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2.17. 사순 제1주간 수요일                                                              요나3,1-10 루카11,29-32


                                                                      회개의 표징들

                                                          -끊임없는 회개, 회개의 여정-


우리가 살 수 있는 길은 답은 단 하나 하느님께 돌아가는 회개뿐입니다. 누구나 예외가 없습니다. 끊임없는 회개요 회개의 여정중에 있는 우리들입니다. 날마다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는 여정 역시 회개의 여정입니다. 우리가 사순시기 매주 금요일 마다 공동으로 바치는, 회개의 여정을 상징하는 ‘십자가의 길’ 기도 역시 참 좋은 회개의 표징입니다. 사순시기뿐 아니라 평상시에도 자주 바쳐야 할 십자가의 길 기도입니다.


하느님의 구원은 회개하는 모두에게 열려 있습니다. 요나의 회개의 선포에 대한 니네베 이방인들의 응답이 참 신속합니다. 하느님을 믿고 단식을 선포한 후 가장 높은 사람부터 가장 낮은 사람까지 자루옷을 입고 회개하여 하느님께 돌아옵니다. 


마침내 하느님께서는 그들이 악한 길에서 돌아서는 모습을 보시고 마음을 돌리시어 그들에게 내리겠다던 재앙을 내리지 않으셨다 합니다. 여기서 주목되는 바 니네베 임금의 회개입니다. 지도자의 회개가 공동체에 얼마나 위력적인 힘을 발휘하는지 깨닫습니다. 


“저마다 제 악한 길과 제 손에 놓인 폭행에서 돌아서야 한다. 하느님께서 마음을 돌리시고 그 타오르는 진노를 거두실지 아느냐? 그러면 우리가 멸망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대로 내외적으로 위태한 현실에 직면한 오늘의 우리를 향한 말씀같습니다. 참으로 거국적擧國的인 회개가 필요한 사순절입니다. 니네베 사람들의 회개의 응답은  얼마나 기민하고 신속한지요. 언젠가의 회개가 아니라 오늘 바로 지금 여기가 회개의 자리입니다. 하느님 안 제자리로 돌아가는 회개입니다. 분도 규칙 머리말 부분도 결국은 회개의 촉구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마침내 ‘우리가 잠에서 깨어나야 할 때가 이미 왔습니다.’ 하신 성서의 말씀에 분발하여 일어나도록 하자. 그리고 우리는 하느님의 빛을 향해 눈을 뜨고, 하느님께서 날마다 우리에게 외치시며 훈계하는 말씀에 귀기울여 들을 것이니, 그분의 목소리를 듣거든, 너희 마음을 무디게 가지지 말라 하신다.”


매일의 미사도, 성무일도도 회개의 표징입니다. 늘 하느님께 돌아와 하느님을 기억하라는 회개의 표징입니다. 하루 일과표도 늘 회개의 삶을 살라는 일종의 회개의 시스템입니다. 하느님을 잊고, 자기를 잊고 사는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회개를 통한 하느님의 발견이요 자기의 발견입니다. 예수님께서 복음에서 지칭하는 악한 세대는 시대를 초월하여 오늘 우리에게도 해당됩니다.


“이 세대는 악하다. 이 세대가 표징을 요구하지만 요나 예언자의 표징밖에는 어떠한 표징도 받지 못할 것이다. 요나가 니네베 사람들에게 표징이 된 것처럼, 사람의 아들도 그러할 것이다.”


세대를 초월하여 회개의 영원한 표징은 사람의 아들, 빠스카의 주님 하나뿐입니다. 바로 영원한 회개의 표징인 주님을 눈 앞에 두고 표징을 찾는 눈먼 세대들입니다. 성당 정면에 걸려 있는, 방마다 걸려있는 십자가의 주님이 바로 회개의 표징이자 하느님을 가리키는 삶의 이정표입니다. 


어찌 이뿐이겠습니까? 눈만 열리면 곳곳에서 발견되는 하느님께 인도하는 회개의 표징, 삶의 이정표입니다. 저에게는 늘 하늘 배경한 거기 그 자리, 정주의 불암산과 수도원 길 하늘 향해 쭉쭉 뻗은 메타세콰이어 가로수들 또한 회개의 표징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솔로몬의 지혜를 찾아 땅끝에서 온 남방여왕도, 요나의 설교를 듣고 회개했던 니네베 사람들 역시 회개의 표징입니다. 그러나 영원한 회개의 표징은 단 하나 주님뿐임을 오늘 복음은 분명히 합니다.


“그러나 보라, 솔로몬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그러나 보라, 요나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솔로몬 보다 더 큰 현자賢者이시며 요나보다 더 큰 예언자豫言者이신 우리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회개의 여정에 항구하고 충실할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하느님, 제 마음을 깨끗이 만드시고, 제 안에 굳건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시편51,12).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8 인생은 “자비의 학교”이다 -기도와 회개, 용서와 자비의 사람이 됩시다-2023.3.14.사순 제3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4 638
447 사랑은 율법의 완성 -하늘 나라에서 가장 큰 사람-2023.3.15.사순 제3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5 276
446 하느님 중심의 삶 -“경청과 겸손, 순종의 삶”-2023.3.16.사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6 277
445 회개의 은총, 회개의 축복, 회개의 여정 -경천애인(敬天愛人)-2023.3.17.사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7 283
444 참된 기도와 회개의 은총 -겸손, 신의, 예지-2023.3.18.사순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8 272
443 개안開眼의 여정 -빛의 자녀답게 삽시다- 프란치스코 2023.03.19 270
442 한결같은 배경의 의인 -성요셉 예찬-2023.3.20.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3.20 339
441 떠남의 여정 -늘 새로운 시작-2023.3.21.화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 별세 축일 프란치스코 2023.03.21 269
440 주님과 만남의 여정 -하루하루가 "새 하늘과 새 땅, 새 날"이다-2023.3.22.사순 제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2 279
439 회개의 은총 -겸손, 자비, 지혜-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뿐이다”2023.3.23.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3 267
438 하느님 중심의 삶 -악인(惡人)이 아닌 의인(義人)으로 삽시다-2023.3.24.사순 제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4 282
437 하느님의 참 좋은 선물 -사랑과 겸손, 경청과 순종, 찬미와 감사-2023.3.25.토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3.25 284
436 공동생활(共同生活)의 축복과 아름다움 -그리스도 예수님 중심의 공동체-2023.3.26.사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23.03.26 273
435 사랑의 지혜 -“죄없는 자가 먼저 돌을 던져라.”2023.3.27.사순 제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7 281
434 믿음의 여정旅程, 믿음의 전사戰士, 믿음의 훈련訓鍊 -무지에 대한 답은 믿음뿐이다-2023.3.28.사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8 270
433 자유의 여정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2023.3.29.사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9 292
432 깊고 넓은 내적시야內的(視野)를 지닙시다 -기도와 성독(Lectio Divina)-2023.3.30.사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3.30 299
431 하느님 중심의 삶 -자녀답게-2023.3.31.사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3.31 298
430 남북 평화 통일 -파스카의 예수님이 궁극의 답이다.-2023.4.1.사순 제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4.01 279
429 파스카 신비의 삶과 죽음 “아버지의 뜻대로” -끊임없는, 한결같은 기도가 답이다-2023.4.2.주님 수난 성지 주일 프란치스코 2023.04.02 390
Board Pagination Prev 1 ...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