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5.18. 부활 제7주간 월요일(제35주기 5.18민주화 운동 기념일)                                                                                           사도19,1-8 요한16,29-33


                                                                                                  영적승리의 삶


수도원 십자로의 예수부활상과 그 배경의 단풍나무의 조화가 장관입니다. 이젠 단풍나무 없는 예수부활상, 예수부활상 없는 단풍나무는 상상하기 힘듭니다. 어제 써놓은 글입니다.


예수 부활상/배경의/푸르른 단풍나무

나 예수님/배경이/되어드리면

예수님 역시/내 배경이/되어 주신다

내 방패가 되어 주신다


예수부활상과 느티나무, 둘이자 하나요 하나이자 둘의 관계입니다. 바로 아버지와 예수님의 관계가, 예수님과 성모님의 관계가, 예수님과 바오로의 관계가 그러합니다. 예수님과 우리의 관계도 그러합니다.


"그러나 너희가 나를 혼자 버려두고 저마다 제 갈 곳으로 흩어질 때가 온다. 아니 이미 왔다. 그러나 나는 혼자가 아니다. 아버지께서 나와 함께 계신다. 내가 너희에게 이 말을 한 이유는, 너희가 내 안에서 평화를 얻게 하려는 것이다.“(요한요한16,31-32).


위기시 살 길을 찾아 제각기 흩어지는 것이 바로 사람입니다. 아버지께서  늘 배경이요 방패가 되어주셨기에 그 평화로 언제나 영적승리의 삶을 살았던 예수님이셨습니다. 오늘날 고난을 겪고있는 우리 모두를 향한 주님 말씀입니다.


"너희는 세상에서 고난을 겪을 것이다. 그러나 용기를 내어라. 내가 세상을 이겼다.“


십자로 중앙의 예수부활상 아래 돌판에는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는 주님 말씀이 새겨져 있지만 위 말씀으로 대치해도 좋겠습니다.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세상을 이기신 파스카의 주님이십니다. 우리 역시 주님의 고난과 죽음에 합류하여 주님과 하나가 되어 살 때 내적평화와 더불어 부활승리의 삶입니다. 바로 이의 생생한 증거가 바오로입니다.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

바오로의 전 삶을 요약하는 이 말씀은 제 사제서품 25주년 은경축 상본의 성구이기도 합니다. 얼마전 읽은 기사가 생각납니다. 그 유명한 늦봄 故 문익환 목사님의 아우 문동환 목사님에 대한 일화입니다.


'2015.5.12.일 6시 30분 연지동 기독교회관에서 문동환 박사님의 「예수냐 바울이냐?」 출판기념회가 있었다. 95세 나이에 책을 쓰시다니! 더구나 정정하고 열정적인 음성으로 책 이야기를 펼치시는 강연이라니! 알츠하이머가 심한 부인 문혜린 여사를 모시고 나와서 옆에 앉히셨고, 당신 나이 42세였을 적에 25세 처녀로 시집와서 아직까지 함께하는 아내에게 책을 바치신다는 말씀도 하셨다.‘(휴천재에서 전순란 글 인용).


'예수냐 바울이냐?' 책 제목처럼 양자선택의 문제가 아닐 것입니다. 예수님 없는 바오로는 상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이 늘 바오로의 배경이자 방패가 되어 주셨기에 오늘 사도행전에서처럼 복음선포에 항구하며 영적승리의 삶을 살 수 있었음을 봅니다.


'바오로는 석 달 동안 회당에 드나들며 하느님 나라에 관하여 토론하고 설득하면소 담대히 설교하였다.‘


문동환 목사님이 95세에 책을 출판할 수 있었음 역시 영적승리의 생생한 표지입니다. 분명 파스카의 주님과 늘 일치되어 사셨을 것입니다. 죽을 때까지 하루하루 계속되는 영적전쟁의 삶입니다. 우리 수도생활이 바로 그러합니다. 죽어야 비로소 승리의 안식이자 휴식입니다. '하루하루 살았습니다'의 자작시 마지막 연이 영적승리의 삶의 비결을 보여줍니다.


'하루하루 살았습니다.

하루하루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라 살았습니다.

하루하루 일일일생(一日一生), 하루를 평생처럼, 처음처럼 살았습니다.

저희에겐 하루하루가 영원이었습니다.

어제도 오늘도 이렇게 살았고 내일도 이렇게 살 것입니다.

하느님은 영원토록 영광과 찬미 받으소서.'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당신의 참 좋은 평화를 선사하시어 오늘 하루도 영적승리의 삶을 살 수 있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50 “너 자신을 알라.”-2016.6.20. 연중 제1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06.20 171
1649 주님은 찬미받으소서-하느님 중심의 삶-2016.10.13. 연중 제28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10.13 171
1648 주님을 경외함이 답이다. -섬김의 삶, 환대의 삶-2017.2.21. 화요일 성 베드로 다미아노 주교 학자(1007-107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2.21 171
1647 항구한 자기훈련의 수행 -절망은 없다-2019.7.26.금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부모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7.26 171
1646 주님 중심의 공동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2018.5.17. 부활 제7주간 목요일 2 프란치스코 2018.05.17 171
1645 내 삶의 성경책 -한결같은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의 삶-2018.2.1. 연중 제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1 171
1644 아름답고 거룩한 죽음 -귀천歸天-2018.3.21. 수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480-543/547) 별세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3.21 171
1643 삶의 기적 -시간은 공간보다 위대하다-2018.4.18. 부활 제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18 171
1642 깨어, 오늘 지금 여기서, 성인聖人처럼, 천국天國을 살자! -참 중요한 죽음의 귀가歸家준비-2018.11.2.금요일 죽은 모든 이들 기억하는 위령의 날 프란치스코 2018.11.02 171
1641 배움의 여정, 겸손의 여정 -평생 학인學人의 삶-2019.2.22. 금요일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2.22 171
1640 회심의 여정 -예수님을 닮아가는 여정-2019.5.10.부활 제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5.10 171
1639 어떻게 살아야 하나? -자나깨나 아버지의 영광을 위하여-2019.6.4. 부활 제7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6.04 171
1638 과연 내 삶의 순도(純度)는 몇%쯤 될까? -신뢰, 겸손, 사랑-2019.7.1.연중 제1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01 171
1637 환대의 영성 -주님과 이웃을, 농민을 환대합시다-2019.7.21.연중 제16주일(농민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21 171
1636 참 아름다운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19.9.26.연중 제25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26 171
1635 하느님 중심의 삶 -끊임없는 기도와 회개-2019.10.11.연중 제2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1 171
1634 찬양과 감사 -구원의 행복은 선택이요 선물이다-2021.11.10.수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1.10 171
1633 희망의 빛, 부활의 희망, 희망의 천국 -“죽음은 새 새명의 시작입니다”-2021.11.20.연중 제3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20 171
1632 주님 부활 증인의 삶 -회개, 평화, 기쁨-2022.4.21.부활 팔일 축제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1 171
1631 영적 승리의 삶 -꿈, 사랑, 선교-2022.5.15.부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22.05.15 171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