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1.5. 연중 제31주간 목요일                                                                      로마14,7-12 루카15,1-10


                                                             하느님의 기쁨에 동참하는 삶


예언자들은 물론 예수님은 하느님의 마음에 정통했던 분입니다. 오늘 복음 말씀은 루카 복음 전체의 중심이 됩니다. 되찾은 양의 비유, 되찾은 은전의 비유, 되찾은 아들의 비유중 오늘 복음은 앞의 두부분만 다룹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의 비유를 통해 하느님의 마음을 만납니다.


“나와 함께 기뻐해주십시오. 잃었던 양을 찾았습니다.”


잃었던 한 마리 양을 찾고 기뻐 외치는 어떤 사람에게서 예수님의 마음, 예수님의 사랑, 예수님의 기쁨을 만납니다. 이런 예수님의 마음, 예수님의 사랑, 예수님의 기쁨을 통해서 그대로 드러나는 하느님 마음, 하느님의 사랑, 하느님의 기쁨입니다.


“나와 함께 기뻐해 주십시오. 잃었던 은전을 찾았습니다.”


역시 잃었던 은전을 되찾고 환희에 가득 차 외치는 어떤 부인에게서도 예수님의 기쁨, 하느님의 기쁨을 만납니다. 앞의 비유의 주인공이 남자였다면 뒤의 비유에서 주인공은 여자입니다. 남녀 모두의 마음 깊이에는 하느님의 마음이, 사랑이 있음을 깨닫습니다. 


어머니에겐 모두가 소중한 자식이듯이, 하느님 역시 모두가 소중한 당신의 자녀들입니다. 잃지 않은 양 99보다 잃은 양, 하나에 마음을 쓰시는 하느님의 마음입니다. 아마 아이를 잃었다가 찾았을 때의 기쁨을 체험한 부모들이라면 하느님의 마음을 더 깊이 헤아릴 것입니다. 


누구나 나름대로 잃었던 사람을 찾았을 때, 잃었던 물건을 찾았을 때의 그 기쁨의 추억을 나름대로 지니고 있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죄인들과 어울려 식사하는 자신을 비방하는 바리사이와 율사들에게, 비유를 통해 잃었던 양을 찾았을 때의 당신 기쁨에 동참할 것을 호소하십니다. 


이런 주님의 기쁨에 동참할 때 주님의 기쁨은 우리의 기쁨이 되고 이런 기쁨만이 영원합니다. 이어 결론과도 같은 예수님의 확신에 넘친 말씀입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이와 같이 하늘에서는 회개할 필요가 없는 의인 아흔 아홉보다 회개하는 죄인 한 사람 때문에 더 기뻐할 것이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이와 같이 회개하는 죄인 한 사람 때문에 하느님의 천사들이 기뻐한다.”


결국 회개가 초점입니다. 잃었던 한 마리 양은 우리 모두의 가능성입니다. 냉담으로 하느님을 떠나 하느님을 잊고 떠도는 잃은 양들이 차고 넘치는 세상입니다. 주님은 이 시간에도 잃은 양들을 찾기에 동분서주할 것입니다. 


오늘 복음은 이런 주님의 마음을 헤아려 주님께 돌아오라 우리 모두의 회개를 촉구합니다. 주님과 함께 잃은 양을 찾아나서자는 주님의 호소입니다. 끊임없이 우리를 찾는 주님께 응답하여 우리도 끊임없는 회개로 주님을 찾아야 합니다. 하여 복음을 선포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새 영세자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냉담으로 교회를 떠난 길잃은 양들을 찾는 선교도 화급합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시간 주님을 만남으로 잃었던 나를 찾는 시간입니다. 날마다 회개하여 주님께 돌아와 미사에 참여함으로 주님의 기쁨에 동참하는 시간입니다. 하여 때때로 주님의 성체를 모실 때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분들을 목격하기도 합니다. 어제의 깨달음도 잊지 못합니다.


“어, 성체가 성체를 모시네. 아, 신자분들 하나하나가 성체구나!”


미사중 주님의 몸인 성체만이 아니라, 누구나 똑같이 주님의 성체를 모시니, 각자의 존재 자체가 주님의 살아있는 성체가 된다는 깨달음입니다. 바로 이것이 인간존엄성의 근거입니다. 누구나 성체성사를 통해 주님과 하나됨으로 하느님의 소중한 자녀가 되고 주님의 형제자매가 되고, 주님의 성체가 되었는데 누구를 판단하고 무시할 수 있겠습니까?


이런 깨달음이 이웃 형제자매들을 존중하고 사랑하게 하며, 형제들을 심판하거나 무시하거나 차별하는 마음을 없애 줍니다. 바오로 사도의 깨달음이 참 고맙습니다. 미사를 통한 우리의 깨달음과 동일합니다.


“우리는 살아도 주님을 위해서 살고 죽어도 주님을 위해서 죽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살든지 죽든지 주님의 것입니다. 그런데 그대는 왜 그대의 형제를 심판합니까? 그대는 왜 그대의 형제를 업신여깁니까? 우리는 모두 하느님의 심판대에 서게 될 것입니다.”


이 또한 회개하여 주님의 너그럽고 자비로운 마음을, 관대한 사랑을 회복하라는 말씀입니다. 살든지 죽든지 주님의 것이라는 믿음에서 샘솟는 사랑이요 평화요 기쁨입니다. 우리 모두 세상 한 복판에서 때로 잃은 양들로 살다가 주님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이 거룩한 미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주님께 청하는 오직 한 가지, 나 그것을 얻고자 하니, 내 한 평생, 주님의 집에 살며, 주님의 아름다움을 바라보고, 그분의 성전 우러러보는 것이라네.”(시편27,13-14).


바로 오늘 지금 여기 내 삶의 자리가 주님의 집이자 성전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97 분별의 잣대는 사랑 -사랑이 답이다-2018.7.20.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0 103
1296 삶은 선물인가 짐인가? -예수님이 답이다-2018.7.19. 연중 제15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9 110
1295 하늘나라의 발견 -참으로 행복한 사람들-2018.7.18. 연중 제1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8 86
1294 믿음의 여정 -기적과 회개, 그리고 믿음-2018.7.17. 연중 제1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7 116
1293 말씀의 칼 -‘거짓 평화’에서 ‘참 평화’로-2018.7.16. 연중 제15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6 97
1292 누가 참 아름답고 행복한 사람인가? -성소聖召에 충실한 사람-2018.7.15. 연중 제15주일 2 프란치스코 2018.07.15 96
1291 성화聖化의 여정 -거룩하신 주님과의 만남-2018.7.14. 연중 제1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4 93
1290 항구한 기다림의 인내가 답이다 -인내와 희망-2018.7.13. 연중 제1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8.07.13 121
1289 하늘 나라 -영원한 꿈의 현실화-2018.7.12. 연중 제1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2 123
1288 하느님의 사람 -성 베네딕도 아빠스 예찬-2018.7.11. 수요일 유럽의 수호자 사부 성 베네딕도 아빠스(480-547)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7.11 217
1287 주님의 전사, 수확의 일꾼 -하느님 중심의 삶-2018.7.10. 연중 제14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0 124
1286 영원한 반려자 -주님과 우정友情의 여정-2018.7.9. 연중 제1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9 93
1285 하느님 중심의 참 아름다운 삶 -강건, 유연, 초연-2018.7.8. 연중 제14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7.08 114
1284 오늘이 바로 그날이다 -늘 새로운 시작,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2018.7.7. 연중 제1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7 105
1283 가장 중요한 일 -중심 관리, 얼굴 관리-2018.7.6. 연중 제1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6 93
1282 자기인식(self-knowledge)의 전인적 치유와 구원 -중심, 균형, 조화, 소통-2018.7.5. 연중 제13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5 165
1281 지상에서 천국을 삽시다 -공정이 물처럼, 정의가 강물처럼-2018.7.4. 연중 제1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4 156
1280 주님의 교회 가정 공동체의 소중함과 고마움 -교회 가정 공동체 예찬-2018.7.3. 화요일 성 토마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7.03 196
1279 누가 예수님의 참 제자인가? -추종追從의 자세-2018.7.2. 연중 제1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2 114
1278 “어떻게 참으로 살 것인가?” -지키라!, 찾으라!, 나누라!-2018.7.1. 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2 프란치스코 2018.07.01 162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