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8.19. 연중 제20주간 수요일                                                                                                          판관9,6-15 마태20,1-16


                                                                                         참 지도자의 모델

                                                                                        -착한 목자 예수님-


오늘은 참 지도자의 모델에 대한 묵상 나눔입니다. 물론 참 지도자의 모델은 복음의 ‘선한 포도밭 주인의 비유’에서 밭임자가 상징하는 예수님이십니다. 1독서의 판관기에 요탐의 우화의 가시나무가 상징하는 폭군 아비멜렉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룹니다. 지도자의 두 유형을 봅니다. 사람 중심의 착한목자같은 지도자가 있는가 하면 권력을 제멋대로 휘두르는 폭군같은 독재자도 있습니다. 여기에 하나를 첨가한다면 돈 중심의 사업가 CEO같은 지도자도 있고 이런 세일즈맨 지도자가 각광받는 시대이기도 합니다.


오늘의 각별한 체험도 평생 잊지 못할 것입니다. 새벽2-4:30까지 온갖 정성을 다해 썼던 강론이 노트북 활용의 미숙으로 단 몇초 만에 완전히 날렸습니다. 참 허망했습니다. 디지털현대문명의 기반이 얼마나 위태하고 취약한지, 흡사 사상누각 모래위의 문명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여 예전에 써놓았던 연중 20주간 수요일 B해 강론을 물색하다가 2009년8월19일 강론을 찾아냈습니다. 만 6년전인데 날짜도 말씀도 똑같았습니다. 마침 그날은 김대중 토마스 모아 전 대통령이 돌아간 다음날 이었기에 강론에는 비통한 심정이 담겨있었습니다. 이 6년전에 했던 강론을 수도원 미사때에 다시 나눴습니다. 이 사건을 통한 네가지의 깨달음입니다.


1.망하는 것은 순간이다. 2시간30분 작업했던 것이 몇 초만에 사라져 무가 되듯 예고 없는 순간의 실수나 죽음으로 모든 것이 무가 될 수 있다는 깨달음입니다.


2.역사는 반복된다. 인간 본질은 그대로 이기에 반복되는 역사이듯 6년전의 오늘 강론은 그대로 오늘에도 해당됨을 봅니다.


3.하늘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늘 계속되는 강론을 잘 살펴보면 결국은 같은 진리의 반복이요 새로운 것이 없다는 깨달음입니다.


4.그럼에도 불구하고 똑같은 날은, 똑같은 강론은 없다. 같음중에도 같지 않은 새로움이 있습니다. 바로 이래서 매일 강론을 새로이 써야 하는 이유입니다.


오늘 복음의 하늘 나라 비유에서 선한 포도원 주인은 그대로 착한 목자 하느님을, 예수님을 상징합니다. 9시에, 12시에, 오후3시에, 일이 끝나기 직전 오후5시에 온 이나 똑같이 약속한 대로 한 데나리온 일당을 지급합니다. 보편적  인간상식에 어긋난 이해할 수 없는 처사입니다. 맨먼저 온 이의 불평도 이해가 갑니다.


“맨 나중에 온 저자들은 한 시간만 일했는데도, 뙤약볕 아래에서 온종일 고생한 우리와 똑같이 대우하시는 군요.”


흡사 루가복음의 ‘되찾은 아들의 비유(루카15,11-32)’에서 아우가 돌아왔을 때 자비하신 아버지에 대한 큰형의 반응과 흡사합니다. 하느님으로 상징되는 선한 밭주인에겐 모두가 자비의 대상입니다. 일한 양에 상관없이 모두가 먹고 살아야 하는 당신의 소중한 자녀들입니다. 모두가 한 데나리온의 일당의 생활비가 필요로 하는 사람들입니다. 이게 바로 자비로우신 착한목자 하느님의, 예수님의 계산법입니다. 하느님의 무한한 은총을 합리적 상식의 잣대로 잰다는 것이 얼마나 어불성설, 어리석은 일인지 맨먼저 온이는 까맣게 몰랐습니다.


사람 중심의 착한목자 주님은 결코 돈 중심의 이윤추구가 목적인 사업가 CEO가 될 수 없습니다. 바로 오늘 하늘 나라의 비유를 말씀하신 예수님은 요즘 널리 회자되고 있는 기본소득제의 원조임을 봅니다. 나이나 직위, 노동량에 관계 없이 모든 개인들에게 최소한도의 생활비를 주는 것입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빈부의 격차와 병폐를 치유할 수 있는 유력한 대안으로 이미 곳곳에서 조금씩 실현되고 있는 '기본소득제'입니다. 이래야 가난한 이도, 병약한 이도, 돈없고 능력없는 이도 최소한 인간품위를 유지하며 살 수 있습니다.


어제 카톡을 통해 많은 이들과 나눈 시화詩話에 감사합니다. 산책중 노란 수세미꽃을 발견하고 쓴시에 어느 수녀님(허엘리야)이 시화를 만들어 줬습니다. 


-내 산책시간은/보석같은 시詩들을 줍는 시간

 “나도 여기 있어요!”/소스라쳐 놀라 돌아보니

 노란 수세미꽃 /환히 웃고 있었다.

 “나 여기 있다!”/웃으며 바라보시는 주님같다.


시에 대한 형제자매들의 반응도 놀랍고 고무적이었습니다. 시를 묵상하면서 복음의 선한 밭주인이 상징하는 착한목자 주님의 마음을 순간 깨달았습니다. 선한 밭주인에겐 9시, 12시, 오후3시, 오후5시에 발견된 실업자들 모두가 ‘나도 여기있어요!’ 하고 도움을 청하는 간절한 눈빛들이었을 것이고, 선한 밭주인은 두말 없이 고용하여 똑같은 일당을 제공했습니다. 


착한목자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나 여기 있다!’ 웃으며 말씀하시며 우리모두에게 생명의 빵과 더불어 필요한 은총을 내려주십니다. 어렵고 힘들 때 ‘나 여기 있다!’ 웃으며 말씀하시는 주님을 발견하시기 바랍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4 무엇이 하느님의 뜻인가?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삶-2018.5.5. 부활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5.05 175
813 무엇이 참으로 사는 것인가? -영원한 생명-2018.5.28. 연중 제8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5.28 123
812 무엇이 본질적인 삶인가? -하느님 중심의 삶-2018.8.25. 연중 제20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8.08.25 102
811 무아無我의 삶-자유인自由人의 삶-2016.10.29. 연중 제30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9 98
810 무슨 맛으로 삽니까? -영적 삶이냐 육적 삶이냐?-2016.10.15. 토요일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515-158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0.15 125
809 무슨 맛으로 사는가?-행복은 선택이자 선물이다-2015.10.10. 연중 제2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10.10 286
808 목마른 사람들 -주님과의 만남이 답이다-2020.3.15. 사순 제3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3.15 124
807 모든 사람을 공경恭敬하라 -주님의 종- 2020.4.6.성주간 월요일 ​​​​​​​ 프란치스코 2020.04.06 162
806 모든 덕행들의 어머니 -분별력의 지혜-2020.4.24.부활 제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24 113
805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파거불행(破車不行), 노인불수(老人不修)- 오늘 지금 여기를 살라2023.11.28.연중 제3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8 169
804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다 -주님과 만남의 때-2019.7.17.연중 제1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17 219
803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다 -늘 오늘 지금 여기서 따뜻한 “봄의 사람”이 되어 삽시다-2023.12.23.토요일 12월23일 프란치스코 2023.12.23 145
802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삶을, 자연을 ‘렉시오 디비나(성독聖讀)’하기-2022.9.23.금요일 피에트니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23 326
801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때를 아는 지혜, 때를 기다리는 믿음, 때를 발아들이는 겸손-2016.9.23. 금요일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9.23 421
800 모두가 하느님의 은총이다 -늘 하느님 찬미와 감사의 성령충만한 삶-2023.7.14.연중 제1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7.14 342
799 모두가 하느님의 수중에 있다 -기도하라, 감사하라, 최선을 다하라-2018.3.24. 사순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4 192
798 모두가 하느님 손안에 있다 -의연毅然히, 묵묵히默默히, 충실充實히, 항구恒久히-2018.8.2. 연중 제17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2 157
797 모두가 하느님 사랑의 섭리다 -우연은 없다-2019.12.23. 대림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2.23 174
796 모두가 섭리攝理다-2015.12.17. 대림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12.17 238
795 모두가 다 성자聖者다 -오그라든 마음과 몸을 활짝 펴라-2018.1.17. 수요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251-35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1.17 148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