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8.10. 월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2코린9,6-10 요한12,24-26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


얼마전 일주간 피정을 마치고 떠난 형제의 고백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생전 이런 체험은 처음이라 합니다. 흡사 마치 가정집을 떠나는 서운한 느낌이라 했고 수도자들이 한 형제처럼 생각됐다 했습니다. 어렸을 때, 방학중 시골 삼촌집에 가서 사촌들과 정답게 지내다 떠나는 느낌이라 했습니다. 


언제 어디에 있어도 늘 그 자리에 있을 여기 수사님들을 생각하면 마음의 중심이 되어 평화로울 것이라 했습니다. 무엇보다 무더운 날씨에 수사님들이 각자의 제자리에서 늘 한결같이 일하는 모습이 감동이요 깨우침이라 했습니다. 10월 수확철에 한 번 피정와서 배밭일을 힘껏 돕겠다 했습니다.


수사님들의 평범하면서도 충실한 주님을 섬기는 삶자체에 감동하는 형제자매들입니다. 섬김의 삶이 아름답습니다. 우리의 직무가 있다면 섬김의 직무 하나뿐이요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로 정의되는 우리 수도원입니다. 비단 수도공동체만 아니라 믿는 이들의 공동체 모두가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입니다. 


평생 졸업이 없는 주님을 섬기기를 배워야 하는 평생학인들인 우리들입니다. 형제들을 섬김이 주님을 섬김이요 찾아오는 손님들을 환대함 역시 주님을 섬기는 일입니다. 궁극의 섬김의 대상은 주님이십니다. 하여 억지로가 아닌 자발적 기쁨으로 주님을 섬깁니다.


섬김의 삶의 원천은 하느님의 일인 공동전례기도입니다. 섬김의 삶에 중심이 되는 매일 끊임없이 함께 거행하는 미사와 시편성무일도시간입니다. 바로 직접적으로 주님을 섬기는 이 ‘하느님의 일’ 시간들이 하루의 삶에 중심과 질서를 잡아주고 공동체에 안정과 평화를, 섬김의 삶에 항구할 수 있는 힘을 줍니다. 하여 베네딕도 성인은 그 무엇도 하느님의 일인 공동전례기도에 앞세우지 말라 하십니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


비상한 적색 순교만 있는게 아니라 평범한 일상의 백색 순교도 있고 녹색순교도 있습니다. 섬김의 삶에 항구하고 충실함이 날마다 죽어 많은 열매를 맺는  파스카의 순교적 삶이요 영원한 생명의 삶입니다.


“누구든지 나를 섬기려면 나를 따라야 한다. 내가 있는 곳에 나를 섬기는 사람도 함께 있을 것이다. 누구든지 나를 섬기면 아버지께서도 그를 존중해 주실 것이다.”


섬김과 따름은 함께 갑니다. 막연히 주님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평범한 섬김의 삶이 바로 주님을 따름입니다. 주님은 ‘내가 있는 곳에 나를 섬기는 사람도 함께 있다’ 말씀 하셨습니다. 주님은 저 멀리가 아닌 섬기는 삶 바로 지금 이 자리에 우리와 함께 계시다니 참으로 위로와 힘이 되는 말씀입니다. 이렇게 주님을 섬길 때 아버지도 우리를 존중해 주십니다. 바로 주님을 섬기는 삶이 행복의 원천임을 깨닫습니다.


섬김은 따름이자 나눔입니다. 바오로의 사도의 말씀처럼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자발적으로 나눔으로 섬기는 이를 사랑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모든 은총을 넘치게 주십니다. 하여 우리는 언제나 모든 면에서 모든 것을 넉넉히 가져 온갖 선행을 넘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주님은 복된 라우렌시오 축일에 당신을 섬기며 드리는 이 거룩한 미사로 우리 모두 풍성한 구원의 열매를 맺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4 연민(compassion)의 사람-2015.10.30. 연중 제30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10.30 178
1713 연대의 힘-2015.8.29. 토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5.08.29 303
1712 역사는 현재現在다 -하느님은 조화調和이시다-2018.3.27. 성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7 134
1711 역사는 반복되는가 -날마다 주님 ‘파스카의 꽃’으로 삽시다-2023.12.28.목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프란치스코 2023.12.28 134
1710 여전如前한 삶 -영원한 현역現役, 영원한 학생學生-2016.5.15. 월요일 성 빠코미오 아빠스(287-34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5.15 107
1709 여여如如한 삶 -수행자의 삶-2017.9.23. 토요일 피에트첼치나의 성 비오 (1887-196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23 167
1708 여러분은 무슨 맛으로 살아 가십니까? -하느님 맛, 또는 돈 맛-2019.4.17.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17 121
1707 언제 어디서나 일하시는 하느님 -하늘 나라의 실현-2019.7.10. 연중 제1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10 158
1706 어제나 내일이 아닌 오늘! -오늘, 처음처럼, 마지막처럼, 평생처럼-2019.11.20.연중 제3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1.20 162
1705 어머니인 교회 -교회의 어머니 마리아-2024.5.20.월요일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0 110
1704 어머니를 그리며 -어머니 예찬-2019.8.15.목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15 221
1703 어린이처럼-2015.10.1. 목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축일 프란치스코 2015.10.01 740
1702 어린이와 같이 되라 <어린이들을 사랑하신 예수님>2024.5.25.토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2/673-73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5 113
1701 어린이를 사랑하라 -“우리는 누구나 ‘하느님의 어린이’입니다“-2022.8.13.연중 제13주간 프란치스코 2022.08.13 292
1700 어린이 예찬 -하늘 나라의 삶-2023.8.19.연중 제1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9 267
1699 어린이 같은 사람이 됩시다 -경외fear와 섬김serve- 여호24,14-29 마태19,13-15 1 프란치스코 2019.08.17 161
1698 어떻게 해야 영적전쟁에 승리할 수 있습니까? -비전, 비움, 탄력, 연대- 이사56,1.6-7 로마11,13-15.29-32 마태15,21-28 1 프란치스코 2017.08.20 145
1697 어떻게 해야 영생을 받을 수 있나? -사랑 실천이 답이다-2019.7.14.연중 제1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14 140
1696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695 어떻게 참으로 살 수 있을까요? -꿈, 찬양, 기억, 사랑-2022.9.10.토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22.09.10 219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