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5.10. 부활 제6주간 목요일                                                                            사도18,1-8 요한16,16-20



파스카의 기쁨

-모든 날이 다 좋다-



꽃보다 아름다운 신록입니다. 일년중 가장 아름다운 계절의 여왕이라는 성모성월 5월입니다. 계속되는 알렐루야 부활축제시기입니다. 파스카의 기쁨이 영원한 기쁨입니다. 파스카의 기쁨을 색깔로 하면 ‘신록新祿의 기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진정 파스카의 삶을 사는 이들은 나이에 관계없이 늘 신록의 영혼으로, 신록의 기쁨을 삽니다.


마침 어제 읽은 중국 북송시대의 시인 소동파(1037-1101)의 시가 생각납니다. 서호西湖의 경치를 즐기며 종일 술자리를 이어가는데 그렇게 맑던 날이 갑자기 어둑어둑해집니다. 그러자 비가 쏟아지니 좌중의 흥취가 깨지려는 때 소동파는 시를 읊습니다. 서시西施는 춘추시대 미녀입니다. 


-“맑은 날엔 물빛 넘실거려 아름답고/비오는 산의 뿌연 어둠도 장관이네

 서호를 서시西施에 견주어 보자면/옅은 화장 짙은 화장/어느 때고 좋도다.”


더불어 제가 몇 년 전 써놨던 ‘모든 날이 다 좋다.’라는 시도 생각났습니다.


-“햇빛 밝은 날도 좋고/비오는 어둔 날도 좋다/모든 날이 다 좋다

  모두가/기쁜 날/행복한 날/주님의 날이다.”-2015.6.14. 


주님 안에서 파스카의 영성을, 파스카의 기쁨을 사는 이들이 그렇습니다. 저절로 ‘어느 때고 좋도다’, ‘모든 날이 다 좋다.’라는 고백이 나옵니다. 오늘 복음 마지막 구절을 묵상하며 떠올랐던 생각들입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는 울며 애통해하겠지만 세상은 기뻐할 것이다. 너희가 근심하겠지만, 그러나 너희의 근심은 기쁨으로 변할 것이다.”(요한16,20).


죽음을 앞둔 주님의 고별사중 일부입니다. 주님께서 죽으심으로 인한 이별의 슬픔이 부활하신 주님과의 재회의 기쁨으로 변한다는 것입니다. 당시 제자들이야 그러했겠지만 우리의 처지는 늘 부활하신 파스카의 주님과 함께 하는 삶이기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파스카의 기쁨, 영원한 기쁨, 신록의 기쁨을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바로 사도행전의 바오로가 그 빛나는 모범입니다. 오늘 사도행전의 바오로의 활력넘치는 활약을 보십시오. 어느 자리에서든 최선을 다하며 늘 기쁘게 사는 모습입니다. 아테네 선교는 실패했지만 코린토 선교는 성공적임이 역력합니다. 


아퀼라, 프리스킬라 부부와는 생업이 같아 함께 지내며, 천막을 만드는 일에 종사하며 그 와중에도 바오르는 안식일마다 회당에서 토론하며 유다인들과 그리스인들을 설득하여 애씁니다. 실라스와 티모테오가 마케도니아에서 내려온 뒤로 바오로는 유다인들에게 예수님께서 메시아시라고 증언하면서 말씀 전파에만 전념합니다. 


하여 코린토 사람들 가운데에서 바오로의 선교를 들은 많은 이들이 믿고 세례를 받았다 합니다. 참으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기쁨의 사도’ 바오로의 분위기를 보여줍니다. 제 집무실 문에 여전히 붙어있는 바오로 사도의 필립비서 말씀과, 고백성사 보속 말씀 처방전으로 가장 많이 써드리는 데살로니카 1서 말씀이 생각납니다.


“주님 안에서 늘 기뻐하십시오. 거듭 말합니다. 기뻐하십시오.”(필립4.4)

“항상 기뻐하십시오. 늘 기도하십시오. 어떤 처지에서든지 감사하십시오.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를 통해서 여러분에게 보여 주신 하느님의 뜻입니다.”(1테살5,16-18).


언제 어디서든 파스카의 영성을, 파스카의 신비를, 파스카의 기쁨을 사셨던 ‘기쁨의 사도’ 바오로 사도였습니다. 아무도 뻬앗아갈 수 없는 영원한 기쁨, 파스카의 기쁨입니다. 기쁨의 원천인 파스카의 예수님께 뿌리내린 샘솟는 기쁨입니다. 


하여 살아도 주님의 것이요 죽어도 주님의 것이라 고백한 사도 바오로 였기에 삶도 기쁨이요 죽음도 기쁨이었을 것입니다. 죽음의 두려움에 대한 답도 파스카의 기쁨뿐임을 깨닫습니다. 


참 아름다운 신록의 기쁨으로 빛나는 계절 성모성월 5월입니다. 이렇게 아름다운 세상이니 주님 뵈올 천국은 얼마나 아름다울까 가끔 생각해 보곤 합니다. 아니 이미 천국의 기쁨을 오늘 지금 여기서 앞당겨 살게 하는 주님의 참 좋은 선물, 파스카의 기쁨입니다. 


파스카의 예수님이 늘 함께 하시기에 어느 때고 다 좋습니다. 모든 날이 다 좋습니다. 그러니 늘 기뻐하십시오. 어둡고 무거운 우울이나 심각함은 하느님께 대한 모독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늘 영원한 기쁨, 파스카의 기쁨, 신록의 기쁨을 살게 하십니다. 


“온 세상아, 즐거워하며 환호하여라. 찬미 노래 불러라.”(시편98,4).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11 무지無知의 병 -회개와 겸손이 약藥이다-2018.8.3. 연중 제1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3 134
1310 모두가 하느님 손안에 있다 -의연毅然히, 묵묵히默默히, 충실充實히, 항구恒久히-2018.8.2. 연중 제17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2 157
1309 참 보물, 참 행복의 발견 -하느님, 예수님, 하늘 나라-2018.8.1. 수요일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1696-178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01 103
1308 주님과의 관계가 답이다 -해처럼 빛나는 의인들의 삶-2018.7.31. 화요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1491-155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7.31 135
1307 훌륭하고 기품있는 삶 -하늘 나라 살기-2018.7.30. 연중 제17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30 153
1306 부르심에 합당한 삶 -스토리와 내용이 있는 성체성사적 삶-2018.7.29. 연중 제17주일 2 프란치스코 2018.07.29 155
1305 가라지는 현실이다 -밀과 가라지의 공존-2018.7.28. 연중 제1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8 142
1304 절망은 없다 -끊임없는 회개와 수행의 노력이 답이다-2018.7.27. 연중 제1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7 106
1303 깨달음의 여정旅庭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깨달음이다-2018.7.26. 목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부모 성 요아킴과 성 안나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7.26 125
1302 섬김의 여정 -섬김이 답이다-2018.7.25. 수요일 성 야고보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7.25 120
1301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인가? -기도, 공부, 실행-2018.7.24. 연중 제1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4 94
1300 유일한 구원의 표징 -파스카의 예수님-2018.7.23. 연중 제1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3 104
1299 누가 착한 목자인가? -희망, 평화, 사랑-2018.7.22. 연중 제16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7.22 95
1298 예수님은 누구인가? -앎의 욕구-2018.7.21.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1 87
1297 분별의 잣대는 사랑 -사랑이 답이다-2018.7.20.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0 103
1296 삶은 선물인가 짐인가? -예수님이 답이다-2018.7.19. 연중 제15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9 110
1295 하늘나라의 발견 -참으로 행복한 사람들-2018.7.18. 연중 제1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8 86
1294 믿음의 여정 -기적과 회개, 그리고 믿음-2018.7.17. 연중 제1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7 116
1293 말씀의 칼 -‘거짓 평화’에서 ‘참 평화’로-2018.7.16. 연중 제15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6 97
1292 누가 참 아름답고 행복한 사람인가? -성소聖召에 충실한 사람-2018.7.15. 연중 제15주일 2 프란치스코 2018.07.15 96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