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5.연중 제34주간 금요일                                                묵시20,1-4.11-21,2 루카21,29-33

 

 

 

-“새 하늘과 새 땅”

-오늘 지금 여기가 하느님의 나라이다-

 

 

“보라, 하느님의 거처는 사람들 가운데에 있다.”(묵시21,3ㄴ참조)

 

화답송 후렴이 은혜롭습니다. 우리가 몸담고 살아가는 오늘 지금 여기 공동체가 하느님의 거처라는 것입니다. 주 하느님을 만나야 할 곳, 바로 내 공동체라는 것입니다. 

 

꿈이, 궁극의 희망이 있어야 삽니다. 바로 하느님 나라의 꿈,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입니다. 예수님의 평생 꿈이, 화두가 하느님의 나라였습니다. 사실 무지의 눈만 열리면 곳곳에 널려 있는 하느님 나라의 표징들입니다. 오늘 주님은 묵시록의 사탄의 패망에 이어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의 궁극의 꿈, 비전을 보여줍니다. 선물처럼 펼쳐지는 오늘 제1독서 묵시록의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의 비전입니다.

 

“나는 또 새 하늘과 새 땅을 보았습니다. 첫 번째 하늘과 첫 번째 땅은 사라지고 바다로 더 이상 없었습니다. 그리고 거룩한 도성 새 예루살렘이 신랑을 위하여 단장한 신부처럼 차리고 하늘로부터 하느님에게서 내려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대로 참 좋은 하느님의 선물이 새 하늘과 새 땅, 새 예루살렘입니다. 참으로 이런 꿈을, 희망이, 비전을 지니고 살 때 하느님 중심의 삶에 마음의 순수요 매사 초연할 수 있습니다. 현실주의적 이상주의자의 삶에 올바른 식별의 지혜도 가능합니다. 바로 오늘 복음인 무화과 나무의 비유에 대한 답이 됩니다.

 

“무화과나무와 다른 모든 나무를 보아라. 잎이 돋자마자, 너희는 그것을 보고 여름이 이미 가까이 온 줄을 저절로 알게 된다. 너희도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온 줄을 알아라.”

 

앞서의 종말의 사건들을 보면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임재해 있음을 알라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멀리 있지 않습니다. 눈만 열리면 곳곳에 널려 있는 하느님 나라의 표징들입니다. 눈만 열리면 오늘 지금 여기가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 새 예루살렘입니다. 다음 행복기도 내용 그대로입니다.

 

“주님, 눈이 열리니

온통 당신의 선물이옵니다.

당신을 찾아 어디로 가겠나이까

새삼 무엇을 청하겠나이까

오늘 지금 여기가 하느님의 나라 천국이옵니다.”

 

마침 어제 읽은 아름다운 찬미가도 생각납니다. 1880년경, 독일 개신교에서 불렸던 성가입니다.

 

“당신의 불을 붙이소서, 

주여, 내 마음에

밝게 타오르게 하소서, 사랑하는 구원자여

내 존재, 내가 가진 것, 당신 소유가 되리니

당신의 품에 나를 꼭 안으소서.

생명의 샘, 기쁨의 샘,

당신은 내 영혼의 어둠을 밝히시리니

당신은 내 기도를 들으시고, 모든 곤궁에서 도우시리니

예수님, 나의 구원자, 나의 주 하느님.”

 

바로 우리 구원자, 우리 주 하느님, 예수님이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의 꿈의 실현입니다. 이런 예수님과 일치가 깊어질수록 우리 또한 오늘 지금 여기서 하느님 나라를 살 수 있습니다. 참으로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의 실현인 예수님과 함께 깨어 사는 이들에게 선사되는 하느님 나라의 표징들입니다. 

 

지나가는 세상에 살면서도 지상 삶에 매몰되지 않고 이탈의 초연한 삶, 자유로운 삶입니다. 말그대로 현실주의적 이상주의자의 삶입니다. 오늘 복음 말미의 예수님 말씀이 깊은 위로와 힘을 줍니다. 여전히 시공을 초월하여 오늘 우리에게 해당되는 말씀입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이 세대가 지나기 전에 모든 일이 일어날 것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내 말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말씀은 살아있고 힘이 있습니다. 말씀은 영이요 생명이요 빛입니다. 우리의 궁극의 새 하늘과 새 땅의 꿈을 늘 새롭게 하면서 실현시켜 주는 것이 바로 말씀의 힘이요 위력입니다. 모두가 다 사라져도 하느님은, 파스카 예수님은, 주님의 말씀은 영원합니다. 바로 날마다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새 하늘과 새 땅의 하느님 나라를, 새 예루살렘을, 영원한 삶을 살게 하십니다. 

 

“주님을 찬양하여라, 모든 사람들아,

 우리 위한 주님 사랑 굳건하여라.”(시편117,1-2).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30 하느님 -자연과 인간의 무지와 허무에 대한 답答-2019.10.15.화요일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515-158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0.15 160
2929 피에타의 성모님-2015.9.15. 화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9.15 446
2928 피고 지는 꽃들, 오고 가는 사람들 -꽃같이 아름다운 삶-2020.5.26.화요일 성 필립보 네리 사제(1515-1595)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5.26 176
2927 프레임으로부터의 자유 -사랑의 프레임-2017.7.8. 연중 제1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07.08 104
2926 품위있는 삶과 죽음을 위하여 -진리, 공부, 순종-2021.4.2. 주님 수난 성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02 125
2925 품위있는 멋진 삶 -꿈과 현실-2015.10.13. 연중 제28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10.13 255
2924 품위있고 행복한 삶과 죽음 -기도와 회개, 깨어있음의 은총-2020.11.13.연중 제3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0.11.13 109
2923 품위있고 온전한 삶 -시련, 기쁨, 믿음, 인내, 지혜-2020.2.17.연중 제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17 135
2922 평화의 선물-2016.4.26. 부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4.26 174
2921 평화의 복 -하느님의 종, 하느님의 자녀-2018.1.8. 월요일 주님 세례 축일 프란치스코 2018.01.08 216
2920 평화의 길, 상생의 길, 지혜의 길 -주님이 답이다- “주님을 믿고, 희망하고. 사랑하라”2023.8.20.연중 제20주일 프란치스코 2023.08.20 265
2919 평화의 길 -기도, 회개, 용서-2020.6.25.목요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06.25 141
2918 평생학인(平生學人)2015.4.1. 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4.01 242
2917 평생학생 -서로 사랑하여라-2018.5.14.월요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2 프란치스코 2018.05.14 138
2916 평생과제, 평생공부 -행복한 성인聖人이 되는 것-2019,2,24 연중 제7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2.24 166
2915 평생과제, 예수님의 소원 -하느님을 닮아 성인聖人이 되는 것-2021.2.27.사순 제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27 126
2914 평생과제 -참사람이 되는 일-2017.8.30. 연중 제21주간 수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30 146
2913 평생과제 -참 사람이 되는 일-2016.6.22. 연중 제2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6.22 179
2912 평생과제 -참 사람이 되는 일-2019.3.2.연중 제7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02 122
2911 평생과제 -성인이 되십시오-2023.3.4.사순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3.04 268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