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4.29. 수요일(인보성체수도회 피정지도 9일째)

                                                          시에나의 성녀 가타리나 동정 학자(1347-1380) 기념일

                                                                                                                                 사도12,24-13,5ㄱ 요한12,44-50


                                                                                    삶의 좌표

                                                                            -주님과 함께하는 삶-


묵상 중 언뜻 떠오른 주제는 '삶의 좌표'였습니다. 과연 나는 언제나 제자리에서 주님과 함께 하는 삶인가 하는 물음입니다. 주님과 함께 할 때, 주님의 뜻에 따라 순종하며 살아갈 때 비로소 의미있는 참 나의 삶입니다. 우리 가톨릭 신자들은 참 복받은 내적부요의 사람들입니다. 우리 '삶의 좌표'인 교회의 보물들인 무수한 성인들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성인성녀들의 기념미사를 봉헌할 때 마다 마음이 새롭습니다. '아, 사람이 이렇게도 살 수 있구나!' 우리 삶의 좌표를 분명히 보여주고 있는 성인들입니다. 제가 성인성녀들의 미사를 봉헌할 때 마다 우선 확인하는 것이 생몰(生沒)연대요 성인들이 산 햇수와 제 나이와의 비교입니다. 우선 모든 성인성녀들이 예외없이 '죽었다'는 평범 자명한 사실이 위로와 평화를 줍니다. 죽음보다 확실한 것은 없고 죽음을 통해 내 삶의 좌표를 새로이 확인하게 됩니다.


오늘 기념하는 시에나의 가타리나 성녀는 1347년-1380년 까지 사셨으니 지금부터 약 630년전 분이며 산햇수는 33세 예수님과 똑같습니다. 지상 나이는 33년 짧은 햇수지만 시공을 초월하여 주님 안에서 영원히 살고 계신 성녀입니다. 성덕의 잣대는 '얼마나'의 산 햇수가 아니라, '어떻게' 주님과 함께, 주님과 하나되어 살아있는가에 있음을 봅니다. 주님과 함께 하나되어 살 때 비로소 시공을 초월한 지금 여기서 이미 영원한 삶이기 때문입니다. 세월호 참사 뒤 안산시 단원구에서 '치유공간 이웃'을 운영하고 있는 정혜신, 이명수 부부의 특강에서 몇 대목이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나는 트라우마에 대해서는 극복이라는 말은 쓰지 않습니다. 트라우마는 옛 삶으로 돌아갈 수 없을 만큼 판이 다 깨진 상처이기 때문에 극복할 수 없습니다. 이전에 살던 세상으로 돌아갈 수 없으니 극복이나 치료가 아니라, 우리는 '이 시간을 통과한다.'라 말합니다. '치유공간 이웃'에서의 치유의 기본원리는 '누구에게나 엄마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종교 영역에 계신 분들이 현장에서 '엄마' 역할을 해주길 바랍니다.“


우리의 삶에도 그대로 해당되는 삶의 진리입니다. 우리 역시 매일 이 시간을 통과합니다. 바로 주님의 죽음과 부활의 파스카 신비가 의미하는 바입니다. 죽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와 함께 끊임없이 이 시간을 통과하면서 치유되고 변형되는 우리들입니다. 바로 우리의 엄마 같은 역할을 해 주시는 고마운 분이 하느님 아버지시며 주님이신 성령입니다.


오늘 복음과 말씀에서도 이런 진리가 잘 들어납니다. 어제 복음 마지막 구절 예수님의 말씀은 '아버지와 나는 하나이다(요한10,30).' 였습니다. 아버지께 파견 받아 아버지와 완전히 하나되어 사신 예수님이셨습니다. 다음 복음 말씀도 이를 분명히 합니다.


"내가 스스로 말하지 않고, 나를 보내신 아버지께서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이야기할 것인지 친히 나에게 명령하셨다. 나는 그분의 명령이 영원한 생명임을 안다. 그래서 내가 하는 말은 아버지께서 나에게 말씀하신 그대로 하는 말이다.“(요한12,49-50).


우리 삶의 좌표중의 좌표가 이런 부활하신 예수님이십니다. 하느님 아버지로부터 세상에 파견 받은 우리들 역시 삶의 좌표인 예수님과 함께, 예수님과 하나되어 살 때 비로소 충만한 삶, 영원한 삶, 참 나의 실현임을 깨닫습니다. 죽으시고 부활하신 주님과 함께 날마다 여기 지금 이 시간을 통과하며 파스카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들입니다.


오늘 사도행전 독서에서도 주인공은 바르나바와 사울이 아니라 주님의 성령임을 깨닫습니다. 성령에 파견 받아 성령과 함께 성령 따라 순종의 삶을 사는 자유인 바르나바와 사울입니다. 사도행전 다음 대목이 이를 입증합니다.

'성령께서 파견하신 바르나바와 사울은 셀레우키아로 내려간 다음, 거기에서 배를 타고 키프로스로 건너갔다.“


성령따라 주님과 함께 영원한 생명을 누리며 살 때 비로소 행복한 자유인입니다. 오늘도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당신 성령으로 충만케 하시어 세상의 빛으로 파견하시며 말씀하십니다.


"보라, 내가 세상 끝 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마태28,20ㄴ).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 하느님이 치유하신다-2015.6.6. 연중 제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06.06 262
149 인명人命은 재천在天이다-2015.6.5. 금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675-754)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5.06.05 514
148 사랑밖엔 길이 없었네-2015.6.4. 연중 제9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6.04 318
147 산 이들의 하느님-2015.6.3. 수요일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188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6.03 307
146 하느님 중심의 삶-2015.6.2. 연중 제9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6.02 300
145 주님 안에서-2015.6.1. 월요일 성 유스티노 순교자(100-16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6.01 424
144 삼위일체 하느님-2015.5.31. 주일 삼위일체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5.05.31 426
143 주님의 집 -하느님께 찬미와 감사-2015.5.30. 토요일 수도원 성전 봉헌 축일(2006년) 프란치스코 2015.05.30 585
142 천국의 열쇠 -십자가 예찬-2015.5.29. 복자 윤지충 바오로(1759-1791)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5.29 345
141 개안(開眼)의, 깨달음(覺)의 여정 -사랑 예찬-2015.5.28. 연중 제8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5.28 236
140 섬김의 배움터-2015.5.27. 연중 제8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5.27 191
139 참 멋진 사람 -버림,떠남,따름-2015.5.26. 연중 제8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5.26 200
138 구원의 길 -나를 따라라-2015.5.25. 월요일 성 베다 베네빌라스 사제 학자(672-75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5.25 165
137 성령의 선물-성령 예찬-2015.5.24. 주일 성령 강림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5.05.24 563
136 주님은 삶의 방향이시다 -나를 따라라-2015.5.23. 부활 제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05.23 189
135 영광스러운 죽음-2015.5.22. 부활 제7주간 금요일 - 프란치스코 2015.05.22 180
134 하느님의 일 -하나됨의 비결-2015.5.21. 부활 제7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5.21 180
133 진리에 대한 사랑 -진리 예찬(2015.5.20. 부활 제7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5.20 222
132 하늘길-2015.5.19. 부활 제7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5.19 208
131 영적승리의 삶-2015.5.18. 부활 제7주간 월요일(제35주기 5.18민주화 운동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5.18 355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