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6.10. 연중 제10주간 수요일                                                                                                            2코린3,4-11 마태5,17-19


                                                                                                         율법의 완성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사랑없이 율법의 완성은 불가능합니다. 아무리 율법을 지켜도 여전히 지켜야 할 율법은 남아있고 마음의 평화도 없습니다. 결코 율법주의는 하느님이 원하는 바도 아니고 우리를 자유롭게 하지 않습니다. 예수님은 율법을 폐지하러 오신 것이 아니라 율법을 완성하러 오셨습니다. 예수님은 하늘과 땅이 없어지기 전에는, 모든 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율법에서 한 자 한 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천명하셨습니다. 


예수님은 결코 율법주의자가 아닙니다. 그러면 어떻게 율법의 완성입니까? 사랑을 통해서입니다. 사랑뿐이 답이 없습니다. 사랑과 율법은 별개의 것이 아닙니다. 하느님의 무한한 사랑의 표현이 율법입니다. 그러니 사랑으로 행할 때는 율법에 거스르는 일이 없습니다. 사랑은 분별의 잣대입니다. 예전에 써놓은 짧은 자작 애송시가 생각납니다.


-나무에게 하늘은 가도 가도 멀기만 하다.

 아예 고요한 호수가 되어 하늘을 담자.-


나무는 부단한 율법준수를 통해 완성을 지향하는 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반면 호수는 하늘 사랑을, 사랑의 하느님을 마음에 담은 '사랑의 사람'을 상징합니다. 그러니 나무가 되어 살 것이 아니라 사랑의 호수가 되어 사는 것입니다. 이런 호수같은 사랑의 사람을 통해 비로소 율법의 완성입니다. 


율법을 지키려는 노력보다는 사랑 실천에 집중해야 합니다. 율법준수에 집착할 때는 자유롭지 못하고 사랑에 힘쓸 때는 자유롭습니다. 사랑이 진정 자유롭게 합니다. 비단 율법만이 아닙니다. 수도자의 모든 수행도 사랑의 표현이요 궁극엔 자유를 목표로 합니다. 


어제의 경우가 지금도 마음에 걸립니다. 아침 식사후 집무실에서 일을 보고 있을 때 몹시 힘들어 보이는 한 자매가 문 앞에 서서 고백성사를 보고 싶다 했습니다. 

"3시경 기도 후에 오십시오. 그때 고백성사 드리겠습니다.“

기도후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았습니다. 시간상 기다릴 여유가 없어 떠난 듯 했습니다. 참 마음이 걸렸습니다. 힘들게 오신 분이 분명한데, 이런 예외적인 경우는 기도를 못하더라도 사랑의 분별로 우선 불쌍해 보이는 자매부터 성사를 드렸어야 하는 건데 많이 후회되었습니다. 


성령은 사랑입니다. 분별의 사랑도 성령의 선물입니다. 사랑의 성령에 따라 살 때 저절로 율법의 완성입니다. 1독서의 새 계약의 일꾼은 비단 바오로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해당됩니다.


"우리의 자격은 하느님에게서 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새 계약의 일꾼이 되는 자격을 주셨습니다. 이 계약은 문자가 아니라 성령으로 된 것입니다. 문자는 사람을 죽이고 성령은 사람을 살립니다.“


그렇습니다. 사람을 위한 율법이지 율법을 위한 사람이 아닙니다. 사람이 빠진 문자 그대로의 율법주의는 사람을 죽이고 성령의 사랑은 사람을 살립니다. 하느님께서는 세례 받아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 모두에게 새 계약의 일꾼이 되는 자격을 주셨습니다. 새 계약의 사람들은 성령의 사람들, 사랑의 사람들입니다. 사랑의 분별로 율법의 완성에 이르게 하는 사랑의 성령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성령으로 충만케 하시어 사랑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1 무지로부터 해방된 행복하고 충만한 삶 -말씀 찬미와 공부가 답이다-2018.12.31.성탄 팔일 축제 제7일 1 프란치스코 2018.12.31 182
1450 하느님 중심의 삶 -올바른 수행자의 자세-2019.6.19.수요일 성 로무알도 아빠스(951-102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6.19 182
1449 ‘씨뿌리는 삶’에 항구한 사람들 -믿음이 답이다-2019.7.24.연중 제16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24 182
1448 야생화 달맞이꽃 영성 -구도자의 모범-2019.8.22.목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22 182
1447 하느님의 기쁨 -“부끄러워 합시다. 그리고 회개합시다”-2022.3.27.사순 제4주일(장미주일, Laetare 주일) 프란치스코 2022.03.27 182
1446 지혜로운 성인의 삶 -분별력, 황금률, 좁은문- 프란치스코 2022.06.21 182
1445 지옥(地獄)같은 세상에서 천국(天國)의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23.8.29.화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8.29 182
1444 권위있는 삶-2015.9.1. 연중 제2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9.01 183
1443 내적성장과 성숙-2015.9.19. 연중 제2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09.19 183
1442 그리스도 중심의 공동체 삶-2015.10.3. 연중 제3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11.03 183
1441 구원의 행복은 발견이자 선택이다 -하느님 중심의 삶-2016.4.6. 부활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4.06 183
1440 자기인식(self-knowledge) -하느님의 도구-2016.7.13. 연중 제1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7.13 183
1439 그리스도께 희망을 두라 -하느님의 영광을 찬양하는 삶-2016.10.14. 연중 제2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0.14 183
1438 참 중요한 일 -삶의 중심中心을 찾는 것-2017.1.19. 연중 제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1.19 183
1437 아름다운 고별사 -사랑, 아름다움, 감동-2018.5.15. 화요일 성 빠코미오 아빠스(292-34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5.15 183
1436 성령에 따른 삶 -무지에 대한 답은 예수님과 미사뿐이다-2019.1.28.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1225-127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1.28 183
1435 사랑과 ‘마음의 순수’ -사랑이 답이다-2019.6.13.목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6.13 183
1434 의인義人 성聖 요셉 예찬禮讚 -연민, 믿음, 순종-2020.3.19.목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3.19 183
1433 영적 승리의 삶, 지상 천국의 삶 -기도, 고요, 증언, 인내-2020.11.25.연중 제3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25 183
1432 하느님의 참 좋은 최고의 선물 -성체성사의 가르침-2022.2.12.연중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2.12 183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