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10.25.연중 제29주간 금요일                                                 로마7,18-25ㄱ 루카12,54-59

 

 

 

주님의 전사戰士

-영적전쟁, 회개, 마음의 순수-

 

 

 

제 수도생활 초기부터 마음을 사로잡았던 주제는 '주님의 전사'였습니다. 비단 수도승만 아니라 믿는 이들 모두가 평생 제대가 없는 주님의 영원한 현역, 주님의 전사라는 것입니다. 주님의 전사는 바꿔 말해 믿음의 전사, 평화의 전사, 사랑의 전사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영적전쟁중 싸우다 ‘전사戰死’해야 ‘전사戰士’라 할 수 있고 죽어야 끝나는 영적전쟁이라는 것입니다.

 

성서의 인물들 너나 할 것 없이 주님의 전사입니다. 바로 그 모범이 오늘 제1독서 로마서의 주인공 바오로 사도입니다. 참으로 평생 치열한 영적전투를 치르다 순교로 전사함으로 영적전쟁에 승리한 주님의 전사, 바오로 사도입니다.

 

누구와의 영적전쟁이며 그 승리의 비법은 무엇입니까?

바로 자기와의 싸움입니다. 적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내가 바로 적입니다. 바오로 사도의 치열한 내적 전쟁 상황에 대한 고백을 들어 보십시오. 우리 모두의 실존적 체험이기도 합니다. 참으로 양면성을 지닌 모순적인 인간입니다.

 

“나의 내적 인간은 하느님의 법을 두고 기뻐합니다. 그러나 내 지체안에는 다른 법이 있어 내 이성의 법과 대결하고 있음을 나는 봅니다. 그 다른 법이 나를 내 지체 안에 있는 죄의 법에 사로잡히게 합니다.”

 

내적인간은 하느님의 법을 두고 기뻐하지만 외적인간은 죄의 법을 기뻐합니다. 자치 방심하여 외적인간을 따르다 보면 죄의 법에 사로 잡혀 참 기쁨도 평화도 잃고 삶은 혼란해지고 복잡해집니다. 

 

죄의 법에서 벗어나기 힘든 악순환의 반복처럼 생각됩니다. 참으로 지난한 끝이 보이지 않는 자기와의 싸움, 영적전쟁입니다. 어떻게 이런 악순환의 반복에서 벗어나 영적승리의 삶을 살 수 있을 까요? 바로 주님의 전사라는 호칭에 답이 있습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가 답입니다. 바오로의 고백이 참 반갑고 고맙습니다. 

 

“나는 과연 비참한 인간입니다. 누가 이 죽음에 빠진 몸에서 나를 구해 줄 수 있습니까?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나를 구해 주신 하느님께 감사드립니다.”

 

하느님께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를 구원해 주심으로 영적전쟁의 승리입니다. 그러니 예수님과의 우정의 일치가 영적전쟁의 승리의 비결임을 깨닫습니다. 끊임없는 회개를 통해 예수님과 깊어지는 우정이요, 결국은 영적승리의 삶입니다.

 

오늘 복음 후반부의 늦기 전에 화해하라는 일화는 바로 회개의 긴박성을 말해 줍니다. 늦기 전에 신속한 회개를 명하시는 주님이십니다.

 

“너희는 올바른 일을 스스로 판단하지 못하느냐?---내가 너에게 말한다. 네가 마지막 한 닢까지 갚기 전에는 결코 거기에서 나오지 못할 것이다.”

 

사태가 악화되기 전에 신속히 화해함으로, 즉 회개함으로 삶의 질서를 바로 잡으라는 말씀입니다. 참으로 분별력 좋은 주님의 지혜로운 전사가 되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끊임없는 회개가 주님의 전사의 필수적 자질임을 깨닫습니다. 끊임없는 회개의 은총을 통해 주님의 전사가 지니게 되는 용기, 슬기, 끈기의 세 덕목입니다.

 

오늘 복음의 전반부에서 예수님의 지탄의 대상은 바로 오늘 날 우리에게도 그대로 해당됩니다.

 

“위선자들아, 너희는 땅과 하늘의 징조는 풀이할 줄 알면서, 이 시대는 어찌하여 풀이할 줄 모르느냐?”

 

답은 역시 끊임없는 회개입니다. 끊임없는 회개에 전제되는 바 끊임없는 말씀공부와 기도입니다. 이렇게 끊임없이 공부하고 기도하며 회개의 삶에 항구하고 충실할 때 깨어 있는 삶에 마음의 순수와 지혜입니다. 마음따라 보는 눈입니다. 이래야 시대의 징조를 알아볼수 있는 마음의 눈도 지니게 됩니다.

 

개신교의 유명한 칼 바르트 신학자의 혜언도 잊혀지지 않습니다. ‘성서를 신문보듯이 하고 신문을 성서보듯 하라’는 말입니다. 신문을 통해 시대의 징표를 읽기 위함이겠습니다. 

 

참으로 끊임없는 공부, 기도, 회개를 통해 시대의 징표를 읽을 수 있는 순수한 마음의 눈도 지닐 수 있음을 봅니다. 새삼 주님의 전사는 회개의 사람이자 시대의 징표를 읽을 수 있는 참 예언자이자 현자임을 깨닫게 됩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주님의 전사로 영적전쟁에 항구할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아멘.

 

  • ?
    고안젤로 2019.10.25 10:05
    사랑하는 주님, 매일 주시는 생명의 양식으로 회개를 통해 다시 주님앞으로 갈수있는 힘과
    용기를 주심에 감사와 영광을 드립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4 주님과 우정友情의 여정 -사랑, 용기, 지혜, 자유-2019.9.9.연중 제2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9 151
1713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예수님의 제자답게-2019.9.8.연중 제23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9.08 157
1712 사랑은 분별의 잣대 -영적靈的일수록 현실적現實的이다-2019.9.7.연중 제2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7 160
1711 주 예수 그리스도님을 사랑합시다 -분별의 잣대는 예수님-2019.9.6.연중 제2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6 127
1710 예닮의 여정 -영적 성장과 성숙-2019.9.5.연중 제22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5 164
1709 영혼의 쉼터 -주님과의 만남과 치유-2019.9.4.연중 제2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4 138
1708 영적 삶의 균형과 조화 -관상과 활동(섬김)-영적 삶의 균형과 조화 -관상과 활동(섬김)- 1 프란치스코 2019.09.03 245
1707 파스카의 삶 -자유의 여정-2019.9.2.연중 제2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2 142
1706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 -사랑, 겸손, 자비-2019.9.1.연중 제22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9.01 211
1705 시詩같은 인생 -착하고 성실한 삶-2019.8.31.연중 제2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8.31 150
1704 “깨어 있어라!” -거룩하고 슬기로운 삶-2019.8.30.연중 제21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8.30 155
1703 영원한 삶 -사랑과 신뢰의 관계-2019.8.29.목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29 181
1702 진리의 연인戀人 -하느님만을 그리워하는, 하느님만을 찾는 사람-2019.8.28.수요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354-430)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28 208
1701 성인이 됩시다 -열렬한 사랑은 성덕의 잣대-2019.8.27.화요일 성녀 모니카(332-38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27 223
1700 행복하여라 -보석寶石같은 사람들!-2019.8.26.연중 제2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8.26 129
1699 좁은 문 -구원과 멸망-2019.8.25.연중 제21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8.25 201
1698 늘 새로운 만남, 새로운 시작 -주님과 함께-2019.8.24. 토요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24 185
1697 보석 줍기 -하느님 사랑과 생명의 선물-2019.8.23.연중 제20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8.23 175
1696 야생화 달맞이꽃 영성 -구도자의 모범-2019.8.22.목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22 182
1695 참 좋은 함께의 여정 -겸손과 지혜, 감사와 기쁨, 자비와 자유-2019.8.21.수요일 성 비오 10세 교황(1835-191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21 193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