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1.11. 연중 제1주간 월요일                                                                      사무상1,1-8 마르1,14-20


                                                                          “나를 따라 오너라.”


평상심平常心이 도道입니다. 늘 한결같은 마음이 참 마음입니다. 일일시호일一日是好日입니다. 매일이 좋은 날입니다. 수도생활은 물론 믿는 이들의 삶은 이벤트가 아니라 평범한 일상입니다. 비상한 회개가 아니라 매일 평범한 회개입니다. 


연중시기가 시작되니 성무일도 찾기도 단순하여 좋습니다. 초록색 제의, 초록색 영대, 초록색 제대보 등 늘 한결같은 평범한 일상을 상징하는 연중시기의 초록색이 참 편안하고 좋습니다.


오늘부터 성탄시기는 끝나고 평범한 일상의 연중시기가 시작되었고, 예수님에게도 본격적인 공생애가 시작되었음을 봅니다. 연중시기 첫날, 예수님의 공생애가 시작되며 하신 첫 말씀이 예수님의 선포를 요약합니다.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


오늘 우리 모두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바로 오늘 여기 지금이 유일무이한 카이로스 하느님의 때이자 하느님을 만나는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오늘 지금 여기를 떠나선 하느님을 만날 자리는 없습니다. 


하느님의 나라에 대한 비전이 우리를 살게 하는 힘입니다. 주님은 우리를 끊임없이 하느님의 나라로 부르시며 이에 대한 응답이 바로 회개입니다. 오늘 호숫가를 지나시다가 어부들을 부르시어 제자로 삼으신 주님은 우리를 부르십니다.


“나를 따라오너라. 내가 너희를 사람 낚는 어부가 되게 하겠다.”


주님은 우리 삶의 목표이자 방향입니다. 이런 주님을 잊어, 잃어 방황입니다. 바로 회개는 우리 삶의 목표이자 방향이신 주님을 따라나서는 것입니다. 시몬과 그의 동생 안드레아는 곧바로 그물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고, 이어 제베데오의 아들 야고보와 그의 동생 요한도 주님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아버지 제베데오를 삯꾼들과 함께 배에 버려두고 예수님을 따라나섭니다. 


물질적 소유와 인간적 관계를 모두 끊어버리고 전적으로 예수님만 믿고 예수님을 따라 미지의 땅으로 나섭니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이런 문자 그대로의 포기의 응답을 요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회개의 응답은 이처럼 직접적이어야 하고 전적이어야 함을 가르칩니다. 지체하지 않고 모두를 포기하는 마음으로 주님을 따라 나서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외적으로 끊임없이 비우고 버리고 주님을 따라나서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래야 삶은 짐이 아니라 선물이 됩니다. 


주님을 따라 끊임없이 따라 나서는 삶이 바로 회개의 삶이요 하느님 나라의 삶입니다. 이런 삶 자체가 복음을 믿는 일입니다. 그러니 우리의 회개는 비상한 회개가 아니라 일상에서의 평범한 회개입니다. 바로 1독서의 엘카나와 한나 부부의 일화가 그 좋은 본보기입니다. 


‘엘카나는 해마다 자기 성읍을 떠나 실로에 올라가서, 만군의 주님께 예배와 제사를 드렸다.’


엘카나는 해마다 정기적이고 규칙적으로 가족을 성소인 실로에 인솔하여 예배와 제사를 드리며 삶을 새로이 정립하는 회개의 기회로 삼았음이 분명합니다. 엘카나의 다른 아내 프닌나는 아이가 없는 한나를 괴롭혔고 해마다 반복되었지만 한나는 주님을 믿고 끝없이 인내하며 회개의 여정에 항구했음을 봅니다.


인내로 표현되는 믿음입니다. 주님을 따라나서는 회개의 여정에 항구했던 믿음의 여인 한나에게 주님은 마침내 사무엘 아들을 선물로 주셨습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회개한 우리에게 하느님의 나라를 선물하시며 당신을 따라나서는 회개의 여정에 항구할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내게 베푸신 모든 은혜, 무엇으로 주님께 갚으리오? 구원의 잔 받들고, 주님의 이름을 부르리라."(시편116,12-13).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77 “우연은 없다” -모두가 하느님의 섭리다-2024.3.23.사순 제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3.23 155
3376 하느님 중심의 삶 -내적 힘의 원천인 말씀과 믿음-2024.3.22.사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3.22 125
3375 떠남의 여정 -늘 새로운 시작-2024.3.21.목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480-547) 별세 축일 프란치스코 2024.03.21 117
3374 진리가 너희를 참으로 자유롭게 하리라 -자유의 여정, 예닮의 여정-2024.3.20.사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3.20 140
3373 참 좋은 배경의 성 요셉 -성가정 교회 공동체-2024.3.19.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4.03.19 158
3372 자비와 지혜의 주님 -“죄없는 자가 먼저 저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2024.3.18.사순 제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3.18 130
3371 “보라, 예수님을!” -새계약의 예수님, 순종과 섬김의 예수님, 십자가와 부활의 예수님- “보고 배워 닮아갑시다!”2024.3.17.사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24.03.17 117
3370 예수님은 누구인가? “예수님 만나기, 예수님 알기, 예수님 살기” -날마다 새롭게!-2024.3.16.사순 제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3.16 121
3369 참 자기 인식 -하느님 탐구, 참나의 탐구-2024.3.15.사순 제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3.15 130
3368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영적 승리의 삶- “모세처럼, 예수님처럼 사세요!”2024.3.14.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3.14 161
3367 “하닮의 여정” -하느님 중심의 아버지의 자녀다운 삶-2024.3.13.사순 제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3.13 132
3366 “생명수의 샘, 생명수의 강” 이 되어 삽시다! -우리 구원자 주 그리스도 예수님과 함께-2024.3.12.사순 제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3.12 147
3365 “새 하늘과 새 땅”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2024.3.11.사순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3.11 94
3364 구원의 행복은 선택이자 은총이다 -회개하자, 감사하자, 믿자- “지상 천국의 삶”2024.3.10.사순 제4주일(Laetare 주일) 프란치스코 2024.03.11 183
3363 주님께서 원하시는 의롭고 겸손한 기도와 삶 -회개와 겸손, 진실과 사랑-2024.3.9.사순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3.09 116
3362 회개의 여정 -회개와 사랑, 새로운 삶-2024.3.8.사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3.08 158
3361 우리의 유일한 희망이신 예수님 “늘 예수님편에 서자”2024.3.7.사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3.07 209
3360 사랑이 답이다 -사랑은 율법의 완성, 분별의 잣대-2024.3.6.사순 제3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3.06 139
3359 “너 자신을 알라” -사람이 물음이라면 하느님은 답이다-2024.3.5.사순 제3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3.05 156
3358 선입견, 편견, 고정관념의 무지가 문제다 -답은 살아 계신 주님과의 만남인 회개뿐이다-2024.3.4.사순 제3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3.04 15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