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4.11. 월요일 성 스타니슬라오 주교 순교자(1030-1079) 기념일 

                                                                                                                         사도6,8-15 요한6,22-29


                                                             영원한 생명의 양식


하느님의 말씀은 살아있고 힘이 있습니다. 시공을 초월하여 언제나 오늘 지금 우리를 향한 하느님의 말씀입니다. 오늘 예수님은 당신을 찾아 온 군중은 물론 미사에 참석한 우리 모두를 향해 말씀하십니다. 오늘 복음 후반부 말씀이 깊은 묵상자료이자 삶의 지침이 됩니다.


“너희는 썩어 없어질 양식을 얻으려고 힘쓰지 말고, 길이 남아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하는 양식을 얻으려고 힘써라.”


바로 여기가 갈림길입니다. 썩어 없어질 양식을 얻으려고 힘쓰는 아래에 속한 육적인 삶과,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하는 양식을 얻으려고 힘쓰는 위에 속한 영적인 삶입니다. 무엇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형성되는 삶의 꼴입니다. 


우리가 추구할 바는 단 하나, 영원한 생명을 누리게 하는 양식을 얻으려고 힘쓰는 삶입니다. 바로 이런 삶을 추구하는 자가 진정 수행자修行者요 구도자求道者입니다. 이미 지상에서 천상적 삶을 사는 이들입니다.


“그 양식은 사람의 아들이 너희에게 줄 것이다.”


우리의 근원적인 목마름을, 배고픔을 해결해 주실 분은 사람의 아들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뿐입니다. 영원한 생명을 우리에게 주실 분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 천명하신 주 예수 그리스도뿐입니다. 예수님 자체가 영원한 생명의 양식입니다.


하느님께서 당신 아드님을 통해 우리에게 주시는 참 좋은 선물이 영원한 생명이요 이 선물을 모시기 위해 이 거룩한 미사에 참석하고 있는 우리들입니다. 마지막으로 군중들과 예수님의 대화가 우리에게 깊은 깨달음을 줍니다.


“하느님의 일을 하려면 저희가 무슨 일을 해야 합니까?”

“하느님의 일은 그분께서 보내신 이를 너희가 믿는 것이다.”


오늘 복음의 결론 같은 말씀입니다. 주 예수 그리스도를 참으로 믿는 것이 하느님의 일이요 영원한 생명을 얻는 첩경이라는 것입니다. 믿음은 그대로 영원한 생명과 직결됨을 봅니다. 


예수님을 믿는 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예수님께, 복음에, 그분이 제시한 삶의 비전에, 전적이고 무조건적 위탁을 뜻하는 믿음이요, 이 모두를 내 삶의 일부로 만드는 믿음입니다. 예수님과 점차 깊어지는 관계의 믿음의 삶일 때, 우리가 하는 일은 모두가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하느님의 일이 됩니다. 


주님을 믿는 것이 하느님의 일이란 말씀이 참 고맙습니다. 평생 매일 끊임없이 바치는 미사와 성무일도의 공동전례를 일컬어 ‘하느님의 일(Opus Dei)’이라 합니다. 분도 성인도 “그 무엇도 하느님의 일보다 앞세우지 마라.” 말씀하셨습니다. 하느님의 일인 공동전례에 항구하고 충실함이 하느님의 일인 믿음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되는지 깨닫습니다. 


영원한 생명의 본보기가 바로 오늘 사도행전의 박해받는 스테파노요, 오늘 기념미사를 봉헌하는 순교자, 폴란드의 수호성인 성 스타니슬라오 주교입니다. 성인은 국왕의 불의와 폭정을 꾸짖었고 국왕은 반역죄를 덮어 씌워 미사를 봉헌하던 성인을 성당에서 끌어내어 살해했다 합니다. 미사 집전 중 살해된 로메로 대주교를 연상케 하는 장면입니다.


영원한 생명의 체험이, 믿음이 순교는 물론 순교적 삶에 항구하게 합니다. 두려움 없이, 누구에 대한 증오나 원망 없이 죽음을 맞이하게 합니다. 오늘 복음의 스테파노가 그 전형적 본보기입니다. 몇 사람이 스테파노와 논쟁을 벌였지만 그의 말에서 드러나는 지혜와 성령에 대항할 수가 없었다 합니다. 


스테파노에 대한 적대자들의 거짓 증언은 어찌 그리도 예수님께 대한 거짓 증언과 그렇게 닮았는 지요. 여전히 반복되는 역사같습니다. 오늘날 역시 난무하는 거짓 증언들이요 무수한 사람들이 순교적 삶을 살아갑니다. 영원한 생명에 대한 희망이, 체험이 없으면 참으로 견디기 힘든 현실입니다. 


“그의 얼굴은 천사의 얼굴처럼 보였다.”


마지막 스테파노에 대한 묘사가 인상적입니다. 그대로 주님과 믿음의 소통으로 영원한 생명으로 빛나는 얼굴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영원한 생명의 양식은 당신 말씀과 성체를 선사하시어 우리 모두 영원한 생명으로 빛나는 부활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행복하여라, 주님의 가르침을 따라 사는 이들!(시편119,1).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09 민심民心이 천심天心이다 -하느님을 두려워하라-2018.6.14. 연중 제10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6.14 155
1408 천형(天刑)이 천복(天福)으로 -나병의 치유-2017.6.30. 연중 제1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30 155
1407 참 좋은 하느님의 선물 -분별分別의 지혜, 무욕無慾의 지혜-2017.4.28. 부활 제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4.28 155
1406 가장 아름다운 섬-그래도-2016.12.6. 대림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12.06 155
1405 깨어있어라 -충실하고 슬기로운 삶-2016.8.25. 연중 제2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8.25 155
1404 충실하고 슬기로운 삶-2016.8.7. 연중 제19주일 프란치스코 2016.08.07 155
1403 부르심과 응답-나를 따라라-2016.7.1. 연중 제1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7.01 155
1402 ‘파스카의 꽃’같은 삶 -영원한 삶-2024.4.18.부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4.18 154
1401 “우연은 없다” -모두가 하느님의 섭리다-2024.3.23.사순 제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3.23 154
1400 나는 누구인가? -자기인식의 겸손과 지혜, 자유와 행복-2023.11.27.연중 제3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7 154
1399 예닮의 여정 -하느님의 자녀로서 자유로운 삶-2023.10.30.연중 제3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10.30 154
1398 주님과 우정友情의 여정旅程 -파스카의 믿음과 기쁨-2022.5.27.부활 제6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5.27 154
1397 늘 새로운 삶의 시작 -끝은 시작이다-2022.2.19.연중 제6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2.19 154
1396 우리의 행복은 선택입니다. -하느님 중심의 삶-2022.2.13.연중 제6주일 프란치스코 2022.02.13 154
1395 “에파타!”; “열려라!” -주님과의 만남; 마음의 귀, 마음의 입, 마음의 눈-2022.2.11.금요일 루르드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세계 병자의 날) 1 프란치스코 2022.02.11 154
1394 예닮의 여정 -만남, 회심, 변화, 선포-2022.1.25.화요일 성 바오로 사도의 회심 축일 1 프란치스코 2022.01.25 154
1393 “오소서, 주 예수님!” -배움, 치유(治癒), 닮음, 참나(眞我)-2021.12.4.대림 제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2.04 154
1392 하느님 중심의 삶 -성전과 기도-2021.9.24.연중 제2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9.24 154
1391 민족의 화해와 일치의 길 -기도, 회개, 용서-2021.6.25.금요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1 프란치스코 2021.06.25 154
1390 순교적 삶, 파스카의 삶, 정주의 삶 -한결같은 삶-2021.5.3.월요일 성 필립보와 성 야고보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5.03 154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