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1.17. 화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 기념일

                                                                                                             마카베오상6,18-31 루카19,1-10


                                                                          열정과 환대


어제 복음에 이어 오늘 복음도 참 아름답고 복음적입니다. 어제 눈먼 걸인과 주님의 만남처럼 오늘 자캐오와 주님의 만남도 감동적입니다. 세관장이며 부자였고 키가 작은 자캐오 역시 어제의 눈먼 걸인처럼 소외된 삶을 살았음이 분명합니다. 재산은 많았지만 세관장의 신분상 동포들로부터 제대로 사람 대접 받지 못하고 무시당하며 살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어제의 눈먼 걸인처럼 주님을 만나고자 하는 열정은 놀랍습니다. 예수님께서 어떤 분이신지 보려고 애썼지만 키가 작아 군중에 가려 볼 수 없자 앞질러 달려가 돌무화나무에 오릅니다. 얼마나 간절한 열망인지요. 자캐오를 발견한 주님의 초대입니다. 자캐오를 환대하는 주님이십니다.


“자캐오야, 얼른 내려오너라. 오늘은 내가 네 집에 머물러야 하겠다.”


오늘 복음 역시 미사장면 같고, 우리는 자캐오 같습니다. 주님을 만나고 싶은 열정에 미사에 참석한 우리를 환대하시며 우리 안에 머물겠다는 말씀처럼 들립니다. 자캐오의 기쁨은 얼마나 컸겠는지요! 그대로 환대의 기쁨입니다. 환대의 기쁨도 잊지 못하지만 냉대의 아픔도 결코 잊지 못할 것입니다.


제가 재차 여기 인보성체수도원 피정지도를 왔을 때 수녀님들의 따뜻한 환대도 잊지 못합니다. 전통적으로 수도원의 주요 영성 중 하나가 환대의 영성입니다. 환대의 집인 수도원이요 환대의 사람인 수도자라 할 수 있습니다.


주님의 환대에 감격한 자캐오는 얼른 내려와 예수님을 기쁘게 환대합니다. 환대의 예수님, 환대의 자캐오입니다. 마치 이 거룩한 미사중 ‘우리를 환대하는 예수님’과 ‘예수님을 환대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상징하는 것 같습니다. 


환대의 사람이 진정 주님을 닮은 복음적인 사람입니다. 사람들은 모두 예수님이 죄인의 집에 들어가 묵는다고 투덜거렸지만 예수님은 전혀 개의치 않고 자캐오의 집에 머뭅니다. 


하여 자캐오는 예수님과 완전히 사랑의 일치를 이룹니다. 환대의 사랑, 구원의 기쁨에 감격한 자캐오의 회개의 고백입니다. 주님의 사랑을 만날 때 자연발생적 회개가 뒤따르기 마련입니다.


“보십시오. 주님! 제 재산의 반을 가난한 이들에게 주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다른 사람 것을 횡령하였다면 네 곱절로 갚겠습니다.”


주님의 사랑을 만날 때 이처럼 놀라운 회개의 내적변화입니다. 참 아름답고 순수한 자캐오의 영혼입니다. 그대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을 상징합니다. 예수님의 지체없는 구원선언은 자캐오는 물론 이 미사에 참석한 우리 모두를 대상으로 합니다.


“오늘 이 집에 구원이 내렸다. 이 사람도 아브라함의 자손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아들은 잃은 이들을 찾아 구원하러 왔다.”


우리 또한 믿음으로 아브라함의 자손이요,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을 환대하는 우리 모두에게 구원의 기쁨을 선사하십니다. 오늘 1독서 마카베오 하권의 주인공인 엘아자르의 순교가 감동적입니다. 


노인은 많은 데 어른은 없다는 오늘의 시대에 참 어른의 모델을 보여주는 엘아자르입니다. 마지막 순교를 앞둔 아흔 살 고령의 엘아자르의 고백은 얼마나 거룩하고 아름다운지요.


“그러므로 이제 나는 이 삶을 하직하여 늙은 나이에 맞갖은 내 자신을 보여 주려고 합니다. 또 나는 숭고하고 거룩한 법을 위하여 어떻게 기꺼이 그리고 고결하게 훌륭한 죽음을 맞이하는지 그 모범을 젊은이들에게 남기려고 합니다.”


죽음은 삶의 요약입니다. 죽음을 통해 그의 삶이 환히 드러납니다. 언젠가 갑자기 거룩하고 아름다운 죽음은 없습니다. 엘아자르의 평생 거룩하고 아름다운 삶이 죽음의 열매로 드러나는 순간입니다. 


제가 볼 때 이 또한 환대의 열매입니다. 평생 주님의 사랑의 환대를 받았고, 또 평생 주님을 사랑으로 환대한 엘아자르임이 분명합니다. 주님의 환대를 받고 주님을 환대할 때의 이 환대의 기쁨을, 환대의 행복을, 환대의 구원을, 환대의 사랑을 능가할 수 있는 것은 세상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를 환대해 주시고 당신을 환대하는 우리 모두에게 한량 없는 축복을 내려 주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4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2020.4.8.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08 142
1073 영원한 회개悔改와 희망希望, 구원救援의 표징 -파스카 예수님-2020.3.4.사순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04 142
1072 차별(差別)하지 마십시오 -둥글고(圓), 덕(德)스러운 삶-2020.2.20.연중 제6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20 142
1071 떠남의 여정 -‘꼰대’가 되지 맙시다-2020.2.6.목요일 성 바오로 미키(1564-1597)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2.06 142
1070 “나를 따라라” -참 나의 실현; 부르심과 응답-2020.1.18.연중 제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18 142
1069 파스카의 삶 -자유의 여정-2019.9.2.연중 제2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2 142
1068 참으로 잘 살고 싶습니까? -말씀, 경배, 순종, 고백, 전투-2019.3.10. 사순 제1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3.10 142
1067 권위있는 삶 -실행, 일치, 자유, 섬김-2018.1.28. 연중 제4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1.28 142
1066 배움의 여정 -주님과 나, 그리고 이웃을 알아가는-2018.8.9. 연중 제18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9 142
1065 가라지는 현실이다 -밀과 가라지의 공존-2018.7.28. 연중 제1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8 142
1064 악마의 덫에 걸리지 맙시다! -회개, 겸손, 지혜, 자비-2018.6.2. 연중 제8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02 142
1063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님이 답이다 -분별력의 은총-2017.10.27.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0.27 142
1062 삶과 기도 -끊임없는 기도-2017.7.26. 수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부모,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7.26 142
1061 하늘 나라의 삶을 삽시다 -오늘 지금 여기서-2017.7.23. 연중 제16주일 2 프란치스코 2017.07.23 142
1060 도반道伴 관계의 사랑-주님과의 연정戀情, 친구와의 우정友情-2016.12.21. 대림 제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12.21 142
1059 성전 정화淨化 -천상낙원의 실현-2016.11.9. 수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16.11.09 142
1058 “아, 여기가 천국이구나!” -구원의 좁은 문-2016.10.26. 연중 제3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6 142
1057 바라봐야 할 유일한 대상 -그리스도의 십자가-2016.9.14. 수요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 프란치스코 2016.09.14 142
1056 참행복 -주님과 우정의 사랑-2022.6.4.부활 제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6.04 141
1055 믿음의 여정 -실천으로 입증되는 믿음-2022.2.18.연중 제6주간 금요일 -제주도 성지 순례 여정 피정 5일차 프란치스코 2022.02.18 141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