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2.12. 대림 제2주간 토요일                                                           집회48,1-4.9-11 마태17,10-13


                                                                       인식認識은 비교다


새벽에 읽은 “사회적 진보에 왕도는 없다. 어떤 눈에는 시지프스의 노력처럼 보일지라도, 그저 묵묵히 차근차근 올라가는 수밖에 없다" 말마디에 공감했습니다. 사회적 진보 대신 ‘영적 진보’란 말을 넣어 ”영적 진보에 왕도는 없다. 어떤 눈에는 시지프스의 노력처럼 보일지라도, 그저 묵묵히 차근차근 올라가는 수밖에 없다.” 


영적 삶에 비약이나 도약, 요행은 없음을 일컫는 말입니다. 우보천리牛步千里, 우공이산愚公移山이란 말마디 역시 같은 맥락에 있습니다. 예수님은 물론 세례자 요한, 모든 성인들의 삶이 그러했습니다.


모든 것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오늘 독서의 엘리야와 복음의 예수님과 세례자 요한 역시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눈만 열리면 연결되어 있는 주변 모두가 배워야 할 스승입니다. 겸손해야 배웁니다. 


인식은 비교입니다. 무엇을 안다는 것은 자체가 독립적으로 아는 게 아니라 비교함으로 비로소 알게 됩니다. 혼자는 자기가 절대로 누군지 모릅니다. 네가 있어 내가 있고 네가 없으면 나도 없습니다. 나를 알 수 있게 해 준 이웃의 존재에 감사해야 합니다. 그러니 이웃 역시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하여 연결이 끊긴 고립단절이 자기상실의 지옥임을 깨닫습니다. 이래서 공동생활입니다. 관계 안에서 계시되는 나의 실상입니다. 얼마전 써놓은 ‘산’이란 글입니다.


-홀로/있어도

 넉넉하기는/산이다.

 주위/모두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이웃이다-


좌우사방 연결되어 있는 피조물의 이웃들로 말미암아 또렷이 드러나는 산山처럼 사람도 그러합니다. 오늘 1독서 집회서에 드러난 엘리야의 하느님과 신뢰의 관계가 놀랍습니다. 하느님과 깊은 신뢰 관계로 인해 엘리야의 진면목이 잘 드러납니다. 바로 다음 말씀에서 예수님이나 제자들은 세례자 요한을 엘리야의 귀환으로 믿어 용기백배했습니다. 


“당신은 정해진 때를 대비하여, 주님의 분노가 터지기 전에 그것을 진정시키고, 아버지의 마음을 자식에게 되돌리며, 야곱의 지파들을 재건하리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은 성경을 렉시오 디비나하면서 엘리야를 통해 세례자 요한을 읽었고, 세례자 요한을 통해 자신의 운명을 읽었습니다. 오늘 집회서의 마지막 구절은 제가 20여년전 지인에게 받고 고무됐던 구절로 공동번역이 더 실감납니다.


“당신을 본 사람들은 얼마나 행복하며, 당신과 사랑으로 맺어진 사람들은 얼마나 행복합니까? 우리 또한 생명을 얻을 것입니다.”(집회서48,11).


당신을 나로 착각하며 읽은 참 기분 좋은 구절이었습니다. 바로 오늘 집회서에서 소개되는 엘리야를 본 당대 사람들은 정말 행복했을 것이며 생명을 얻는 체험이었을 것입니다. 우리 또한 교회 전례와 성경을 통해 엘리야는 물론 무수한 하느님의 사람들인 성인들을 만나면서 이런 행복감과 사랑을 체험합니다. 다음 복음 말씀은 세례자 요한에 대한 예수님의 인식입니다.


“과연 엘리야가 와서 모든 것을 바로 잡을 것이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엘리야는 이미 왔지만, 사람들은 그를 알아보지 못하고 제멋대로 다루었다. 그처럼 사람의 아들도 그들에게 고난을 받을 것이다.”


우리 또한 우리 가운데 계신 주님을, 엘리야를 알아보지 못하고 제멋대로 다루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인식은 비교입니다. 엘리야와 세례자 요한, 예수님이 하느님 안에서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은 하느님 안에서 엘리야와 세례자 요한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분명히 확인했을 것입니다. 세례자 요한의 고난을 통해 자신의 고난을 예견한 주님이십니다. 우리 또한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의 모든 연결을 새롭게 회복하고 ‘하느님의 자녀’로서의 신원을 새롭게 확인합니다. 다음 화답송 후렴이 그대로 미사은총을 상징합니다.


“하느님, 저희를 다시 일으켜 주소서. 당신 얼굴을 비추소서. 저희가 구원되리이다.”(시편80,4).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3 빛 속에서의 삶 -끊임없는 회개가 답이다-2019.12.28.토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2.28 157
1092 빈틈과 제자리-2015.9.21. 월요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15.09.21 250
1091 빈자貧者의 영성 -도반道伴과 기쁨-2016.5.31. 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 프란치스코 2016.05.31 372
1090 빈자(貧者;아나뷤anawim)의 영성 -시의 힘, 노래의 힘-2022.12.22.목요일 12월22일 프란치스코 2022.12.22 213
1089 비폭력적 사랑의 저항 -악인에게 맞서지 마라-2016.6.13. 월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6.13 210
1088 비움의 훈련, 비움의 여정 -“축제인생을 삽시다! 고해인생이 아닌”-2022.9.15.목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15 329
1087 비움의 여정旅程 -여백餘白의 미美, 여백의 자유自由-2016.1.28. 목요일 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1225-127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1.28 266
1086 비움의 여정-2016.5.18. 연중 제7주간 수요일 (5.18 민주화 운동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5.18 164
1085 비움의 여정 -텅빈 충만의 자유와 행복-2020.9.5.연중 제2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05 111
1084 비움의 여정 -참나(眞我)의 삶-2020.8.10.월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8.10 153
1083 비움의 여정 -주님을 따름과 닮음-2024.1.8.월요일 주님 세례 축일 프란치스코 2024.01.08 148
1082 비움의 여정 -순교적 삶-2018.9.15. 토요일 고통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9.15 160
1081 비움과 실천의 여정 -성인이 되는 길-2018.10.4. 목요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1-122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0.04 205
1080 비움과 겸손의 수련修鍊 여정 -하느님 중심의 삶-2020.2.3.연중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03 134
1079 비우고 비워 하늘이 되고 싶다 -사랑, 지혜, 기쁨-2018.1.15. 월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의 제자 성 마오로와 쁠라치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1.15 157
1078 불암산 배경같은 성 요셉 -참 크고, 깊고, 고요한 분-2019.3.19.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3.19 251
1077 불광불급(不狂不及)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제대로 미치면 성인, 잘못 미치면 폐인”2024.1.20.연중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1.20 117
1076 불광불급(不狂不及)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2022.1.22.연중 제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22 158
1075 불광불급(不狂不及) -“제대로 미치면 성인(聖人), 잘못 미치면 폐인(廢人)”-2023.1.21.토요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291-30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1.21 202
1074 분별의 지혜(2015.4.17. 부활 제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04.17 222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