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14. 월요일 성녀 오딜리아(662-720) 대축일 

                                                                                       이사35,1-4ㄷ.5-6.10 1코린7,25-35 루카11,33-36


                                                           “눈 먼 이들에게 빛을(Lumen Caecis)!”

                                                                                    -그리스도의 빛으로 살 수 있는 길-


오늘 미사전례는 좀 각별합니다. 오딜리아 연합회에 속한 왜관수도원을 비롯한 우리 요셉수도원은 어제 12.13일 성녀 오딜리아 대축일을 지내야 되지만 주일이었던 관계로 하루 늦춰 오늘 12,14일 지냅니다. 


“눈 먼 이들에게 빛을(Lumen Caecis)!”


오딜리아 연합회의 모토입니다. 그리스도는 빛입니다. ‘눈 먼 이들에게 빛을!’ 선물하는 것은 바로 우리의 사명입니다. 시각장애인으로 살다가 12세경 그리스도의 은총으로 눈 뜬 기적을 체험한 성녀 오딜리아입니다. 성녀 오딜리아를 주보성인으로 한 오딜리아 베네딕도 연합회는 전세계에 걸쳐 선교활동에 매진한 결과 베네딕도 연합회들 중 가장 역동적인 연합회가 되었습니다.


“눈 먼 이들에게 빛을!”

우리 자신이 그리스도의 등불이, 빛이 되어 사는 것입니다. 눈먼이들에게 그리스도의 빛이 되어 그들을 눈뜨게 하는 것입니다. 물론 우리가 하는 일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하시는 일입니다. 과연 어떻게 하면 그리스도의 빛으로 살 수 있겠는지요? 오늘 말씀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첫째, 우리 자신부터 눈이 열려 그리스도의 빛이, 등불이 되어야 합니다. 

눈은 몸의 등불입니다. 등불이 온 방안을 환히 비추어 어둠을 몰아내듯 몸의 등불인 눈이 몸의 어둠을 몰아냅니다. 여기서 눈이 상징하는바 육안肉眼이 아니라 심안心眼, 마음의 눈입니다. 육안은 멀쩡해도 마음의 눈이 먼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하여 마음은 물론 몸도 어둠속에 있습니다.


“네 눈이 맑을 때는 온몸도 환하고, 성하지 못할 때는 몸도 어둡다. 그러니 네 안에 있는 빛이 어둠이 아닌지 살펴보아라. 너의 온몸이 환하여 어두운 데가 없으면, 등불이 그 밝은 빛으로 너를 비출 때처럼, 네 몸이 환해질 것이다.”


맘과 몸은 하나입니다. 눈은 마음의 거울이라 합니다. 눈을 보면 맘과 몸의 상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맘이 사랑으로 맑고 환하면 눈도 몸도 맑고 환합니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심안心眼이 열린 깨끗한 사랑의 영혼들은 하느님을 봅니다. 그리스도의 빛이 되어 눈먼이들에게 빛을 선사함으로 이들을 눈뜨게 합니다. 그리스도의 등불이 되어 주변의 어둠을 밝힙니다.


둘째, 지나가는 현세 사물에 초연해야 합니다.

현세 사물에 대한 무시가 아니라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빛에 눈이 열릴 때 초연함의 은총입니다. 현세 사물에 대한 집착에서 해방됩니다. 결혼이냐 독신이냐의 문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주님 중심의 삶이 중요합니다. 품위있고 충실하게 주님을 섬기는 삶이 관건입니다. 주님 중심의 삶일 때 현세 사물로 부터의 이탈이요 초연한 자유입니다.


“때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세상을 이용하는 사람은 이용하지 않는 사람처럼 사십시오. 이 세상의 형체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쏜살같이 흐르는 세월입니다. 일년의 시작인가 하면 벌써 일년의 끝자락입니다. 그러다 보면 아버지의 집으로의 귀가시간인 죽음도 금방입니다. 하루하루 처음이자 마지막처럼 사는 종말론적 삶을 살아갈 때 저절로 이탈의 초연한 삶입니다.


셋째, 늘 기쁘게 살아야 합니다.

마음의 눈이 열릴 때, 초연한 삶을 살아갈 때 저절로 기쁨의 선물입니다. 주님의 참 좋은 선물이 평화와 기쁨입니다. 자기를 텅 비운 이탈의 내적공간 가득한 주님의 평화와 기쁨입니다. 주님은 우리 모두에게 기쁨을 선사하시며 격려하십니다.


“너희는 맥 풀린 손에 힘을 불어넣고, 꺾인 무릎에 힘을 돋우어라. 굳세어져라. 두려워하지 마라. 보라, 그분께서 오시어 너희를 구원하신다.”


기쁘게 살 때 줄줄이 이어지는 삶의 기적입니다. ‘눈 먼이들은 눈이 열리고, 귀먹은 이들은 귀가 열리리라. 그때 다리저는 이는 사슴처럼 뛰고, 말못하는 이의 혀는 환성을 터뜨리리라.’ 그대로 풍요로운 삶의 기적을 상징합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마음의 눈을 열어주시고 기쁨 가득 선물하시어 초연한 자유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다음 묘사는 그대로 축복의  대림시기, 미사 축제에 참석한 우리 모두에게 주어지는 은총을 상징합니다.


“주님께서 해방시키신 이들만 그리로 돌아오리라. 그들은 환호하며 시온에 들어서리니, 끝없는 즐거움이 그들 머리 위에 넘치고, 기쁨과 즐거움이 그들과 함께하여, 슬픔과 탄식은 사라지리라.”(이사35,10).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08 역사는 현재現在다 -하느님은 조화調和이시다-2018.3.27. 성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7 134
1707 역사는 반복되는가 -날마다 주님 ‘파스카의 꽃’으로 삽시다-2023.12.28.목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프란치스코 2023.12.28 134
1706 여전如前한 삶 -영원한 현역現役, 영원한 학생學生-2016.5.15. 월요일 성 빠코미오 아빠스(287-34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5.15 107
1705 여여如如한 삶 -수행자의 삶-2017.9.23. 토요일 피에트첼치나의 성 비오 (1887-196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23 166
1704 여러분은 무슨 맛으로 살아 가십니까? -하느님 맛, 또는 돈 맛-2019.4.17.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17 121
1703 언제 어디서나 일하시는 하느님 -하늘 나라의 실현-2019.7.10. 연중 제1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10 158
1702 어제나 내일이 아닌 오늘! -오늘, 처음처럼, 마지막처럼, 평생처럼-2019.11.20.연중 제3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1.20 162
1701 어머니인 교회 -교회의 어머니 마리아-2024.5.20.월요일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0 109
1700 어머니를 그리며 -어머니 예찬-2019.8.15.목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15 221
1699 어린이처럼-2015.10.1. 목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축일 프란치스코 2015.10.01 739
1698 어린이와 같이 되라 <어린이들을 사랑하신 예수님>2024.5.25.토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2/673-73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5 111
1697 어린이를 사랑하라 -“우리는 누구나 ‘하느님의 어린이’입니다“-2022.8.13.연중 제13주간 프란치스코 2022.08.13 292
1696 어린이 예찬 -하늘 나라의 삶-2023.8.19.연중 제1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9 267
1695 어린이 같은 사람이 됩시다 -경외fear와 섬김serve- 여호24,14-29 마태19,13-15 1 프란치스코 2019.08.17 160
1694 어떻게 해야 영적전쟁에 승리할 수 있습니까? -비전, 비움, 탄력, 연대- 이사56,1.6-7 로마11,13-15.29-32 마태15,21-28 1 프란치스코 2017.08.20 145
1693 어떻게 해야 영생을 받을 수 있나? -사랑 실천이 답이다-2019.7.14.연중 제1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14 140
1692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691 어떻게 참으로 살 수 있을까요? -꿈, 찬양, 기억, 사랑-2022.9.10.토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22.09.10 219
1690 어떻게 죽어야 합니까? -마지막 유언-2017.4.14. 주님 수난 성금요일 <주님 수난 예식> 1 프란치스코 2017.04.14 175
1689 어떻게 죽어야 하나? -귀가준비-2018.10.2.연중 제2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2 140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