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1.19. 연중 제2주간 화요일                                                                사무상16,1-13 마르2,23-28


                                                         파격破格의 사랑, 파격破格의 자유

                                                                    -사람이 먼저다-


‘파격의 사랑, 파격의 자유’ 오늘 강론 제목입니다. 하나 덧붙인다면 ‘파격의 아름다움’입니다. 겨울 들어 가장 추운 오늘 날씨입니다. 새벽 ‘자비의 집’ 본관 문을 열고 나서는 순간 말 그대로 살을 에이는 듯한 찬 기운이 온몸에 파고 드는 듯 했습니다. 


추위와 더불어 하늘 역시 겨울 들어 가장 맑고 깊었고 별들 역시 초롱초롱 빛났습니다. 추우면 우선 시려 마비되는 곳이 손끝입니다. 몸의 손끝 같이 사회의 변두리에 밀려난 이들 역시 맨먼저 느끼는 세상 추위일 것입니다. 지난 1월 15일 늦은 저녁에 '시대의 지성'이자 '시대의 스승'이라 일컫는 큰 별이 떨어졌습니다. 


쇠귀牛耳 신영복 선생이 타계했습니다. 파격의 사랑, 파격의 자유, 파격의 아름다움을 살았던 참된 그리스도인이었습니다. 혹자는 ‘우리라는 땅이 신영복이라는 산을 품었다’고 말합니다. 요즘 들어 타계시 선생처럼 신문 지면을 크게 차지한 분도 없었고 많은 분들의 애도를 받은 분도 없었습니다. 성공회대 교수의 감동적인 추도사중 일부입니다.


‘이 추운 겨울, 선생님은 ’꽃처럼 바람처럼’ 훌쩍 가버렸습니다. 

죽음을 삶의 완성으로 받아들이고 미련없이 곡기를 끊으셨습니다. 


신영복 선생님이 떠난 이 땅에서 장차 우리는 ‘문사철文史哲’의 ‘언어’만이 아닌 ‘시서화詩書畵’의 ‘아름다움’으로 세상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지식인을 어디서 다시 찾을 수 있을까요? 


잎사귀가 아닌 뼈대를 직시할 줄 알고, ‘석과불식碩果不食’, 즉 씨 과일은 남겨두어 내년의 풍성한 과일을 생산하는 기반으로 삼는다는 정신으로 미래 시대를 키워낼 수 있는 스승을 다시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강철같이 단단하면서도 물처럼 부드럽고, 봄날의 햇살처럼 따스한 어른을 어디서 다시 만날 수 있을까요?’


선생은 ‘언약은 강물처럼 흐르고 만남은 꽃처럼 피어나리.’ 말씀했고, ‘사람은 다른 가치의 하위개념이 아닙니다. 사람이 끝입니다.’말씀했던 참으로 사람을 아꼈던 참된 파격의 그리스도인이었습니다. 어제 원장수사의 대화중 마음에 와닿은 한마디에서 착안한 파격의 사랑, 파격의 자유란 강론 제목입니다.


“아마 성전 벽면에 부엉이 눈의 그림이 붙은 것은 파격적일 것입니다. 부엉이 눈은 무섭지 않아요.”


사실 얼핏보면 무서워 보이지만 '깨어있는 눈' 이기에 잘 들여다 보면 전혀 무섭지 않습니다. 하여 미사때마다 자주 성전 뒷면의 부엉이와 눈을 맞추며 깨어 미사를 봉헌하게 됩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은, 독서의 하느님은 얼마나 파격적인지요. 깊이 들여다보면 '파괴의 파격'이 아닌 '창조의 파격', '파격의 사랑', '파격의 자유'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인용되는 다윗 역시 얼마나 파격적인지요. 


“다윗과 그 일행이 먹을 것이 없어 배가 고팠을 때, 다윗이 하느님의 집에 들어가, 사제가 아니면 먹어서는 안되는 제사 빵을 먹고 함께 있는 이들에게도 주지 않았느냐?”


다윗의 이런 대담한 파격의 사랑은, 자유는 어디서 기인할까요? 그가 하느님을 깊이 신뢰하고 사랑했으며 하느님 역시 그를 깊이 신뢰하고 사랑했다는 확신에서 가능했음이 분명합니다. 예수님의 파격의 사랑과 자유 역시 다윗처럼 하느님께 대한 깊은 사랑과 신뢰에 뿌리두고 있음을 봅니다. 안식일 법을 어기며 밀 이삭을 뜯는 제자들의 파격적 행위에 딴지를 거는 바리사이들에 대한 예수님의 다음 말씀이 파격의 사랑, 파격의 자유의 절정입니다. 


“안식일이 사람을 위하여 생긴 것이지, 사람이 안식일을 위하여 생긴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참 아름다운, 사랑과 자유의 파격의 사람, 사람의 아들, 예수님이십니다. 예전 모 대선 후보의 ‘사람이 먼저다’라는 모토도 예수님의 위 말씀에 근거하고 있음을 봅니다. 하느님을 빼다 닮았기에 예수님의 이런 파격의 사랑과 자유입니다. 우리는 오늘 1독서에서 하느님의 파격적 사랑과 자유의 모습을 봅니다.


“사람들은 눈에 들어오는 대로 보지만 주님은 마음을 본다. 바로 이 아이다. 일어나 이 아이에게 기름을 부어라.”


사무엘 예언자를 통하여 사울을 버리고, 사람 눈에 작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다윗을 선택하는 하느님의 모습은 얼마나 파격적인지요. 이런 하느님의 자유로운 파격적 모습은 바로 당신의 깊은 사랑에서 기인됨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역시 당신을 닮아 파격의 사랑, 파격의 자유, 파격의 아름다움을 살게 하십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저희 마음의 눈을 밝혀주시어, 부르심을 받은 저희의 희망을 알게 하여 주소서.”(에페1,17-18 참조).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55 주님의 기도2017.6.22. 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6.27 64
3454 참 기쁜 소식 -“오늘 우리 구원자 주 그리스도 태어나셨다!”-2023.12.25. 월요일 주님 성탄 대축일 밤미사 프란치스코 2023.12.24 76
3453 회개(悔改)의 여정, 귀가(歸家)의 여정 -‘하느님의 나라’ 꿈과 실현- 프란치스코 2024.01.21 78
3452 영원한 도반道伴, 영원한 청년靑年 -주님과 아브라함-2017.6.26. 연중 제1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06.27 79
3451 “일어나라!” -늘 새로운 시작, 파스카의 삶-2018.9.18.연중 제2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09.27 80
3450 우리의 영원한 본향本鄕이자 안식처安息處 -그리스도 예수님-2021.2.8.연중 제5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08 80
3449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하느님의 자녀답게 “희망하라, 공부하라, 회개하라”2024.6.9.연중 제10주일 new 프란치스코 2024.06.09 80
3448 온전한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17,6,27 연중 제1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6.27 81
3447 믿음의 여정, 믿음의 전사 -믿음과 희망이 답이다-2021.1.30.연중 제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1.30 84
3446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사랑예찬-2017.6.23. 금요일 예수 성심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06.27 85
3445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오늘 지금 여기-2020.11.12.목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1580-162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2 85
3444 하늘나라의 발견 -참으로 행복한 사람들-2018.7.18. 연중 제1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18 86
3443 예수님은 누구인가? -앎의 욕구-2018.7.21.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1 87
3442 죄와 벌 -미사가 답이다-2021.2.13.연중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2.13 91
3441 복음 선포의 삶 -갈망, 만남, 선포-2021.4.10.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10 91
3440 영원한 연인戀人이신 주님 -주님과의 사랑과 형제와의 사랑은 함께 간다-2019.12.21.대림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9.12.21 92
3439 삶과 죽음 -깨어 있어라!-2020.8.29.토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8.29 92
3438 사랑의 여정(旅程), 사랑의 사도(使徒) -기도와 섬김-2024.5.14.화요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24.05.14 92
3437 남북평화통일 -화해와 일치의 중심이신 파스카의 예수님-2017.4.8. 사순 제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8 93
3436 내적혁명內的革命-사랑의 기도祈禱와 연대連帶-2017.5.20. 부활 제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05.20 9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