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26. 화요일 성 티모데오와 성 티토 주교 기념일 

                                                                                                                     2티모1,1-8 루카10,1-9


                                                                     주님의 제자답게 사는 법

                                                                   -존재, 선물, 신神의 한 수手-


오늘 강론은 ‘주님의 제자답게 사는 법’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몇가지 예화로 강론을 시작합니다.


1.‘삶은 선물이냐 짐이냐?’ 제가 자주 신자분들에게 화두로 던지는 질문입니다. 얼마전 이삿짐 가득한 아파트 새집을 축복식차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순간 ‘아, 짐이 너무 무겁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세식구쯤 되는 가정의 집이었는데 거기에 딸린 짐이 많아서 숨막힐 듯 답답한 느낌이었습니다. 큰 거주 공간에 불필요한 짐도 참 많아 보였습니다.


‘저 정도 유지하려면 보통 벌어선 안되겠구나. 가장의 짐이 무겁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살다보면 점점 늘어나는 짐에 무거워지는 인생이 되기 십중팔구입니다. 갈수록 비워지고 가벼워져 선물인생이어야 하는데, 현실은 갈수록 소유로 무거워져 존재는 사라지고 삶도 몸도 점점 짐이 되어간다는 것입니다. 


2.얼마전 ‘신神의 한 수手’라는 제목의 자신의 강론에 통쾌해 했던 기억이 새로운데 어제 원장수사와 이야기하며 새삼 공감한 말 마디입니다. 참으로 용기백배, 자부심을 갖게 하는 말마디입니다. 어느 수사를 일컬어 신의 한수라 했는데 잘 들여다 보니 요셉수도원 모든 형제들 하나하나가 유일무이한 신의 한수와 같은 주님의 사람으로 느껴졌습니다. 


바오로 사도가 예수님의 신의 한 수 였다면, 어제 성 바오로 개종 축일에 이은 오늘 축일을 지내는 바오로의 두 애제자인 성 티모데오와 성 티토 역시 성 바오로의 신의 한 수 같은 제자임을 깨닫습니다. 우리 역시 신의 한 수 같이 귀한 주님의 사람들입니다. 과연 신의 한 수처럼 살고 있는지 자신을 살펴보게 됩니다.


3.어제 신문에서 ‘꼰대가 되지 않고 청년들에게 인정받고 사랑받는 좋은 어른’이 되기위한 지침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첫째, 나이를 묻지 마라. 한국사회에서 버젓이 나이를 묻는 것은 상대방과 위아래를 겨루는 것이다. 둘째, 함부로 호구조사를 하거나 삶에 참견하지 마라. 셋째, 자랑을 늘어놓지 마라. 당신의 인생자랑은 ‘노잼’이다. 넷째, ‘딸같아서 조언하는데’같은 수사는 붙이지 마라. 당신이 걸어온 길이 매력적이라면 상대가 알아서 물을 것이다. 


다섯째, 나이나 지위로 대우받으려 하지 마라. 나이나 지위에 매달린 대우를 받고 있다면 지금 과감히 던져 버려라. 마지막 지침, 스스로가 언제든 꼰대가 될 수 있음을 인정하라. 자기 안의 꼰대성은 자신이 쌓아온 나이만큼 부지런히 누적된다. 내 안의 괴물같은 꼰대성을 인지하는 것만으로도 꼰대성의 탈출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면 당신은 꼰대가 아닌 어른에 가까워질 것이다.


주님의 제자답게 살기위한 방법은 다 제시된 셈입니다. 짐이 아닌 선물인생을 사는 것이요, 신의 한수 같은 삶을 사는 것이요, 꼰대로 살지 않는 것입니다. 어떻게 이렇게 살 수 있겠는지요. 오늘 말씀이 답을 줍니다.


소유의 삶을 사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삶을 사는 것입니다. 소유에 묻혀 존재를 잊고 사는 삶이 아니라 날로 안팎으로 비워가며 존재가 투명히 드러나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소유나 존재냐?’ ‘짐이냐 선물이냐?’ 같은 맥락의 질문입니다. 


소유의 짐이요 존재의 선물입니다. 부단히 내외적으로 비워갈 때 자유롭고 가벼운 존재의 선물같은 주님의 제자다운 삶이 된다는 것입니다. 참 기쁨도 소유의 짐이 아닌 존재의 선물에서 솟아납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파견하면서 하신 다음 말씀도 이런 맥락에서 확연히 이해됩니다.


“가거라. 나는 이제 양들을 이리 떼 가운데로 보내는 것처럼 너희를 보낸다. 돈주머니도 여행 보따리도 신발도 지니지 말고, 길에서 아무에게도 인사하지 마라.”


문자 그대로가 아닌 최소한의 의식주로 무엇에도 집착하지 말고 자유롭고 유연한 무소유의 영성을 살라는 것입니다. 소유가 아닌 존재의, 짐이 아닌 선물의 본질적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그러니 바오로 사도가 티모테오에게 주신 다음 말씀은 이런 본질적 삶을 추구하는 우리 각자에게 좋은 격려가 됩니다.


“그대가 받은 하느님의 은사를 다시 불태우십시오.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비겁한 영을 주시는 것이 아니라, 힘과 사랑과 절제의 영을 주셨습니다. 그러니 그대는 우리 주님을 위하여 증언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오히려 하느님의 힘에 의지하여 복음을 위한 고난에 동참하십시오.”


다시 주님 사랑에 불을 붙이고 초발심의 자세로 새롭게 시작하라는 말씀입니다. 아무리 좋은 선물도 시간이 지날수록 무거운 짐이 되어 버립니다. 그러니 부단히 안팎으로 버리고 비우는 본질적 수행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이래야 자신은 물론 이웃에게도 주님 평화의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 


주님의 제자는 주님만으로 만족하고 행복한 사람들입니다. 이와 더불어 삶은 저절로 비워져 투명히 드러나는 ‘존재의 삶’, ‘선물의 삶’, ‘신의 한 수’같은 주님의 제자다운 삶입니다. 꼰대같은 삶에서의 완전 탈출입니다. 이런 삶자체가 참 좋은 복음 선포입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이런 주님의 제자다운 삶을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2 봉헌의 여정 -사랑의 봉헌, 봉헌의 기쁨, 봉헌의 행복, 봉헌의 아름다움-2020.2.8.토요일 툿징 포교 베네딕도 서울 수녀원 은경축 미사 1 프란치스코 2020.02.08 283
471 ‘참’ 멋지고 아름다운 삶 -한평생 맡겨진 책임을 ‘참으로’ 다하는 사랑-2021.11.17.수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1.17 283
470 하느님께서 좋아하는 참된 단식 -이웃 사랑의 실천-2022.3.4.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3.04 283
469 하느님 중심의 삶 -허무에 대한 궁극의 답은 하느님뿐이다-2022.9.22.연중 제2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9.22 283
468 회개와 기쁨의 거룩한 사순시기 -올바른 수행자의 삶-2023.2.22.재의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2.22 283
467 거룩한 사람이 되어라 -최후 심판의 잣대는 사랑- 2023.2.27. 사순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2.27 283
466 회개의 은총, 회개의 축복, 회개의 여정 -경천애인(敬天愛人)-2023.3.17.사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7 283
465 회심의 은총, 회심의 여정, 일치의 여정 -회심과 성체성사-2023.4.28.부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4.28 283
464 하늘 나라의 삶 -희망과 기쁨, 자비와 지혜, 인내와 겸손-"귀 있는 사람은 들어라"-2023.7.23. 연중 제16주일(조부모와 노인의 날) 프란치스코 2023.07.23 284
463 참 멋지고 매력적인 삶 -세상의 소금처럼, 세상의 빛처럼 삽시다- 프란치스코 2023.02.05 284
462 참된 영적 삶 -경청과 환대, 관상과 활동, 영적우정과 회개-2023.2.10.금요일 성녀 스콜라스티카 동정(480-547) 축일 프란치스코 2023.02.10 284
461 믿음의 여정, 믿음의 전사 -부단한 신비체험 은총과 훈련의 노력-2023.2.18.연중 제6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2.18 284
460 더불어(together) 믿음의 여정 -회개와 겸손한 믿음-2023.7.24.연중 제1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7.24 284
459 참된 단식 -하느님이 기뻐하시는 단식-2016.2.12. 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2.12 285
458 주님의 아가페 사랑(agape-love)-2016.5.14. 토요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6.05.14 285
457 새 인간 -옛 인간을 벗어 버리고 새 인간을 입자-2016.7.31. 연중 제18주일 프란치스코 2016.07.31 285
456 하느님의 시야視野 -여기 사람 하나 있다-2016.8.29. 월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8.29 285
455 끊임없는 회개 -역사는 반복된다-2018.12.28.금요일 죄 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2.28 285
454 떠남의 여정, 귀가歸家의 여정, 파스카의 여정 -성 베네딕도 예찬禮讚- 2020.3.21.토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 별세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3.21 285
453 하느님께 대한 한결같은 사랑과 신뢰, 그리고 희망 -영적탄력의 원천-2023.2.9.연중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2.09 285
Board Pagination Prev 1 ...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