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5.4. 부활 제5주간 월요일                                                                                                   사도14,5-18 요한14,21-26


                                                                                  삶은 극복이 아닌 통과다

                                                                                      -파스카의 삶-


삶은 극복이 아니라 통과의 과정입니다. 파스카 신비의 핵심도 통과에 있습니다. 죽음을 통과해 생명으로 부활하신 주님처럼 우리도 부단히 죽음을 통과해 부활의 파스카의 삶을 살아갑니다. 이런 깨달음이 우리를 참아 기다리게 하고, 마음의 상처를 최소화하고, 자유롭게 하고, 초연하게 합니다. 현재에 최선을 다하되 집착하지 않습니다. 


모두가 지나갑니다. 우리 역시 이런저런 과정을 통과해 갑니다. 극복이라 생각할 때는 힘들지만 통과의 과정이라 생각할 때는 훨씬 마음이 가볍습니다. 지금 여기까지 우리는 무수한 과정을 통과해 왔고 또 앞으로도 통과해 하느님 아버지께 갈 것입니다. 바로 여기에 우리의 희망이 있습니다. 최종 목적지인 하느님이 우리의 궁극적 희망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흘러간 시절은 되돌아 갈수도, 되돌릴 수도 없고 과거의 추억속에 계속 머물수도 없습니다. 머물러야 할 곳은 지금 여기 '주님 안'뿐입니다. 삶은 끊임없이 흘러가는 통과의 과정입니다. 겨울인가 했더니 겨울을 통과해 봄이요, 봄인가 했더니 봄을 통과해 초여름입니다. 눈부시게 변화해가는 세월의 흐름만 봐도 삶은 통과의 과정임을 깨닫습니다. 하여 이사야 예언자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지나간 일을 생각하지 말라. 흘러간 일에 마음을 묶어두지 말라. 보아라, 내가 이제 새일을 시작하였다."(이사43,18-19ㄱ).


그러니 지금 주님께서 나를 통해 행하시는 일에 집중하라는 것입니다. 역시 고백성사 때 보속의 말씀 처방전으로 많이 써드리는 구절입니다. 과거도 미래도 아닌 바로 오늘 여기에서의 통과 과정에 충실하게 하는 오늘 복음의 서두 말씀입니다. 


"내 계명을 받아 지키는 이야말로 나를 사랑하는 사람이다.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내 아버지께 사랑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나도 그를 사랑하고 그에게 나 자신을 드러내 보일 것이다.“


주님을 사랑하는 이는 주님의 사랑의 계명을 지킵니다. 이렇게 주님을 사랑하여 계명을 지킬 때 주님은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에게 당신을 드러내 보이십니다. 아, 이렇게 주님을 사랑하고 주님의 사랑을 받을 때 현재의 순간을 잘 통과해 갈 수 있습니다. 성공적 파스카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자신을 드러내 보이시는 부활하신 주님께서 도와 주시기 때문입니다. 


오늘 사도행전에서 바르나바와 바오로의 통과 과정이 참으로 눈부십니다. 오늘 복음의 좋은 본보기입니다. 두 사도는 리스트라에서 앉은뱅이로 태어나 한 번도 걸어 본적이 없는 태생 불구자를 치유하였고, 이어 자신들을 신으로 착각해 제물을 바치려는 군중들을 설교를 통해 하느님께 방향을 잡아 줍니다. 


"우리도 여러분과 똑같은 사람입니다. 우리는 다만 여러분에게 복음을 전할 따름입니다. 여러분이 이런 헛된 것들을 버리고 하늘과 땅과 바다와 또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만드신 살아계신 하느님께 돌아서게 하려는 것입니다.“


진정성 가득 담긴 사도의 설교가 감동적입니다. 두 사도를 통해 활동하시는 분은 바로 부활하신 주님이심을 깨닫습니다. 우리 역시 부단히 세상의 헛된 것들을 버리고 살아계신 하느님께 돌아가는 통과 여정의 삶을 살아갑니다. 두 사도와 함께 하시어 성공적 통과 여정의 삶을 살게 하신 똑같은 주님께서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통과전례인 미사 은총으로 우리 모두 오늘 하루도 잘 통과하며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91 주님과 우정의 여정 -구원과 멸망-2021.10.27.연중 제30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27 164
1790 믿음의 여정 -성소는 은총의 선물이자 과제다-2021.11.30.화요일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11.30 164
1789 영원한 참 고향집 -주님의 집-2022.2.7.연중 제5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2.07 164
1788 예닮의 여정 -마음정화, 자기인식, 예수사랑-2022.2.27.연중 제8주일 프란치스코 2022.02.27 164
1787 예수님은 누구인가? -“한결같이 늘봄”을 사셨던 분-2022.4.8.사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4.08 164
1786 내적혁명 -부활하신 파스카 주님과의 만남-2022.4.19.부활 팔일 축제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9 164
1785 착한 목자 예수님 닮기 -경애敬愛, 경청敬聽, 추종追從, 선교宣敎-2022.5.8.부활 제4주일(성소주일) 프란치스코 2022.05.08 164
1784 사랑은 분별의 잣대 -사랑은 은총, 선택, 공부, 훈련이다-2022.5.19.부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5.19 164
1783 하느님 중심의 행복한 삶 -우정, 환대, 찬미-2022.5.31.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 프란치스코 2022.05.31 164
1782 회개의 여정(旅程)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2024.2.21.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1 164
1781 구원의 길 -나를 따라라-2015.5.25. 월요일 성 베다 베네빌라스 사제 학자(672-75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5.25 165
1780 기도와 회개-2015.10.23.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10.23 165
1779 주님과의 일치 -신록의 영혼-2016.4.27. 부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4.27 165
1778 하늘 나라 살기 -참보물의 발견-2016.7.27. 연중 제17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7.27 165
1777 무지無知의 악惡- -선과 악에 대한 묵상--2016.7.30. 연중 제1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7.30 165
1776 하느님께서 좋아하시는 삶 -기도, 정의, 지혜-2016.9.18. 연중 제25주일 프란치스코 2016.09.18 165
1775 내 인생 성경聖經의 렉시오 디비나-하느님 은총의 발자취-2016.12.24. 대림 제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2.24 165
1774 말씀의 신비, 인간의 신비-빛, 생명, 진리-2016.12.25. 주일 예수 성탄 대축일 낮미사 프란치스코 2016.12.25 165
1773 예닮영성 -버림, 떠남, 따름-2017.2.28. 연중 제8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2.28 165
1772 자기인식(self-knowledge)의 전인적 치유와 구원 -중심, 균형, 조화, 소통-2018.7.5. 연중 제13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5 165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