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3.8.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이사58,1-9ㄴ 마태9,14-15

 

 

 

주님이 좋아하시는 참된 단식

-사랑과 정의-

 

 

 

-(미세미세)남양주신 별내동

최악-절대 나가지 마세요!!!-

 

요즘 휴대폰을 열면 맨먼저 떠 오르는 메시지입니다. 정말 이런 상태의 사회, 교회, 가정, 우리 내면이 되어선 안되겠습니다. 어제 저녁 모처럼 하늘에 별들이 보이고 공기도 맑아 마스크 없이 끝기도후 잠시 산책했습니다. 미세먼지가 많이 줄어든 청정한 공기를 숨쉬니 참으로 살아있는 듯 기분이 좋았습니다. 우리 사회와 교회, 가정도, 우리 내면도 영적미세먼지 없는 청정한 분위기면 참 좋겠습니다. 하여 특별 수련기와 같은 사순시기가 반갑고 고맙습니다. 

 

이래서 극기와 절제의 수행입니다. 참된 수행을 통한 청정한 삶입니다. 재의 수요일 본기도 내용이 투박하지만 사순시기 수행생활의 중요성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거룩한 재계로 그리스도교 신자로서의 전투를 시작하며 주님께 비오니, 악의 세계를 대적하려는 우리로 하여금 극기의 보루로 진을 치게 하소서.”

 

절제와 극기의 수행입니다. 이런 수행생활 없이는 마음의 순수도 내적자유도 없습니다. 그러나 절제와 극기의 수행은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이 모든 수행은 사랑의 수행, 겸손한 수행이어야 합니다. 단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언자들이 거부하는 단식은 사랑과 정의가 빠진 껍데기뿐의 헛된 단식입니다. 예언자들이 권하는 참된 단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단식은 이런 것이 아니겠느냐? 불의한 결박을 풀어주고 멍에 줄을 끌러 주는 것, 억압받는 이들을 자유롭게 내보내고 모든 멍에를 부수어 버리는 것이다. 네 양식을 굶주린 이와 함께 나누고, 가련하게 떠도는 이들을 네 집에 맞아 들이는 것, 헐벗은 사람을 보면 덮어 주고, 네 혈육을 피하여 숨지 않는 것이 아니겠느냐?”

 

바로 이런 내용이 참된 수행을 판가름 하는 잣대입니다. 이런 사랑과 정의의 실천이 빠진 자기만족의 수행은 주님께서 좋아하시지 않는 헛된 수행, 헛된 단식입니다. 이런 사랑과 정의의 사람들이 명실공히 하느님께서 좋아하시는 참된 수행자이며 주님의 축복이 뒤따릅니다.

 

“그리하면 너의 빛이 새벽빛처럼 터져 나오고, 너의 상처가 곧바로 아물리라. 너의 의로움에 네 앞에 서서 가고, 주님의 영광이 네 뒤를 지켜 주리라. 그때 네가 부르면 주님께서 대답해 주시고, 네가 부르 짖으면 ‘나 여기 있다.’하고 말씀해 주시리라.”

 

얼마나 통쾌, 상쾌, 유쾌한 주님의 말씀인지요. 바로 이것이 하느님의 마음입니다. 구체적 사랑과 정의를 실천할 때의 주님의 축복입니다. 이처럼 참된 수행은 사랑과 정의의 실천으로 표현되기 마련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보다시피 예수님은 단식 그 자체에는 별다른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으십니다. 그렇다고 단식 자체를 비판하지도 않으십니다. 다만 예언자들처럼 그 의미의 상실을 나무라실 뿐입니다. 단식은 본디 모든 구원의 원천이신 하느님은 물론 이웃에 활짝 마음을 여는 것입니다. 

 

“너는 단식할 때 머리에 기름을 바르고 얼굴을 씻어라. 그리하여 네가 단식한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드러내 보이지 말고, 숨어 계신 네 아버지께 보여라. 그러면 숨은 일도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너에게 갚아 주실 것이다.”

 

단식을 하려면 이렇게 하라는 것입니다. 아무도 모르는 감쪽같이 숨겨진 겸손한 단식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주님은 단식의 거부가 아닌 때에 맞는 단식을 말씀하십니다. 아무 때나 단식이 아닌 분별의 지혜를 발휘하여 단식의 때에 단식할 것이지 당신과 함께 지내는 축제와 같은 삶때는 적절치 않다는 것입니다.

 

“혼인잔치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는 동안에 슬퍼할 수야 없지 않느냐? 그러나 그들이 신랑을 빼앗길 날이 올 것이다. 그러면 그들도 단식할 것이다.”

 

강요할 단식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단식의 때에 단식하면 충분하다는 것입니다. 바로 특히 파스카 축제를 준비하는 사순시기에 적절한 단식입니다. 물론 평소에도 단식할 수 있습니다만 철저히 숨겨진 겸손한 단식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아ego’를 부풀리는 자기과시의 단식 수행은 일고의 가치도 없습니다. 예전 장상이 말씀하신 유머가 생각납니다.

 

“먹고 겸손한 것이, 안 먹고 교만한 것보다 낫다.”

 

겸손한 수행의 단식,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에 활짝 열려 있는 단식이 진짜 단식입니다. 분도 규칙에 나오는 두 구절이 인상적입니다. “단식을 사랑하라”(성규4,13), “정결을 사랑하라”(성규4,64)는 말씀입니다.

 

참 좋은 사랑입니다.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참된 수행으로 이끄는 사랑입니다. 정말 하느님을 사랑하는 이들은 단식을, 정결을, 가난을, 순종을, 노동을, 기도를, 성독을, 침묵을, 고독을, 즉 모든 수행을 사랑합니다. 이런 자발적 사랑의 수행이 참으로 수행자를 겸손하고 건강하고 부요하고 자유롭게 합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먹자 추세의 본능적 욕망의 시대에는 더욱 필요한 단식입니다.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얼마나 많은지요. 영양부족이 아니라 영양과잉이 문제입니다. 옛 수도교부들이 말씀하시는 여덟가지 악덕중 첫 자리에 오는 것이 탐식입니다. 1.탐식의 식욕, 2.탐애의 성욕, 3.탐욕의 욕심이요, 4.분노, 5.슬픔, 6.나태, 7.허영, 8.교만이 줄줄이 이어집니다. 자발적 사랑의 단식 수행이 모든 악덕의 뿌리를 근절하는 근본적 수행임을 깨닫습니다. 

 

자발적 사랑과 겸손의 열린 단식 수행을 통해 가난한 존재임을 통감하며 하느님께 마음을 열고 굶주린 이웃들과 연대감을 깊이할 수 있다면 참으로 영성적인 단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단식을 통해 가난의 한계와 진실을 체험할 때 저절로 겸손입니다. 그러니 단식으로 인한 육적 배고픔의 가난을 하느님 말씀에 대한 영적 배고픔으로 전환시키는 것입니다.

 

참으로 하느님을 사랑하듯 단식을 사랑할 때 가능합니다. 은총의 사순시기, 이런 자발적 사랑의 겸손한 단식을 참으로 권하고 싶은 심정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은총의 사순시기, 우리 모두 사랑과 정의의 실천이 겸비한 참된 단식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십니다.

 

"주님, 저희가 시작한 참회의 생활을 인자로이 도와 주시어, 육신으로 닦는 이 재계를 성실한 마음으로 완수하게 하소서." 아멘.

 

 

  • ?
    고안젤로 2019.03.09 10:37
    주님, 언제 어디서나 저희와 함께 계시는 주님 감사와 영광을 드립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70 지상에서 천상天上의 삶을-2016.11.16. 수요일 성녀 제르트루다(1256-1302) 동정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1.16 141
2769 찬미의 기쁨-주님께 노래하라, 새로운 노래-2016.11.17. 목요일 항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1.17 269
2768 성전정화-기도와 말씀을 통한 주님과의 일치-2016.11.18. 연중 제3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1.18 224
2767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찬미와 감사의 삶-2016.11.19. 연중 제3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1.19 158
2766 우리의 영원한 참 왕이신 그리스도 -2016.11.20. 주일 그리스도 왕 대축일(성서주간) 프란치스코 2016.11.20 369
2765 기뻐하고 즐거워하라-삶의 기적-2016.11.21. 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1.21 177
2764 늘 새로운 시작-해뜨는 마을-2016.11.22. 화요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1.22 117
2763 감사의 노래를-파스카의 주님과 함께-2016.11.23.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3 156
2762 하느님의 시야視野-허리를 펴고 머리를 들어라-2016.11.24. 목요일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1785-1839)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1.24 146
2761 때를 아는 지혜知慧-지금이 바로 그때이다-2016.11.25. 연중 제3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5 125
2760 복락원復樂園-해피엔드 happy end-2016.11.26. 연중 제3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6 131
2759 주님의 빛 속에 걸어가자!-평화의 길-2016.11.27. 대림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16.11.27 235
2758 사랑의 기적-2016.11.27.. 대림 제1주일 석진호 발렌티노 형제와 홍신실 루시아 자매의 혼인미사 프란치스코 2016.11.27 397
2757 꿈의 현실화現實化-오늘이 그날이다-2016.11.28. 대림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8 218
2756 ‘하느님의 꿈’의 현실화-오늘이 바로 그날이다-2016.11.29. 대림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9 207
2755 버림, 떠남, 따름의 여정旅程-착한 목자 이형우 시몬 베드로 아빠스를 추모追慕하며-2016.11.30. 수요일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16.11.30 207
2754 반석위에 인생집-기본에 충실하고 항구한 삶-2016.12.1. 대림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12.01 103
2753 주님과의 만남-주님은 나의 빛, 나의 구원이시다-2016.12.2. 대림 제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2.02 191
2752 복음 선포의 사명-세상의 중심, 세상의 빛-2016.12.3. 토요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1506-1552) 축일 프란치스코 2016.12.03 161
2751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회개, 겸손, 정의, 평화-2016.12.4. 대림 제2주일(인권 주일, 사회 교리 주간) 프란치스코 2016.12.04 148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