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3.18. 사순 제5주간 금요일                                                                       예레20,10-13 요한10,31-42


                                                                 시련중의 인간,  품위의 인간


‘인간답게’보다 ‘하느님의 자녀답게’가 더 구체적입니다. 참 불가사의한 인생살이입니다. 하느님만이 아시는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삶입니다. 사람들이 대부분 과거를 미화하지만 그 당시로 돌아가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문제있는 삶임을 깨달을 것입니다. 


제 지난 삶을 들여다봐도 늘 목말랐고 힘들었다 생각됩니다. 결론하여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지금 여기서 새롭게, 행복하게 살자는 것입니다. 지금 여기서 못살면 앞으로도 못삽니다. 시련중의 삶입니다. 수도생활의 수련기처럼 우리의 전 삶이 수련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시련試鍊과 수련修鍊의 삶중에도 인간 품위를 잃지 않고, 평정심平靜心을 지니고 사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득 생각나는 것이 고백성사 보속의 처방전 말씀으로 가장 많이 써드리는 바오로 사도의 다음 구절입니다.


“항상 기뻐하십시오. 늘 기도하십시오. 어떤 처지에서든지 감사하십시오.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를 통해서 여러분에게 보여주신 하느님의 뜻입니다.”(1테살5,16-18).


편안한 환경에서가 아닌 바오로가 옥중에서 써보낸 서간에 나오는 말씀입니다. 생사의 갈림길의 시련중에도 내적자유內的自由를 누린 바오로 사도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독서의 예레미야나 복음의 예수님의 시련이 참으로 위태하게 느껴집니다. 두분 다 사면초가의 상황안에서 고군분투하는 모습입니다.


“저기 마고르 미싸빕이 지나간다.”

예레미야를 보고 외치는 군중입니다. 완전히 왕따된 예레미야의 곤궁한 처지입니다. 예레미야가 자주 ‘마고르 미싸빕’, 곧 ‘사방에서 공포가!’를 외쳤기에 사람들이 아예 그에게 이 표현을 별명으로 붙여주었을 것이라 합니다. 늘 두려움과 불안에 에워싸여 살았던 예언자임이 분명합니다. 


“그러나 주님께서 힘센 용사처럼 제 곁에 계시니, 저를 박해하는 자들이 비틀거리고 우세하지 못하리이다.”


굳센 믿음으로 어려움을 돌파해갔던 ‘품위의 사람’ 예레미야요, 그의 품위가 더없이 빛나는 것은 마지막 구절의 그의 하느님 찬양입니다.


“주님께 노래 불러라! 주님을 찬양하여라! 그분께서 가난한 이들의 목숨을 악인들의 손에서 건지셨다.”


바빌론 유배중, 불타오르는 불가마 속에서 주님을 찬미했던 유대의 세청년들처럼 주님께 찬양을 바치는 예언자입니다. ‘그래서’가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바치는 하느님 찬양이 우리를 지켜 줍니다. 두려움을 몰아내고 하느님의 자녀로서의 인간 품위를 회복해 주니 이 또한 주님의 은총입니다. 


생명보다 더 중요한 하느님 찬미입니다. 이 생명 다하도록 주님 영광을 찬양함이 우리 삶의 유일한 목표이자 의미입니다. 다음 화답송 시편 첫부분의 찬미도 예레미야의 고백처럼 느껴집니다. 역시 자주 써드리는 고백성사 보속의 처방전 말씀 중 하나입니다.


“저의 힘이신 주님, 당신을 사랑하나이다. 주님은 저의 반석, 저의 산성, 저의 구원자시옵니다.”(시편18,1-2ㄱ)


예언자들은 물론 예수님 역시 시편의 기도를 늘 생활화했으리라 생각됩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의 곤궁한 처지 역시 예레미야와 똑같습니다. 우리 역시 깨어 있지 않으면 오늘 복음의 유다인처럼 종교적 근본주의자가 될 수 있음을 직시해야 합니다. 이런 곤경속에서 예수님을 지킨 것은 하느님의 아들로서의 신원의식이었습니다.


“내가 아버지의 일을 하고 있지 않다면 나를 믿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내가 그 일들을 하고 있다면, 나를 믿지 않더라도 그 일들은 믿어라. 그러면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고, 내가 아버지 안에 있다는 것을 너희가 깨달아 알게 될 것이다.”


적대적인 유다인들에게 주시는 말씀이 마치 오늘의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 같습니다. 아버지와 일치되어 사신 예수님의 신원이 확연히 드러납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파스카의 예수님은 아버지와 하나 되어 아버지의 일을 하고 계시니 그중 가장 큰 일이 이 거룩한 미사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어떤 어려움 중에도 찬양과 감사의 삶에 항구할 수 있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9 후회하지 않는 삶 -아름다운 삶, 아름다운 죽음-2017.4.9. 주님 수난 성지 주일 프란치스코 2017.04.09 231
828 남북평화통일 -화해와 일치의 중심이신 파스카의 예수님-2017.4.8. 사순 제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8 93
827 어둠을 밝히는 빛 -무지의 어둠, 주님의 빛-2017.4.7. 사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7 135
826 예수님은 누구인가? -‘영원한 현재’이신 분-2017.4.6. 사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6 138
825 자유의 여정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2017.4.5. 사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5 163
824 회개와 구원의 표지 -십자가와 부활의 예수님-2017.4.4. 사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4 114
823 자비와 지혜는 하나다 -늘 새로운 출발-2017.4.3. 사순 제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3 104
822 부활이요 생명이신 예수님 -허무虛無가 아닌 충만充滿한 삶-2017.4.2. 사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17.04.02 168
821 예언자적 삶 -하느님과 이웃에 활짝 열린 삶-2017.4.1. 사순 제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04.01 107
820 누가 악인惡人인가? -악에 눈먼 무지의 사람-2017.3.31. 사순 제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3.31 148
819 누가 좋은 지도자인가? -기도하는 사람, 겸손한 사람, 지혜로운 사람, 섬기는 사람, 담대한 사람-2017.3.30. 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3.30 169
818 사랑의 일치, 사랑의 치유 -지금이 바로 그때다-2017.3.29. 사순 제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3.29 143
817 영원한 꿈, 영원한 비전 -생명수의 강-2017.3.28. 사순 제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3.28 151
816 유토피아의 꿈 -새 하늘과 새 땅-2016.3.27. 사순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03.27 114
815 빛의 자녀답게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2017.3.26. 사순 제4주일 사무상16,1ㄱㄹㅁㅂ.6-7.10-13ㄴ 에페5,8-14 요한9,1-41 프란치스코 2017.03.26 182
814 우리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주님의 뜻을 이루는 것-2017.3.25. 토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03.25 203
813 시인詩人이 되고 싶습니까? -사랑하십시오-2017.3.24. 사순 제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3.24 104
812 온전한 삶 -침묵, 들음, 순종, 겸손-2017.3.23. 사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3.23 126
811 사랑이 답이다 -율법의 완성은 사랑-2017.3.22. 사순 제3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3.22 137
810 하느님의 벗이 되고 싶습니까? -주님과의 우정友情을 날로 깊게 합시다-2017.3.21. 화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480-547) 별세 축일 프란치스코 2017.03.21 214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