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3.29. 부활 팔일 축제내 화요일                                                                   사도2,36-41 요한20,11-18


                                                                “제가 주님을 뵈었습니다.”

                                                                  -주님과의 만남과 회개-


오늘 복음 말미의 마리아 막달레나의 “제가 주님을 뵈었습니다.”라는 기쁨 가득한 고백이 참 아름다워 강론 제목으로 택했습니다. 저도 봄빛 따사로운 어제 엠마오 산보날에 부활하신 주님을 뵈었습니다. 주님을 뵙고 다음과 같은 기도시를 드렸습니다.


-봄햇살같은/임의 사랑이다

 세월흘러/나이들어도


 몸은/아름드리/나무같았으면 좋겠다

 영혼은/초롱초롱 빛나는/별같았으면 좋겠다


 정신은/연초록 빛나는/봄잎같았으면 좋겠다

 마음은/화사한 사랑으로 피어나는/봄꽃같았으면 좋겠다


 임 사랑으로

 늘/그랬으면 좋겠다-


참 행복은 주님과의,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에 있습니다. 주님을 만날 때 회개입니다. 저절로 주님을 만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을 찾을 때 주님을 만나 회개입니다.-


“여인아, 왜 우느냐? 누구를 찾느냐?”


주님은 당신을 애타게 찾는 마리아를 향해 묻습니다. '누구를 찾느냐?' 마리아뿐 아니라 우리 모두를 향한 물음입니다. 평생 끊임없이 찾아야 할 주님입니다. 주님을 찾는 일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없습니다. 슬픔에 눈이 가려 부활하신 주님을 알아보지 못하는 마리아입니다. 다음 주님과 만남의 순간이 감동적입니다. 오늘 복음의 핵심 대목입니다.


-예수님께서 “마리아야!”하고 부르시자 마리아는 돌아서서 히브리 말로 “라뿌니!”하고 불렀다. 이는 “스승님!”이라는 뜻이다.-


귀가 가려, 눈이 가려, 주님의 말씀을 듣지 못하고, 주님의 얼굴을 뵙지 못하는 경우는 얼마나 많겠는지요. 그러나 목자이신 주님께서 “마리아!”하고 부르시는  순간 귀가 열렸고 돌아서서 “라뿌니!”하고 대답합니다. 


참사랑과 참사랑의 만남입니다. 순수한 마음과 순수한 마음의 만남입니다. 결론하여 참스승과 참제자의 만남입니다. 주님을 만날 때 은총의 선물이 기쁨과 평화, 위로와 치유입니다. 믿는 이들의 영원한 모델이 마리아 막달레나입니다. 오매불망 꿈에 그리던 주님을 만나는 순간입니다. 그대로 마리아에겐 평생 잊지 못할 구원의 체험이었을 것입니다. 


“돌아서다.”란 말이 의미하는바 회개입니다. 주님을 향한 방향전환이 회개입니다. 주님의 부르심에 돌아서서 “라뿌니!”하고 대답하는 순간이 바로 회개입니다. 회개역시 은총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을 간절히 찾을 때 깨어있게 되고 마음의 귀가 열려 부르시는 주님의 음성을 듣습니다.


“제가 주님을 뵈었습니다.”


주님을 만난 마리아 막달레나가 제자들에게 전한 감격에 벅찬 고백이자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부활하신 주님을 만난 우리의 은혜로운 고백입니다. 어제의 마태복음에 이은  오늘 요한복음에서 부활하신 주님의 ‘내 형제들’이란 말마디 역시 정답게 마음에 와닿습니다. 당신을 따르는 제자들을 통칭하여 ‘내 형제들’이라 부르니 우리 또한 주님의 형제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제1독서 사도행전 역시 베드로를 통해 부활하신 주님을 만난 유다인들의 이야기입니다. 베드로의 오순절 설교를 들은 유다인들은 마음이 꿰찔리듯 아파하며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묻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우리 역시 주님을 향해 끊임없이 물어야 할 질문입니다.


“회개하십시오.”


역시 회개가 답입니다. 늘 새롭게 시작하는 회개의 여정이 우리 삶의 여정입니다. 회개할 때 깨끗한 마음에 주님의 용서와 더불어 참 좋은 선물인 성령도 받습니다. 그대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진정 회개한 우리들의 죄를 용서하시고 성령을 선물로 주시는 성체성사의 주님이십니다. 이어 베드로의 간곡한 당부 역시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여러분은 이 타락한 세대로부터 자신을 구원하십시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깨어 살게 하시며 이 타락한 세대로부터 구원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15 하느님 중심의 삶 -밝고, 맑고, 열린, 투명한 삶-2022.8.16.연중 제20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08.16 323
3014 하느님 중심의 삶 -믿음, 회개, 용서, 치유-2022.6.30.연중 제1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6.30 195
3013 하느님 중심의 삶 -무욕의 맑고 향기로운 섬김의 삶-2023.6.21.수요일 성 알로시오 곤자가 수도자(1568-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21 322
3012 하느님 중심의 삶 -메멘토 모리, 아모르 파티, 카르페 디엠-2023.3.8.사순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3.08 271
3011 하느님 중심의 삶 -내적 힘의 원천인 말씀과 믿음-2024.3.22.사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3.22 125
3010 하느님 중심의 삶 -내 삶의 성경 ‘렉시오 디비나’하기-2024.1.24.수요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1.24 145
3009 하느님 중심의 삶 -끊임없는 회개와 말씀의 실행-2021.9.11.연중 제2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9.11 212
3008 하느님 중심의 삶 -끊임없는 기도와 회개-2019.10.11.연중 제2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1 172
3007 하느님 중심의 삶 -기도와 회개, 믿음과 겸손, 자비와 지혜- “선택, 훈련, 습관”2023.8.8.화요일 성 도미니코 사제(1170-122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8.08 339
3006 하느님 중심의 삶 -기도와 사랑- 2021.1.6.주님 공현 대축일 후 수요일 ​​​​​​​ 1 프란치스코 2021.01.06 137
3005 하느님 중심의 삶 -관상과 활동의 조화-2019.1.16.연중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16 135
3004 하느님 중심의 삶 -관대, 평화, 겸손, 지혜-2022.2.23.수요일 성 폴리카르포 주교 순교자(+155/15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2.23 213
3003 하느님 중심의 삶 -겸손(信), 경청(望), 순종(愛)-2023.12.24. 대림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23.12.24 129
3002 하느님 중심의 삶 -“경청과 겸손, 순종의 삶”-2023.3.16.사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6 277
3001 하느님 중심의 삶 -‘제자리’에서 ‘제정신’으로 ‘제대로’의 삶-2022.1.24.월요일 성 프린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2.01.24 185
3000 하느님 중심의 삶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의 삶-2022.10.17.월요일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주교 순교자(+11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0.17 202
2999 하느님 중심의 삶 -"기도, 사랑, 지혜, 용기"-2022.1.5. 주님 공현 대축일 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05 161
2998 하느님 중심의 사랑의 삶 -진실, 겸손, 섬김-2022.8.20.토요일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1090-115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8.20 314
2997 하느님 중심의 사랑-하느님이 먼저다-2015.1.20. 연중 제2주간 화요일(뉴튼수도원 71일째) 프란치스코 2015.01.20 399
2996 하느님 중심의 믿음의 삶 -하느님의 나라-2020.10.9.연중 제2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0.09 113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