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0.13. 연중 제28주간 화요일                                                                                     로마1,16-25 루카11,37-41


                                                                            품위있는 멋진 삶

                                                                               -꿈과 현실-


광야와 같은 침묵과 고독의 뉴튼수도원에서 수도형제들이 성당에서 함께 기도하고, 식당에서 함께 먹고, 일터에서 함께 일할 때 진정 살아 있음을 실감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하느님 보시기에 바른 생각, 바른 마음, 바른 자세, 바른 행동으로 살아갈 때 멋지고 품위있는 삶임을 깨닫습니다.


인생을 일장춘몽一場春夢으로 비유하기도 합니다. 이룰수 없는 꿈을 백일몽白日夢이라 합니다. 꿈이 상징하는 바 참 깊고도 중요합니다. 가끔 생각은 나지 않지만 악몽惡夢같은 복잡하고 혼란한 꿈에 시달릴 때는 그대로 현실같아 꿈에서 깨어나면 현실이 아님에 안도할 때도 있습니다. 이런 꿈 중에는 의도적으로 꿈을 깨어 눈을 뜹니다. 때로 꿈 중에 강론을 다 써놓고 좋아하다 꿈에서 깨어나 실망한 적도 있습니다


“야, 꿈깨라.”

간혹 농담처럼 던지는 이야기지만 아주 상징하는바 깊습니다. 평생을 살아도 자기를 몰라 지금 여기의 현실을 살지 못하고 꿈속에서, 환상 속에서, 착각 속에서 살 수 있습니다. 아니 많은 이들이 평생 이렇게 살다가 제대로 참 나를 살지 못하고 죽기도 합니다.


‘깨닫다’ ‘깨어나다’ 모두 거짓 꿈에서 깨어나 오늘 지금 여기 현실을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느님 안에서 깨어 일어나 오늘 지금 여기 현실을 사는 것이 바로 깨어 있는 삶입니다. 아, 진정 깨어 있는, 살아 있는 삶을 살아가는 이들은 몇이나 될까요?


자기를 더럽히는 것은 바로 자기입니다. 누구도, 무엇도 나를 더럽힐 수 없습니다. 바로 미몽迷夢속에 살아가는 어리석음에 자기 탓 아닌 남탓을 합니다. 반대의 경우도 그대로 성립합니다. 자기를 품위를 높이는 것은 바로 자기입니다. 누구도 무엇도 자신의 품위를 높여주지 못합니다. 스스로 깨어 자신을 지키며 자존감 높은 삶을 사는 사람이 멋지고 품위있는 사람입니다.


하느님을 만나는 자리는 과거도 미래도 아닌 바로 '오늘 지금 여기'이며, 하느님이 보시는 것도 바로 오늘 지금 여기의 '나'입니다. 외적 성공이나 실패는 문제가 안됩니다. 중요한 것은 무슨 기회든 겸손의 기회로, 내적성장과 성숙의 기회로 삼는 것입니다. 이런 이들이 진정 주님 안에서 현실을 살아가는 현자賢者요 겸자謙者입니다. 말 그대로 멋지고 품위있는 사람들입니다. 


바로 복음의 예수님이, 로마서의 바오로 사도가 여기에 속하는 분들입니다. 성인들 역시 참으로 깨어 산 분들입니다. 산 햇수가 문제가 아니라 주님 안에서 깨어 참으로 살아가는 멋지고 품위있는 삶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하느님을 떠나 선 참된 삶은 불가능합니다. 비현실적 꿈속에 살다가 인생을 마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복음의 바리사이가 그러합니다. 


“정녕 너희 바리사이들은 잔과 접시의 겉은 깨끗이 하지만, 너희의 속은 탐욕과 사악으로 가득하다. 어리석은 자들아, 겉을 만드신 분께서 속도 만들지 않으셨느냐? 속에 담긴 것으로 자선을 베풀어라. 그러면 모든 것이 깨끗해질 것이다.”


바리사이가 상징하는바 꿈속에 살아가는 표리부동, 내적분열의 우리 보편적 사람들입니다. 참으로 자유롭지 못한 사람들입니다. 주님 안에서 깨어 있는 이들은 마음 속이 깨끗한 이들입니다. 속에 있는 것을 사랑으로 나눌 때 저절로 겉도 깨끗해지기 마련입니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을 하느님을 볼 것이다.”


이런 이들이 참으로 하느님 안에서 깨어있는 멋지고 품위 있는 사람들입니다. 깨어 있을 때 깨끗한 마음이요 하느님을 봅니다. 오늘 로마서의 ‘불의로 진리를 억누르는 사람들’이 바로 어리석은 꿈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에 대한 바오로의 묘사에 공감합니다.


“그들은 지혜롭다고 자처하지만 바보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하느님의 진리를 거짓으로 바꾸어 버리고, 창조주 대신에 피조물을 받들어 섬겼습니다.”


하느님을 떠난 이들, 십중팔구 깨어 있다 하나 잠들어 있는 이들이요, 지혜롭다하나 어리석은 바보들이요, 하느님의 진리를 믿는다 하나 세상의 거짓을 믿는 자들이요, 하느님을 섬긴다 하나 피조물을 섬기는 우상 숭배자들입니다. 사실 이들은 하느님을 알면서도 그분을 하느님으로 찬양하거나 그분께 감사를 드리기는커녕, 오히려 생각이 허망하게 되고 우둔한 마음이 어두워진 자들입니다.


“창조주께서는 영원히 찬미 받으실 분이십니다. 아멘.”


우리 모두 헛된 꿈에서 깨어나 지금 여기서 하느님의 현실을 살 수 있게 하는 것은 끊임없는 찬미의 감사의 기도 수행뿐입니다. 항구한 하느님 찬미와 감사의 기도와 삶이, 우리 모두 꿈에서 깨어나 주님 안에서 오늘 지금 여기의 현실을, 또 멋지고 품위있는 삶을 살게 합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34 대림의 희망과 기쁨 -깨어 있어라, 회개하라, 감사하라-2023.12.3.대림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23.12.03 162
1833 복되신 동정 마리아 성모님 예찬 -지혜, 찬미, 순종-2023.12.8.금요일 한국 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창세3,9-15.20 에페1,3-6.11-12 루카1,26-38 프란치스코 2023.12.08 162
1832 동정 성모 마리아의 사랑의 성덕(聖德) -침묵, 경청, 순종-2023.12.20. 수요일 12월20일 프란치스코 2023.12.20 162
1831 평생 공부-2015.5.13. 부활 제6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5.13 163
1830 자유의 여정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2017.4.5. 사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5 163
1829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나를 따라라-2017.6.2. 부활 제7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6.02 163
1828 삶은 하느님 은총의 선물이다 -탐욕의 원인과 대책-2017.10.23. 연중 제29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23 163
1827 순수한 마음 -“주님, 순수의 길로 저를 이끌어 주소서.”-2017.11.13. 연중 제3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13 163
1826 기도가 우선이다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2018.6.25. 월요일 남북통일 기원미사(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1 프란치스코 2018.06.25 163
1825 하늘 나라의 삶 -사랑, 회개, 순수, 동심童心의 회복-2018.8.18. 연중 제19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18 163
1824 축제祝祭인생이냐 또는 고해苦海인생이냐? -삶은 축제祝祭이다-2018.8.23. 연중 제2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8.08.23 163
1823 영적 인식 지평의 확장 -앞문은 세상의 사람들에게, 뒷문은 사막의 하느님께-2018.9.5. 연중 제2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9.05 163
1822 감사하라, 죄도, 약함도 은총이다 -빛과 어둠-2018.1.27. 연중 제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27 163
1821 하느님의 기쁨 -하느님을 닮아 하느님의 자녀답게 살자-2018.3.3. 사순 제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03 163
1820 하느님 체험 -지금이 바로 그때다-2018.3.14. 사순 제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8.03.14 163
1819 놀라움과 신앙 -거룩한 공동체 전례의 고마움-2019.8.2.연중 제1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8.02 163
1818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하는가? -구원의 길-2020.8.7.연중 제18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8.07 163
1817 환대의 사랑 -정주, 환대, 경청, 우정, 치유-2022.2.10.성녀 스콜라 스티카 동정(480-547) 축일 프란치스코 2022.02.10 163
1816 주님 부활 증인의 삶 -체험, 선포, 공부-2022.4.18.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8 163
1815 민족 공동체의 화해와 일치를 위하여 -기도, 회개, 용서-2022.6.25.토요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남북통일 기원미사) 프란치스코 2022.06.25 163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