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2.11. 대림 제2주간 월요일                                                                          이사35,1-10 루카5,17-26



믿음이 답이다

-교회공동체에 뿌리 내린 우리의 믿음-



‘믿음이 답이다’, 오늘 강론 제목입니다. 믿음이 답입니다. 믿음으로 살아가는 우리들입니다. 믿음을 통한 내적변화요 치유의 은총입니다. 믿음이 있을 때 안정과 평화이지만 믿음이 약할 때, 믿음이 없을 때 저절로 스며드는 불안과 두려움이요 마음도 몸도 무너지기 마련입니다. 예수님이 제자들을 꾸짖을 때도 언제나 약한 믿음이었습니다. 


오늘 제1독서는 주님께서 오셨을 때, 믿음을 통한 놀라운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스라엘의 귀향과 행복'이란 주제로 참 아름답고 감동적인 내용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그대로 은총의 대림시기 우리에게 주시는 복음입니다. 어느 한 대목 생략할 수 없는 빛과 희망, 생명과 사랑, 기쁨과 평화가 넘치는 내용들입니다. 이사야 예언자야 말로 진짜 시인이자 신비가요 관상가임을 깨닫습니다.


“광야와 메마른 땅은 기뻐하여라. 사막은 즐거워하며 꽃을 피워라. 수선화처럼 활짝 피고 즐거워하며 환성을 올려라.---그들이 주님의 영광을, 우리 하느님의 영화를 보리라.”


그대로 미사에 참석한 우리를 향한 말씀같습니다. 주님을 만날 때 메마른 가슴마다 꽃처럼 피어나는 구원의 기쁨이요 행복입니다. 다음 주님의 격려 말씀도 얼마나 고무적인지요.


“너희는 맥 풀린 손에 힘을 불어 넣고 꺾인 무릎에 힘을 돋우어라. 굳세어져라. 두려워하지 마라. 보라, 너희의 하느님을! 그분께서 오시어 너희를 구원하신다.”


이어 주님을 만났을 때의 놀라운 치유의 기적입니다. 눈먼 이들은 눈이 열리고 귀먹은 이들은 귀가 열리고 다리저는 이는 사슴처럼 뛰고 말못하는 이의 혀는 환성을 터뜨리는 신바람 나는 현실이 펼쳐집니다. 참으로 주님을 만났을 때의 놀라운 내외적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바로 이런 현실이 복음에서 중풍병자와 그의 동료들이 주님을 만남으로 그대로 펼쳐집니다. 똑같은 주님께서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서 우리를 찾아 만나 주심으로 놀라운 내외적 변화가 일어납니다. 물론 당연히 전제되는 우리의 믿음입니다. 믿음이 답입니다. 주님은 우리의 믿음을 통해서 기적을 행하십니다. 주님의 일방적인 기적인 없습니다. 중풍병자를 낫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중풍병자 동료들의 눈물겨운 믿음의 노력입니다.


예수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사람아, 너는 죄를 용서 받았다.” 말씀하시며 죄의 용서를 선언하십니다. 동료들의 믿음을 통한 죄의 용서에 이어 육신의 치유가 뒤따릅니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 네 평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거라.”


믿음을 통해 죄를 용서받으니 영혼과 육신의 전인적 치유가 뒤따릅니다. 그러니 고백성사를 통해 죄를 용서받음이 바로 영육의 치유에 전제조건임을 깨닫게 됩니다. 마음과 몸은 하나입니다. 병의 뿌리를 깊이 들여다보면 죄에서 기인한 심신의 병임을 깨닫습니다. 죄가 알게 모르게 믿음을 약화시키고 병을 유발케한다는 것이지요. 믿음의 성장에 최대 장애물이 바로 우리의 죄입니다. 병이 많은 사회는 죄가 많다는 반영이기도 합니다.


오늘 복음을 묵상할 때 마다 생각나는 미사경문중 성체를 모시기전 기도문입니다. “---저희 죄를 헤아리지 마시고 교회의 믿음을 보시어 주님의 뜻대로 교회를 평화롭게 하시고 하나되게 하소서.”라는 대목입니다. 복음의 중풍병자가 공동체 동료들의 믿음 덕분에 치유되었듯이 우리는 교회공동체의 믿음 덕분에 죄를 용서받고 심신의 질병도 치유 받습니다. 


이어 치유받은 중풍병자는 즉시 일어나 자기가 누워 있던 것을 들고, 하느님을 찬양하며 집으로 돌아갑니다. 중풍병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크게 놀라 하느님을 찬양하였다 하니 그대로 이사야서의 마지막 대목의 분위기였을 것입니다.

 

“그들은 환호하며 시온에 들어서리니, 끝없는 즐거움이 그들 머리 위에 넘치고, 기쁨과 즐거움이 그들과 함께하여 슬픔과 탄식이 사라지리라.”


그대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을 상징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바 치유에 대한 하느님 찬양의 응답입니다. 치유에 대한 자연스런 찬양의 응답이 믿음을 북돋우고 주님은 믿음을 통해 우리를 치유합니다. 치유-찬양-믿음이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봅니다. 


개인의 믿음은 약해도 교회공동체의 믿음은 강합니다. 교회공동체에 깊이 뿌리내린 우리의 믿음입니다. 하여 형제들의 믿음은 우리의 영적공동자산임을 깨닫게 되니 저절로 형제들의 믿음에 감사하게 됩니다. 


어제 호스피스 병동에서 사랑의 봉사에 전념하는 수녀님으로부터 받은 감동적이 메시지를 길다 싶지만 나누고 싶습니다. 마치 중풍병자의 동료 역할과 흡사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제 같이 함박눈이 내릴 때 호스피스 병동 환자들과 보호자들의 심정은 참으로 복잡미묘하다 합니다.


“오늘같은 날이면 호스피스 병동의 환자들과 보호자들은 매우 다양하게 복잡한 감정이 일어나는 날입니다. 그래서 로즈마리 커피를 예쁜 잔에 준비하여 맛있는 쿠키와 함께 대접해 드렸더니 감동하시네요. 

차 한잔 마시고 침대로-, 휠체어로-, 눈오는 모습 구경하신다고-, 여기저기-, 옥카리나로 동요를 불러드렸더니 또 감동하시네요. 

오늘처럼 날씨가 이럴 때는 봉사자도 가족들도 오지 않아서 쓸쓸해하거든요. 그래서 제가 재롱을 부렸지요. 힘든 시간 잘 보내고 계신 환자들과 보호자들이 고맙기만 합니다.”


사랑많고 믿음좋은 수녀님의 모습도 감동적입니다. 교회공동체의 믿음에, 사랑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기에 살아갈 수 있는 우리들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고 심신의 아픔을 치유해 주시며 부족한 믿음을 도와주십니다.


“오소서, 주님, 저희를 찾아오시어, 평화를 베푸소서. 저희가 주님 앞에서 온전한 마음으로 기뻐하게 하소서.”(시편106,4-5).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90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님이 답이다 -분별력의 은총-2017.10.27.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0.27 142
2389 악마의 덫에 걸리지 맙시다! -회개, 겸손, 지혜, 자비-2018.6.2. 연중 제8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02 142
2388 가라지는 현실이다 -밀과 가라지의 공존-2018.7.28. 연중 제1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8 142
2387 배움의 여정 -주님과 나, 그리고 이웃을 알아가는-2018.8.9. 연중 제18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9 142
2386 권위있는 삶 -실행, 일치, 자유, 섬김-2018.1.28. 연중 제4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1.28 142
2385 참으로 잘 살고 싶습니까? -말씀, 경배, 순종, 고백, 전투-2019.3.10. 사순 제1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3.10 142
2384 파스카의 삶 -자유의 여정-2019.9.2.연중 제2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2 142
2383 “나를 따라라” -참 나의 실현; 부르심과 응답-2020.1.18.연중 제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18 142
2382 떠남의 여정 -‘꼰대’가 되지 맙시다-2020.2.6.목요일 성 바오로 미키(1564-1597)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2.06 142
2381 차별(差別)하지 마십시오 -둥글고(圓), 덕(德)스러운 삶-2020.2.20.연중 제6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20 142
2380 영원한 회개悔改와 희망希望, 구원救援의 표징 -파스카 예수님-2020.3.4.사순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04 142
2379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2020.4.8.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08 142
2378 사랑의 여정 -구원의 믿음은 은총이자 선택이다-2020.4.22.부활 제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22 142
2377 공정이 물처럼,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는 세상 -참 아름답고 평화로운 삶-2020.7.1.연중 제1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7.01 142
2376 축제祝祭의 삶 -오늘 지금 여기가 구원救援의 자리다-2020.8.20.목요일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1090-115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8.20 142
2375 복음 선포의 삶 -기도(신비가), 공부(학자), 일(선교사)-2020.10.18.민족들의 복음화를 위한 미사(연중 제29주일;전교주일) 1 프란치스코 2020.10.18 142
2374 예수님을 사랑하고 따르는 제자들 -예수님 공부, 예수님 살기, 예수님 닮기-2020.11.4.수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04 142
2373 성인聖人으로 불림받은 우리들 -섭리攝理;은총, 광야廣野;겸손, 사명使命;빛-2021.6.24.목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6.24 142
2372 참된 예언자의 삶 -하느님 중심의 신망애(信望愛)의 삶-2021.7.4.연중 제14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7.04 142
2371 대림 제3주, 주님의 가르침 -희망과 기쁨, 감사와 평화, 사랑과 겸손-2021.12.12.대림 제3주일(자선주일) 1 프란치스코 2021.12.12 142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