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2.21. 대림 제4주간 월요일                                                                    아가2,8-14 루카1,39-45


                                                               주님은 우리의 영원한 도반道伴이시다


‘그 무렵 마리아는 길을 떠나, 서둘러 유다 산악 지방에 있는 한 고을로 갔다. 그리고 즈카르야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인사하였다.’(루카1,39-40).


오늘 복음의 마리아처럼, 언제든 찾아가 만날 수 있는 도반을 둔 사람은 행복합니다. 갈 곳은 많은 듯 하나 갈 곳은 없고, 만날 사람 많은 듯 하나 만날 사람 없는 것이 오늘의 현실입니다. 


평생 순례 여정을 압축한 800km, 2000리 산티야고 순례후 피정자들과 많이 나눈 평생순례여정의 네 요소가 1.하느님 목표目標, 2.삶의 이정표里程標, 3.도반道伴, 4.기도祈禱입니다. 


오늘은 이 네 요소중 ‘도반’에 대해 나눕니다. 혼자서는 너무 힘들고 외로워서 성공적 인생 순례 여정은 힘듭니다. 우울증, 정신질환, 자살 등 모두가 홀로의 외로움에 기인된 바 많습니다. 도반과의 우정은 평생 인생 순례 여정 중 얼마나 절대적인지요.


오늘 복음에서 마리아와 엘리사벳은 영적 도반의 모범입니다. 예기치 못한 잉태로 한없이 마음 착잡해진 마리아가 찾은 사람은 영적 도반 엘리사벳이었습니다. 누구보다 마리아를 잘 이해하고 신뢰하고 공감했던 엘리사벳의 면모가 다음 환대의 말에서 잘 드러납니다.


“당신은 여인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됩니다.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당신의 인사말 소리가 제 귀에 들리자 저의 태 안에서 아기가 즐거워 뛰놀았습니다.”


참 좋은 도반은 나의 분신과 같습니다. 위 엘리사벳의 시의적절한 말은 마리아에게는 그대로 구원체험이었을 것입니다. 이미 태중에서부터 예수님과 세례자 요한이 영적 도반으로 점지되었음을 깨닫습니다. 18년전, 1997년에 써 놨던 ‘하늘과 산’이란 시가 생각납니다. 푸른 하늘을 배경한 불암산을 볼 때 마다 떠오르는 시입니다. 


-하늘 있어 산이 좋고

 산 있어 하늘이 좋다


 하늘은 산에 신비를 더하고

 산은 하늘에 깊이를 더한다


 이런 사이가 되고 싶다

 이런 사랑을 하고 싶다-1997년 2월


하늘과 산이 상징하는바 도반입니다. 보이는 스승 도반, 동료 도반, 부부 도반에도 해당되고, 보이지 않는 영원한 도반인 주님께도 해당됩니다. ‘보라, 내가 세상 끝 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마태28,20ㄴ), 우리와 영원한 도반이 되시겠다 확약하신 주님이십니다. 


철저히 관계적 존재인 인간임을 깨닫습니다. 영원한 도반인 주님과의 우정과 보이는 사람 도반과의 우정은 함께 갑니다. 마리아와엘리사벳의 이렇게 참 좋은 도반관계에 전제되고 있는 것이 주님과의 도반관계임을 깨닫습니다. 하여 영원한 도반이신 주님과는 물론 보이는 도반 형제들과의 우정을 깊이 하기 위해 함께 끊임없이 바치는 시편성무일도와 미사의 전례기도입니다.


오늘 아가서의 두 연인관계를 옛 교부들은 하느님과 백성, 그리스도와 교회, 즉 주님과 우리의 도반관계로 해석했습니다. 우리와 주님이 주고 받는 감미로운 사랑의 대화입니다.


“내 연인의 소리! 보셔요, 그이가 오잖아요. 산을 뛰어오르고, 언덕을 뛰어넘어 오잖아요.”


바로 성탄에 우리를 찾아 오시는 주님을, 또 이 거룩한 미사시간 우리를 찾아 오시는 우리의 영원한 도반인 주님을 고백하는 우리 영혼입니다. 위 말씀이 우리 영혼의 고백이라면 다음 말씀은 주님의 고백입니다. 마치 미사 중 우리 영혼을 일깨우는 주님의 음성 같습니다.


“나의 애인이여. 일어나오. 나의 아름다운 이여, 이리 와 주오. 그대의 모습을 보게 해 주오. 그대의 목소리를 듣게 해주오. 그대의 목소리는 달콤하고 그대의 모습은 어여쁘다오.”


아가서의 마지막 부분인 이 말씀은 우리의 영원한 도반이자 연인인 주님께서 우리 영혼에 들려주는 감미로운 말씀같습니다. 이처럼 주님은 우리 영혼을 사랑하십니다. 문득 주님 홀로 우리를 짝 사랑하시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너무 주님을 많이 잊고 지내는 우리들이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말씀과 우리의 영혼은 영원한 도반관계에 있음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당신의 평생 도반인 우리 모두와의 우정을 깊게 해 주십니다. 


“주님은 우리 도움, 우리 방패, 우리 영혼이 주님을 기다리네. 그분 안에서 우리 마음 기뻐하고, 거룩하신 그 이름 우리가 신뢰하네.”(시편33,20-21).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94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2015.6.29. 월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5.06.29 327
1793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만나라! 회개하라! 시작하라!”-2022.3.20.사순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22.03.20 221
1792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좌파나 우파가 아닌 예수님파로 삽시다”-2023.9.17.연중 제24주일 프란치스코 2023.09.17 213
1791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믿음으로, 희망으로, 사랑으로-2023.5.14.부활 제6주일 프란치스코 2023.05.14 277
1790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봉헌 삶의 축복-2022.2.2.수요일 주님 봉헌 축일(축성 생활의 날) 1 프란치스코 2022.02.02 157
1789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사랑, 배움, 따름-2021.9.12.연중 제24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9.12 128
1788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삶은 선물膳物이자 과제課題입니다-2022.11.16.수요일 성녀 제르트루다 동정(1256-130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1.16 201
1787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아버지 농부農夫처럼 희망, 사랑, 믿음으로-2023.7.16.연중 제15주일(농민주일) 프란치스코 2023.07.16 315
1786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예수님의 제자답게-2019.9.8.연중 제23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9.08 157
1785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예수님처럼!-2023.9.3.연중 제22주일 프란치스코 2023.09.03 213
1784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예수님처럼, 하느님처럼, 어머님처럼-2021.5.8.부활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5.08 119
1783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유비무환有備無患-2021.10.16.연중 제28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16 198
1782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은총의 삶, 찬미의 삶, 순종의 삶-2022.12.8.목요일 한국 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2.12.08 341
1781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주님과 함께 기쁨과 평화, 희망과 자유의 삶-2021.3.25.목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3.25 109
1780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파스카 신비의 삶, 말씀과 기도와 회개의 삶-2021.7.27.연중 제17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7 128
1779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파스카 예수님의 사랑밖엔 답이 없습니다- 2021.9.9.연중 제23주간 목요일 ​​​​​​​ 1 프란치스코 2021.09.09 157
1778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하느님 중심의 한결같은 신망애(信望愛)의 삶- "배워라, 비워라, 닮아라"2024.3.24.주님 수난 성지 주일 프란치스코 2024.03.24 125
1777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하느님의 자녀답게!-2021.2.12.금요일 설 1 프란치스코 2021.02.12 105
1776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예수님처럼” -찬미의 전사, 복음의 전사, 기도의 전사-2024.2.4.연중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24.02.04 149
1775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씨뿌리는 사람처럼-2017.7.16. 연중 제15주일 2 프란치스코 2017.07.16 231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