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4. 수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로마13,8-10 루카14,25-33


                                                                  주님의 제자가 되려면

                                                                                                  -구원의 길-


사랑과 자유는 함께 갑니다. 사랑할 때 자유롭고 자유로울 때 사랑할 수 있습니다. 자유롭게 하는 사랑이 참 사랑입니다. 사랑과 자유의 원천은 하느님입니다. 사랑하여 자유로울수록 하느님을 닮아갑니다.


제자직의 우선적 출발점은 주님께 대한 사랑입니다. 사랑할 때 저절로 버리고 비우는 삶이 뒤따릅니다. 오늘 복음의 제자직에 대한 요구가 철저하고 비타협적이라 충격입니다. 


첫째, 주님의 제자는 모두에 앞서 주님을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주님께 대한 열렬하고도 항구한 우선적 사랑이 성소의 잣대입니다. 그래야 모든 사람에 대한, 심지어는 자신에 대한 집착을 버릴수 있습니다. 주님도 자기 아버지와 어머니, 아내와 자녀, 심지어 자기 목숨까지 미워해야 당신의 제자가 될 수 있다고 하십니다. 


실제 그대로 미워하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주님보다 누구도 더 사랑해선 안 된다는 것입니다. 주님을 참으로 사랑할 때 저절로 모든 사람에 대한 무집착의 사랑입니다. 역설적으로 주님을 사랑할 때 이웃에 대한 순수한 사랑, 아가페의 사랑도 가능합니다. 바로 1독서 로마서가 말하는 이웃 사랑도 이런 주님 사랑의 열매입니다. 주님 사랑의 진정성은 이웃 사랑을 통해 검증됩니다.


“아무에게도 빚을지지 마십시오. 그러나 서로 사랑하는 것은 예외입니다. 남을 사랑하는 사람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이런 이웃에 대한 순수한 아가페의 사랑은 순전히 주님 사랑의 열매입니다. 저절로 간음, 살인, 도둑질, 탐욕은 근절되기 마련입니다. 사랑은 절대 이웃에게 악을 저지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이런 사랑을 실천하는 이가 주님의 제자이며, 그 무엇도 주님께 대한 사랑보다 앞세우지 않을 때 이런 순수한 이웃 사랑도 가능합니다.


분도 성인의 그 무엇도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보다 앞세우지 말라는 말씀과 일맥상통합니다. 참으로 주님을 사랑할 때 사람은 물론 자기 자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갈림없는 마음으로 주님을 사랑하여 따를 수 있습니다. 


둘째, 주님의 제자는 제 십자가를 짊어지고 주님의 뒤를 따르는 사람입니다.

누구의 십자가도 아닌 제 십자가입니다. 운명의 십자가, 제 책임의 십자가입니다. 누구와 비교할 수도 없는 제 고유의 십자가를 자발적 기쁨으로 지고 주님을 따르는 것입니다. 이 '십자가의 길' 말고는 참 사람의 내가 되는 구원의 길은 없습니다. 주님을 사랑하여 끊임없이 자기를 버리고 비워갈수록 주님은 제 십자가를 지고 당신을 따를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저는 산티야고 2000리길 배낭을 메고 순례하면서 제 십자가를 짊어지고 주님을 따른다는 것이 무엇인지 실감나게 깨닫기도 했습니다. 최소한의 필수품과 매일미사를 위한 미사도구를 배낭에 넣어 등에 지고 걸을 때는 흡사 십자가의 주님을 등에 업고 걷는 듯 샘솟는 힘도 느꼈습니다. 


셋째, 주님의 제자는 자기 소유를 다 버리고 주님을 따르는 사람입니다.

철저히 무소유와 무집착의 정신으로 살라는 말씀입니다. 사람의 포기에 이은 물질의 포기입니다. 사람에 대한 집착에서, 물질의 소유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야 비로소 자유로운 사랑의 투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에 대한 집착, 물질에 대한 집착은 모두가 본능적 근원적 욕구들이기에 주님의 제자가 되는 길은 결코 값싼 낭만이 아니라, 끊임없는 도전이요 희생과 아픔이 따르는 일임을 깨닫게 됩니다. 


‘누구든지’라는 말마디에서 보다시피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자유로운 제자직으로, 주님의 제자가 되려는 이는 누구든지 실행해야 할 조건입니다. 주님을 따르는 제자로서 자주 우리의 삶을 점검해 봐야 할 세가지 필수 사항입니다.


1.모두에 앞서 주님을 사랑하십니까?

2.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릅니까?

3.안팎으로 부단히 비우고 버리면서 무소유의 정신으로 살고 있습니까?


이 모든 해결의 지름길은 주님께 대한 항구하고도 열렬한 사랑에 있습니다. 좋으신 주님은 매일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당신께 대한 샘솟는 사랑의 힘으로 제 십자가를 잘 지고 당신을 따르게 해 주시며 날로 당신과의 우정을 깊게 해주십니다. 


“올곧은 이들에게는 어둠 속에서 빛이 솟으리라. 그 빛은 너그럽고 자비로우며 의롭다네. 잘 되리라, 후하게 꾸어 주고, 자기 일을 바르게 처리하는 이!”(시편112,4-5).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74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자기 버리기, 제 십자가 지기, 예수님 따르기-2017.9.3. 연중 제22주일 2 프란치스코 2017.09.03 139
1773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2015.11.15. 연중 제33주일(평신도 주일) 프란치스코 2015.11.15 220
1772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하는가? -구원의 길-2020.8.7.연중 제18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8.07 163
1771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하는가? -순교적 신망애信望愛의 삶-2021.9.20.월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1821-1846)와 성 정하상 바오로(1795-1839)와 동료순교자들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9.20 176
1770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구원의 길-2017.8.11. 금요일 성녀 클라라 동정(1194-1253)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7.08.11 141
1769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순교적 삶-2016.9.20. 화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09.20 312
1768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2016.8.5. 연중 제1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8.05 422
1767 어떻게 예수님의 친구가 되어 살 수 있는가? -그의 삶은 메시지였다-2017.5.19. 부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5.19 115
1766 어떻게 잘 사랑할 수 있을까요? -정주, 공부, 실천-2021.5.9.부활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5.09 122
1765 어떻게 좋은 땅의 사람이 될 수 있는가? -항구한 수행의 노력-2017.7.28. 연중 제16주간 금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7.28 147
1764 어떻게 주님을 맞이할 것인가? -누가 아름다운 사람인가?-2015.12.20. 대림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5.12.20 378
1763 어떻게 주님의 길을 잘 닦을 것인가? -회개, 위로, 기쁨-2017.12.10. 대림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0 172
1762 어떻게 죽어야 하나? -귀가준비-2018.10.2.연중 제2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2 140
1761 어떻게 죽어야 합니까? -마지막 유언-2017.4.14. 주님 수난 성금요일 <주님 수난 예식> 1 프란치스코 2017.04.14 175
1760 어떻게 참으로 살 수 있을까요? -꿈, 찬양, 기억, 사랑-2022.9.10.토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22.09.10 219
1759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758 어떻게 해야 영생을 받을 수 있나? -사랑 실천이 답이다-2019.7.14.연중 제1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14 140
1757 어떻게 해야 영적전쟁에 승리할 수 있습니까? -비전, 비움, 탄력, 연대- 이사56,1.6-7 로마11,13-15.29-32 마태15,21-28 1 프란치스코 2017.08.20 145
1756 어린이 같은 사람이 됩시다 -경외fear와 섬김serve- 여호24,14-29 마태19,13-15 1 프란치스코 2019.08.17 161
1755 어린이 예찬 -하늘 나라의 삶-2023.8.19.연중 제1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9 267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