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0.18. 수요일 성 루카 복음사가 축일                                                         2티모4,10-17ㄴ 루카10,1-9



하느님의 나라와 선교

-평화의 선교사-



"죽은 이들의 장사는 죽은 이들이 지내도록 내버려 두고, 너는 가서 하느님의 나라를 알려라.”(루카9,60)

“쟁기에 손을대고 뒤를 돌아보는 자는 하느님 나라에 합당하지 않다.”(루카9,62)


하느님의 나라는 예수님의 평생 설교 주제이자 평생 비전이자 꿈이었습니다.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마르1,15), 공생애가 시작되자 마자 예수님은 자신의 사명을 분명히 하십니다. 또 자신을 붙잡는 군중들에게 역시 자신의 존재이유를 분명히 밝히십니다.


“나는 하느님 나라의 기쁜 소식을 다른 고을에도 전해야 한다. 사실 나는 그 일을 하도록 파견된 것이다.(루카4,43).


선교는 교회의 본질적 사명이요 믿는 이들은 모두가 주님께로부터 선교사로 파견되었습니다. 선교사 역시 우리의 신원입니다. 끊임없이 하느님 나라의 기쁜 소식을 전하는 선교사로의 삶입니다. 우리 정주의 삶을 사는 분도수도자들의 선교는 ‘환대를 통한 선교’로 정의하기도 합니다. 수도원을 방문하는 분들에게 환대를 통해 제공하는 주님 평화의 선물입니다.


“어떤 집에 들어가거든 먼저 ‘이 집에 평화를 빕니다.’하고 말하여라.”(루카10,5)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 파견받은 선교사들인 제자들이 선사하는 주님의 평화입니다. 평화야 말로 하느님 나라의 빛나는 표지입니다. 평화의 선교사인 우리들입니다. 복음의 제자들은 가는 곳 마다 예수님의 사명을 이어 받아 병자들을 고쳐 주며, ‘하느님의 나라가 여러분에게 가까이 왔습니다.’ 선포합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우리 믿는 이들의 영원한 비전입니다. 오늘 지금 여기서 살아야 하는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하느님의 나라의 역동적 삶을 살 때 저절로 따라 오는 치유의 은총입니다. 바오로 사도가 그의 모범입니다. 사도의 다음 고백을 통해 그가 두려움의 질병에서 완전 치유되었음을 봅니다. 그 누구도 탓하지 않고 원망하지도 않습니다.


“나의 첫 변론 때에 아무도 나를 거들어 주지 않고, 모두 나를 저버렸습니다. 그들에게 이것이 불리하게 셈해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내 곁에 계시면서 나를 굳세게 해 주셨습니다. 나를 통하여 복음 선포가 완수되고 모든 민족들이 그것을 듣게 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2티모4,16-17).


하느님의 나라는 멀리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주님 함께 계신 오늘 지금 여기가 바로 하느님이 나라입니다. “보라, 내가 세상 끝 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마태28,20ㄴ)는 마태복음의 주님 말씀도 이를 분명히 합니다. 주님은 ‘두려워하지 말라’는 말씀 다음에는 꼭 ‘내가 너와 함께 있다.’는 말씀을 주십니다.


주님과 함께 있음이 바로 하느님 나라의 실현입니다. 이런 주님과 함께 있음을 드러내는 삶이 바로 존재론적 복음 선포의 선교입니다.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주님의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란 말마디는 얼마나 은혜롭고 위로가 되는 구원의 말씀인지요. 그러나 주님과 함께의 복된 삶을 위해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무소유란 자기비움의 투명한 삶입니다. 


“가거라, 나는 이제 양들을 이리 떼 가운데로 보내는 것처럼 너희를 보낸다. 돈주머니도 여행보따리도 신발도 지니지 말고, 길에서 아무에게도 인사하지 마라.”


소유가 하느님의 나라 비전을 가려선 안된다는 것입니다. 소유가 함께 하시는 주님을 대체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함께 계신 주님이 답입니다. 비움의 거기 그 자리, 주님이 함께 계심으로 충만한 삶이요 주님의 치유와 위로, 내적부유와 자유의 삶입니다. 


소유의 기쁨이 아니라 존재의 기쁨입니다. 비우면 비울수록 투명히 드러나는 주님의 현존이요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바로 여기 주님으로부터 선사되는 기쁨과 평화입니다. 이런 주님의 기쁨과 평화보다 우리가 이웃에 줄 수 있는 더 좋은 선물도 더 좋은 복음선포의 선교도 없습니다. 


끊임없이 주님의 집인 수도원을 찾는 이들에게 주님의 기쁨과 평화를 선물하는 것, 이것은 우리 분도회 정주 수도자들이 환대를 통한 선교의 핵심내용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영육의 상처와 아픔을 치유해 주시고 하느님 나라의 기쁨과 평화의 선교사로 각자 삶의 자리로 파견하십니다. 끝으로 성 프란치스코의 ‘평화의 기도’로 강론을 마칩니다.


“주여, 나를 평화의 도구로 써주소서.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다툼이 있는 곳에 용서를 

분열이 있는 곳에 일치를 

의혹이 있는 곳에 믿음을 심게 하소서.


주여, 나를 평화의 도구로 써주소서

오류가 있는 곳에 진리를

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

어둠이 있는 곳에 광명을

슬픔이 있는 곳에 기쁨을 심게 하소서.


위로받기 보다는 위로하며

이해받기 보다는 이해하며

사랑받기 보다는 사랑하며 

자기를 온전히 줌으로써 영생을 얻기 때문이니

주여, 나를 평화의 도구로 써주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0 연대의 힘-2015.8.29. 토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5.08.29 303
1709 역사는 현재現在다 -하느님은 조화調和이시다-2018.3.27. 성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7 134
1708 역사는 반복되는가 -날마다 주님 ‘파스카의 꽃’으로 삽시다-2023.12.28.목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프란치스코 2023.12.28 134
1707 여전如前한 삶 -영원한 현역現役, 영원한 학생學生-2016.5.15. 월요일 성 빠코미오 아빠스(287-34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5.15 107
1706 여여如如한 삶 -수행자의 삶-2017.9.23. 토요일 피에트첼치나의 성 비오 (1887-196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23 167
1705 여러분은 무슨 맛으로 살아 가십니까? -하느님 맛, 또는 돈 맛-2019.4.17.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17 121
1704 언제 어디서나 일하시는 하느님 -하늘 나라의 실현-2019.7.10. 연중 제1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10 158
1703 어제나 내일이 아닌 오늘! -오늘, 처음처럼, 마지막처럼, 평생처럼-2019.11.20.연중 제3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1.20 162
1702 어머니인 교회 -교회의 어머니 마리아-2024.5.20.월요일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0 109
1701 어머니를 그리며 -어머니 예찬-2019.8.15.목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15 221
1700 어린이처럼-2015.10.1. 목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축일 프란치스코 2015.10.01 740
1699 어린이와 같이 되라 <어린이들을 사랑하신 예수님>2024.5.25.토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2/673-73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5 113
1698 어린이를 사랑하라 -“우리는 누구나 ‘하느님의 어린이’입니다“-2022.8.13.연중 제13주간 프란치스코 2022.08.13 292
1697 어린이 예찬 -하늘 나라의 삶-2023.8.19.연중 제1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9 267
1696 어린이 같은 사람이 됩시다 -경외fear와 섬김serve- 여호24,14-29 마태19,13-15 1 프란치스코 2019.08.17 160
1695 어떻게 해야 영적전쟁에 승리할 수 있습니까? -비전, 비움, 탄력, 연대- 이사56,1.6-7 로마11,13-15.29-32 마태15,21-28 1 프란치스코 2017.08.20 145
1694 어떻게 해야 영생을 받을 수 있나? -사랑 실천이 답이다-2019.7.14.연중 제1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14 140
1693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692 어떻게 참으로 살 수 있을까요? -꿈, 찬양, 기억, 사랑-2022.9.10.토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22.09.10 219
1691 어떻게 죽어야 합니까? -마지막 유언-2017.4.14. 주님 수난 성금요일 <주님 수난 예식> 1 프란치스코 2017.04.14 175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