 통해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오늘’ 주님의 미사은총입니다. 예수님의 첫출발은 나자렛 고향에서 배척받으심으로 좌절로 끝나지만 예수님은 실패에 연연하지 않고 그들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미련없이 홀가분한 모습으로 구름처럼, 바람처럼 떠나니 성령 따라 흐르는 자유로운 모습입니다. 


제1독서의 주님의 재림과 죽은 이들의 문제에 대한 바오로의 가르침도 성령의 계시이자 선물입니다. 죽음이 마지막이 아니며 부활의 관문임을 깨닫게 하시니 이 또한 성령의 은총입니다.


“여러분은 희망을 가지지 못하는 사람들처럼 슬퍼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돌아가셨다가 다시 살아나셨음을 믿습니다. 이와 같이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통하여 죽은 이들을 그분과 함께 데려가실 것입니다.---이렇게 하여 우리는 늘 주님과 함께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이러한 말로 서로 격려하십시오.”


우리는 사나 죽으나 영원히 주님과 함께 하는 늘 푸른 삶입니다. 죽음도 주님과 함께 하는 우리를 갈라놓지 못합니다. 이 또한 성령께서 주시는 깨달음의 선물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당신과 함께하는 늘 푸른 삶을, 늘 맑게 샘솟는, 늘 맑게 흐르는 기쁨의 삶을 살게 하시며 말씀하십니다.


“보라, 내가 세상 끝 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마태28,20ㄴ).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71 새 하늘과 새 땅 -말씀을 통한 새로운 창조-2016.3.7. 사순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03.07 187
2070 제자리-2015.9.2. 연중 제2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9.02 187
2069 믿음의 힘-2015.8.8. 토요일 성 도미니코 사제(1170-122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8.08 187
2068 성화(聖化)의 여정 -날마다 깨어 준비하며 제책임을 다하는 삶-2023.9.1.연중 제21주간 금요일(피조물 보호를 위한 기도의 날) 프란치스코 2023.09.01 186
2067 우리 모두 하느님의 나라를 삽시다 -꿈과 실현-2022.10.25.연중 제30주간 화요일 PACOMIO 2022.10.25 186
2066 주님과 만남의 여정 -치유, 구원, 자유-2022.10.24.연중 제30주간 월요일 PACOMIO 2022.10.24 186
2065 회개의 표징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뿐이다-2022.10.10.연중 제28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10.10 186
2064 성모님처럼 관상가가, 신비가가 됩시다 -성모 마리아 예찬-2021.12.8.수요일 한국 교회의 수호자, 원죄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1.12.08 186
2063 주님 반석 위의 인생 집 -주님 말씀을 실행하는 슬기로운 삶-2021.12.2.대림 제2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2.02 186
2062 또 하나의 ‘라자로’인 우리를 살리시는 예수님 -“라자로야, 이리 나와라.”-2020.3.29.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3.29 186
2061 떠남의 여정, 떠남의 기쁨 -늘 말씀과 함께-2019.10.3. 연중 제26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03 186
2060 “참 멋있다! 우리 하느님” -기도는 주님과 대화요 관계다-2018.3.10. 사순 제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10 186
2059 예수님이 답이다 -살아계신 주님과의 만남-2017,5.3 수요일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17.05.03 186
2058 기쁨과 은총의 삶 -섬김과 따름의 삶-2016.8.10. 수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축일 프란치스코 2016.08.10 186
2057 회개에로의 부르심과 응답-2016.2.13.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2.13 186
2056 신비감각의 회복-2015.7.20. 연중 제1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7.20 186
2055 배움의 여정 -삶은 은총의 선물이자 평생과제이다-2023.1.18.연중 제2주간 수요일(일치주간1.18-1.25) 프란치스코 2023.01.18 185
2054 예닮의 여정 -참나의 삶; 사랑과 순종-2022.4.28.부활 제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8 185
2053 예수님의 임종어臨終語 -“이분이 네 어머니시다”, “목마르다”, “다 이루어졌다”-2022.4.15.주님 수난 성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5 185
2052 하느님 중심의 삶 -‘제자리’에서 ‘제정신’으로 ‘제대로’의 삶-2022.1.24.월요일 성 프린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2.01.24 185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