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3.10. 사순 제4주간 목요일                                                                       탈출32,7-14 요한5,31-47


                                                                주님의 영광을 추구하는 삶

                                                                       -주님과의 우정-


오늘 우리는 진정한 사람 두 분을 만납니다. 1독서의 모세와 복음의 예수님입니다. 우리 믿는 이들 모두의 이상적 인간상입니다. 두분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주님과의 독보적 관계입니다. 두 분을 통해 하느님이 어떤 분이신지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우리 역시 우리 자신을 통해서 각자가 체험한 하느님을 나눌 필요가 있습니다.


모세나 예수님이나 광야인생을 사신 분입니다. 인생의 본질이 광야입니다. 함께 해도 궁극은 외롭고 쓸쓸한, 고독한 광야입니다. 바로 광야에서 살아가기위해서 하느님을, 생명의 하느님을 찾아야 합니다. 주님을 찾아 주님과의 우정을 깊이할 때 비로소 광야는 낙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주님과의 우정이 우리 삶의 모두라 할 수 있습니다


광야에서 우상의 유혹에 빠진 사람들은 그대로 현대인들의 모습입니다. 오늘날의 세상 광야에서 세상 우상에 빠져 생각 없이, 영혼을 잊고 살아가는 이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오늘 탈출기의 모세의 모습이 감동입니다. 이렇게 주님과의 기도를 통해 주님과의 우정을 깊이하는 길만이 살길입니다. 혼자만을 위한 기도가 아니라 함께 살기위한 기도입니다. 


하느님을 설득하는 모세의 기도는 얼마나 집요한지요. 참으로 열정적인 기도입니다. 주님께 대한 깊은 신뢰를 반영하는 기도입니다. 주님의 마음을 정말 잘 았기에 이런 간절한 기도입니다. 진정 하느님을 사랑했기에, 이스라엘 백성을 사랑했기에 이런 간절하고 절실한 기도입니다. 마지막으로 당신의 종 아브라함과 이사악과 이스라엘을 기억하여 살려주십사 기도하는 모세입니다.


우리의 하느님은 추상적 하느님이 아니라 역사의 하느님이십니다. 모든 당신의 사람들을 통해 역사하신 일관성을 지닌 하느님이십니다. 똑같은 하느님께서 모세에 이어 예수님을 통해 일하십니다. 


예수님의 삶 역시 광야 여정입니다. 공생애에 앞서 유혹을 받으신 광야가 예수님의 전 삶을 압축합니다. 끊임없는 유혹이 따랐고 역시 아버지와의 깊은 관계로 모든 유혹을 이겨냈습니다. 오늘 복음의 네 증언은 모두 예수님의 확신을 반영합니다. 모두가 아버지와의 깊은 관계를 반영합니다.


첫째는 세례자 요한의 증언이요(5,33-34), 둘째는 예수님이 하신 일들(5,36)이요, 셋째는 아버지 친히 증언을 해 주셨고(5,37-38), 넷째는 성서의 증언입니다(5,39-40). 이 보다 확실한 증언은 없습니다. 그러니 우리 모두 당신을 충실히, 항구히 믿으라는 호소입니다. 


“나는 사람들에게 영광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나는 너희에게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는 것을 안다. 나는 내 아버지의 이름으로 왔다. 너희가 자기들끼리 영광을 주고 받으면서 한 분이신 하느님에게서 받는 영광은 추구하지 않으니, 너희가 어떻게 믿을 수 있겠느냐?”


그대로 오늘의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우리 삶의 중심은 우리가 아니라 주님이십니다. 우리 삶의 중심이신 주님의 영광을 추구하는 삶을 살면서 주님을 증언할 때 주님 친히 우리를 증언해 주실 것이고, 우리의 삶 또한 우리를 증언해 주실 것입니다. 이런 증언들이 인생광야에서 보이지 않는 내적 힘의 원천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주님을 증언하는 삶에 항구하고 충실할 수 있게 해 주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5 사랑의 여정 -구원의 믿음은 은총이자 선택이다-2020.4.22.부활 제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22 142
1074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2020.4.8.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08 142
1073 영원한 회개悔改와 희망希望, 구원救援의 표징 -파스카 예수님-2020.3.4.사순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04 142
1072 차별(差別)하지 마십시오 -둥글고(圓), 덕(德)스러운 삶-2020.2.20.연중 제6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20 142
1071 떠남의 여정 -‘꼰대’가 되지 맙시다-2020.2.6.목요일 성 바오로 미키(1564-1597)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2.06 142
1070 “나를 따라라” -참 나의 실현; 부르심과 응답-2020.1.18.연중 제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18 142
1069 파스카의 삶 -자유의 여정-2019.9.2.연중 제2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2 142
1068 참으로 잘 살고 싶습니까? -말씀, 경배, 순종, 고백, 전투-2019.3.10. 사순 제1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3.10 142
1067 권위있는 삶 -실행, 일치, 자유, 섬김-2018.1.28. 연중 제4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1.28 142
1066 배움의 여정 -주님과 나, 그리고 이웃을 알아가는-2018.8.9. 연중 제18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9 142
1065 가라지는 현실이다 -밀과 가라지의 공존-2018.7.28. 연중 제1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8 142
1064 악마의 덫에 걸리지 맙시다! -회개, 겸손, 지혜, 자비-2018.6.2. 연중 제8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02 142
1063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님이 답이다 -분별력의 은총-2017.10.27.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0.27 142
1062 삶과 기도 -끊임없는 기도-2017.7.26. 수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부모,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7.26 142
1061 하늘 나라의 삶을 삽시다 -오늘 지금 여기서-2017.7.23. 연중 제16주일 2 프란치스코 2017.07.23 142
1060 도반道伴 관계의 사랑-주님과의 연정戀情, 친구와의 우정友情-2016.12.21. 대림 제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12.21 142
1059 성전 정화淨化 -천상낙원의 실현-2016.11.9. 수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16.11.09 142
1058 “아, 여기가 천국이구나!” -구원의 좁은 문-2016.10.26. 연중 제3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6 142
1057 바라봐야 할 유일한 대상 -그리스도의 십자가-2016.9.14. 수요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 프란치스코 2016.09.14 142
1056 참행복 -주님과 우정의 사랑-2022.6.4.부활 제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6.04 141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