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8.12. 연중 제19주간 수요일                                                                                              신명34,1-12 마태18,15-20


                                                                                     소통의 대가大家


오늘은 ‘소통의 대가’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신명기의 주인공 모세가, 복음의 주인공 예수님이 바로 소통의 대가입니다. 요즘 널리 회자되고 있는 말마디가 소통입니다. 10년전만 해도 소통이란 말은 거의 쓰이지 않았습니다. 그처럼 오늘날이 불통의 시대라는 반증입니다. 디지털 문명의, 온갖 소통 매체가 범람하는 시대인데 역설적으로 불통의 시대입니다. 


소통에는 두 차원이 있다는 것이 제 지론입니다. 하느님과의 수직적 소통의 기도에 사람들간의 수평적 소통의 대화입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원리와 흡사합니다. 위로 하늘에 계신 하느님과의 수직적 차원의 소통에 아래로 땅에 있는 사람들간의 수평적 차원의 소통의 십자가 형상,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소통의 대가 예수님이십니다.


신명기의 모세, 정말 소통의 대가였습니다. 하느님과 끊임없이 기도로 소통하고 이스라엘 백성들과 역시 끊임없이 대화로 소통했던 모세였습니다. 사실 수평적 인간들의 소통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더 깊은 소통도, 신뢰의 관계도 불가능합니다. 새삼 하느님과의 소통인 기도와 형제들과의 소통은 함께 감을 깨닫습니다.


오늘 모세의 죽음으로 신명기는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구원 역사의 무대에서 모세는 퇴장하고 여호수아가 주역으로 등장합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도, 사람도 끊임없이 사라져 가지만 하느님만은 영원하십니다. 마지막 모세를 향한 주님의 말씀이 참 냉정합니다. 공과 사가 분명한 주님이십니다.


“저것이 내가 아브라함과 이사악과 야곱에게, ‘너의 후손에게 저 땅을 주겠다,’고 맹세한 땅이다. 이렇게 내 눈으로 저 땅을 바라보게는 해주지만, 네가 그곳으로 건너가지는 못한다.”


잔인할(?) 정도로 무정한 하느님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반면 얼마나 모세를 신뢰했는지 감지됩니다. 소통의 핵심은 신뢰입니다. 하느님과 모세간의 깊은 신뢰의 소통이 있었기에, 하느님의 심중을 너무나 잘 안 모세였기에 말씀에 순종이요 깨끗한 죽음입니다. 하느님은 물론 자타가 인정한 하느님과 모세의 소통의 신뢰 관계는 다음 대목에서 잘 드러납니다.


‘이스라엘에는 모세와 같은 예언자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는 주님께서 얼굴을 마주 보고 사귀시던 사람이다.’


과연 주님과 신뢰의 소통 관계는 날로 깊어지는 지요. 형제들과의 소통보다 더 중요한 것이 주님과의 소통입니다. 모세를 능가하여 주님과 깊은 소통의 신뢰관계에 있던 예수님이기에 다음과 같은 깨달음의 충고입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고, 너희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릴 것이다. 너희 가운데 두 사람이 땅에서 마음을 모아 무엇이든지 청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이루어 주실 것이다.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주님의 깨달음은 기도의 열매임이 분명합니다. 하늘의 하느님과 땅의 사람들은 기도로 하나로 연결됩니다. 주님과 소통인 기도의 힘이 땅에서 형제들과 맺힌 것을 풀게하고, 함께 마음을 모아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기도하게 합니다. 이처럼 주님과의 소통이 형제들간 소통의 원천이 됨을 봅니다. 진인사대천명이요 지성이면 감천입니다. 주님과 소통인 기도의 힘이 이처럼 땅에서 형제들간의 소통에 최선을 다하게 합니다.


하늘의 하느님을, 기도를 잊고 살면서 형제들과 소통을 잘 하기를 바라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절대로 피상적 소통의 관계일뿐 더 이상 깊은 신뢰의 소통은 불가능합니다. 하느님과 끊임없는 기도의 소통과 더불어 함께 가는 형제들과 깊어지는 신뢰의 소통입니다. 십자가의 원리는 그대로 소통의 원리입니다. 이런 소통의 원리에 충실할 때 비로소 소통의 완성입니다. 매일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당신과의 소통과 더불어 형제들간의 소통을 원활케 하심으로 우리 역시 점차 주님을 닮아 ‘소통의 대가’가 되게 하십니다.


“제 영혼에 생명을 주신 하느님은 찬미받으소서.”(시편66.9ㄱ).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09 역사는 현재現在다 -하느님은 조화調和이시다-2018.3.27. 성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7 134
1708 역사는 반복되는가 -날마다 주님 ‘파스카의 꽃’으로 삽시다-2023.12.28.목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프란치스코 2023.12.28 134
1707 여전如前한 삶 -영원한 현역現役, 영원한 학생學生-2016.5.15. 월요일 성 빠코미오 아빠스(287-34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5.15 107
1706 여여如如한 삶 -수행자의 삶-2017.9.23. 토요일 피에트첼치나의 성 비오 (1887-196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23 167
1705 여러분은 무슨 맛으로 살아 가십니까? -하느님 맛, 또는 돈 맛-2019.4.17.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17 121
1704 언제 어디서나 일하시는 하느님 -하늘 나라의 실현-2019.7.10. 연중 제1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10 158
1703 어제나 내일이 아닌 오늘! -오늘, 처음처럼, 마지막처럼, 평생처럼-2019.11.20.연중 제3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1.20 162
1702 어머니인 교회 -교회의 어머니 마리아-2024.5.20.월요일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0 109
1701 어머니를 그리며 -어머니 예찬-2019.8.15.목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15 221
1700 어린이처럼-2015.10.1. 목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축일 프란치스코 2015.10.01 740
1699 어린이와 같이 되라 <어린이들을 사랑하신 예수님>2024.5.25.토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2/673-73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5 113
1698 어린이를 사랑하라 -“우리는 누구나 ‘하느님의 어린이’입니다“-2022.8.13.연중 제13주간 프란치스코 2022.08.13 292
1697 어린이 예찬 -하늘 나라의 삶-2023.8.19.연중 제1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9 267
1696 어린이 같은 사람이 됩시다 -경외fear와 섬김serve- 여호24,14-29 마태19,13-15 1 프란치스코 2019.08.17 160
1695 어떻게 해야 영적전쟁에 승리할 수 있습니까? -비전, 비움, 탄력, 연대- 이사56,1.6-7 로마11,13-15.29-32 마태15,21-28 1 프란치스코 2017.08.20 145
1694 어떻게 해야 영생을 받을 수 있나? -사랑 실천이 답이다-2019.7.14.연중 제1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14 140
1693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692 어떻게 참으로 살 수 있을까요? -꿈, 찬양, 기억, 사랑-2022.9.10.토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22.09.10 219
1691 어떻게 죽어야 합니까? -마지막 유언-2017.4.14. 주님 수난 성금요일 <주님 수난 예식> 1 프란치스코 2017.04.14 175
1690 어떻게 죽어야 하나? -귀가준비-2018.10.2.연중 제2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2 140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