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0.15. 목요일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515-1582) 기념일

                                                                                                                                            로마3,21-30ㄱ 루카11,47-54


                                                                                       회개와 믿음


가톨릭교회의 보물중의 보물이 성인들입니다. 하느님께서 선물하신 '회개의 표지'요 '희망의 표지'일뿐 아니라 '삶의 이정표'도 됩니다. ‘아, 이렇게도 살 수 있구나, 이렇게 산 분도 있구나, 이렇게 살아야 하겠구나’하는 생각도 지니게 됩니다. 영롱하게 반짝이는 별들이 없는 하늘은 얼마나 쓸쓸하겠는지요. 성인들은 교회 하늘에 반짝이는 별들입니다. 성인들을 지닌 교회는 참 부자 교회입니다.


‘하느님 그대의 자랑이듯이, 그대 하느님의 자랑이어라.’

역시 '하느님의 자랑'인 성인들에게 딱 드러맞는 말마디입니다. 오늘 기념하는 예수의 성녀 데레사는 최초로 선포된 여성 교회학자입니다. 성인들의 생애를 기념할 때 마다 늘 제 나이와 비교해 보면서 각오를 새로이 합니다. 


예수의 성녀 데레사의 산 햇수는 정확히 67년 제 나이와 비슷합니다. ‘얼마나’의 햇수의 양이 아닌 ‘어떻게’ 살았느냐의 삶의 질이 성인을 결정합니다. 교회에서 성인으로 선포되지는 않았지만 성인다운 삶을 살았던 이들은, 또 지금 성인다운 삶을 살아가는 이들은 얼마나 많겠는지요. 하느님의 위로와 격려를 전하는 하느님의 성인들입니다.


끊임없는 회개로 깊은 믿음과 사랑을 지녔던 이들이 성인입니다. 예수의 데레사하면 떠오르는 성녀의 ‘아무것도 너를’이라는 성녀의 마음을 잘 요약하는 고백같은 시입니다. 많은 이들의 사랑과 공감을 받는 기도이자 시이자 노래입니다.


-아무것도/너를 슬프게 하지 말며 

아무것도/너를 혼란케 하지 말지니 

모든 것은 다 지나가는 것/모든 것은 다 지나가는 것

오 하느님은 불변하시니 

인내함으로 다 이기느니라 

하느님을 소유한 사람은/모든 것을 소유한 것이니 

하느님만으로 만족하도다-


성녀의 시 역시 우리의 회개를 촉구합니다. 기도의 계절 가을에 잘 어울리는 시입니다. 이제 가을 10월 묵주기도성월, 수확철이 끝나 나뭇잎들 다 지면 나뭇가지들 본질만 남는 11월 위령성월입니다. 아무도 세월의 강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모든 것은 다 지나갑니다. 모든 것은 다 때가 있습니다. 하느님만이 영원하십니다. 이런 깨달음이 우리를 회개에로 이끌어 환상에서 벗어나 본질적인 삶을, 기본에 충실한 삶을 살게 합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은 바리사이와 율법학자들뿐 아니라 우리 모두의 회개를 촉구합니다. 


“불행하여라! 바로 너희 조상들이 죽인 예언자들의 무덤을 너희가 만들기 때문이다.”

“불행하여라, 너희 율법 교사들아! 너희가 지식의 열쇠를 치워 버리고서, 너희 자신들도 들어가지 않고 또 들어가려는 이들도 막았기 때문이다.”


여전히 반복되는 순교와 박해의 역사입니다. 예수님시대 이후 얼마나 많은 이들이 알게 모르게 박해를 받았고 순교의 피를 흘렸는지요. 다음 주님의 한 말씀이 결정적으로 우리의 회개를 촉구합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이 세대가 그 책임을 져야 한다.”


책임을 지는 최고의 방법이 회개입니다. 악순환의 고리를 회개로, 단 끊어 버리는 것입니다. 더 이상 무지와 위선적 삶에서 벗어나 하느님만 찾는 본질적 삶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순교자들을 공경만할 것이 아니라 더 이상 무죄한 이들을 박해하지 말고 무죄한 이들의 피를 흘리지 말아야 합니다. 특히 교회지도자들이 명심해야할 오늘 복음입니다.


지식의 열쇠로 지식의 문을 열어 하느님의 지식, 생명의 지식을 공유해야 합니다. 분열分裂만 죄가 아니라 나누지 않고 혼자 갖는 독점獨占도 죄입니다. 마음만으로의 회개가 아니라 실천으로 입증되는 회개여야 합니다. 오늘 복음의 주제가 회개라면 제1독서의 주제는 믿음입니다. 회개와 믿음은 함께 갑니다. 회개의 수행과 더불어 깊어지는 믿음입니다. 우리 삶의 여정은 하느님을 향한 끊임없는 '회개의 여정'이자 '믿음의 여정'입니다.


“그러니 자랑할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전혀 없습니다. 무슨 법으로 그리되었습니까? 행위의 법입니까? 아닙니다. 믿음의 법입니다. 사실 사람은 율법에 따른 행위와 상관없이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고 믿습니다.”


새삼 회개와 믿음이 얼마나 깊은 관계에 있는지 깨닫습니다. 바오로의 이런 깨달음은 철저히 회개의 은총에 기인합니다. 우리가 잘 나서, 선행을 많이 해서가 아닌 우리의 믿음으로 의롭게 되는 구원이라는 것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오는 하느님의 의로움은, 구원은 믿는 모든 이를 위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아무 차별도 없습니다. 


탓할 것은 우리 믿음 부족이요 청할 것은 단 하나 믿음의 은총입니다. 모든 것이 은총입니다. 회개도 은총이요 믿음도 은총입니다. 이런 깨달음이 우리를 감사와 겸손에로 이끌고 끊임없이 기도하게 합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회개한 우리 모두의 부족한 믿음을 도와 주십니다. 


“주님의 자애를 영원히 노래하오리다. 제 입은 당신의 진실을 대대로 전하오리다.”(시편89,2).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7 영원한 생명 -“가서 너도 그렇게 하여라.”-2018.10.8.연중 제27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8 168
1376 최고의 수행, 최고의 예술 -함께 사는 일-2018.10.7.연중 제27주일 1 프란치스코 2018.10.07 191
1375 해피 엔딩 happy ending -모든 것은 하느님 손안에 있다-2018.10.6.토요일 성 브루노 사제 은수자(1030-110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0.06 149
1374 하느님의 살아있는 이콘God’s Living Icon -회개가 답이다-2018.10.5. 연중 제2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5 180
1373 비움과 실천의 여정 -성인이 되는 길-2018.10.4. 목요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1-122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0.04 205
1372 삶의 중심 -하느님, 하느님의 나라, 예수님-2018.10.3. 연중 제26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3 113
1371 어떻게 죽어야 하나? -귀가준비-2018.10.2.연중 제2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2 140
1370 주님의 이름은 찬미받으소서 -찬미가 답이다-2018.10.1.월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0.01 227
1369 말씀의 힘 -끊임없는 회개-2018.9.30. 연중 제26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9.30 145
1368 천사같은 삶 -찬미, 봉사, 공부-2018.9.29. 토요일 성 미카엘, 성 가브리엘, 성 라파엘 대천사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9.29 269
1367 허무에 대한 답은 파스카의 주님뿐이시다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2018.9.28. 연중 제2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9.28 107
1366 삶은 허무虛無이자 충만充滿이다 -텅빈 충만의 행복-2018.9.27.목요일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1581-166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9.27 125
1365 참 자유롭고 부요한, 품위있고 행복한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18.9.26. 연중 제2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8.09.27 114
1364 수행자의 참행복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실행하는 일-2018.9.25. 연중 제2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09.27 105
1363 지혜롭고 아름다운 삶 -찬양, 죽음, 탐욕-2018.9.24.월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18.09.27 110
1362 참 아름답고 행복한 삶 -회개, 지혜, 환대-2018.9.23. 연중 제25주일 프란치스코 2018.09.27 98
1361 참다운 삶 -신망애信望愛, 진선미眞善美의 삶-2018.9.22.연중 제2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8.09.27 96
1360 “나를 따라라.” -‘부르심과 응답’으로 이뤄진 믿음의 여정-2018.9.21.금요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18.09.27 106
1359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순교적 삶-2018.9.20. 목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1822-1846)와 성 정하상 바오로(1795-1839)와 동료 순교자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8.09.27 127
1358 사랑뿐이 길이 없다 -사랑 예찬-2018.9.19. 연중 제2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8.09.27 108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