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4.12. 부활 제3주간 화요일                                                                          사도7,51-8,1ㄱ 요한6,30-35


                                                                          생명의 빵

                                                             -예수님은 여백餘白이시다-


어제 강론 제목은 ‘영원한 생명의 양식’이었고, 오늘 강론 제목은 ‘생명의 빵-예수님은 여백餘白이시다’입니다. 제목의 뜻도 어감도 좋습니다. 요즘 특이한 그러나 깊이 생각해야 할 것을 발견했습니다. 긍정적인 밝은 말마디의 중요성입니다. 성경 시편집들의 시가 세상의 시와 비교할 수 없이 좋은 것은 바로 긍정성에 있습니다. 대부분 생명과 빛, 희망으로 넘치는 찬미와 감사의 시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를 위로하고 치유하며 우리 영혼을 고양시켜 주님을 닮게 하는 시편입니다. 우리의 영적 감수성과 영적 탄력의 회복과 유지에 시편성무일도보다 더 좋은 것도 없습니다. 얼마전 어느 지인의 권고를 일거에 묵살했던 일이 생각납니다.


“신부님, 유명 시인의 시詩를 한 번 필사해 보시지요. 아주 시쓰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니 제가 이 나이에 왜 그 아까운 시간을 세상 시들을 위해 소모합니까? 참 좋은 하느님의 시편들을 끊임없이 노래하는데 왜 세상 시들을 필사합니까? 오히려 성서의 시편들을 필사하겠습니다.”


단숨에 거절했습니다. 참 잘했다 싶었고 지금도 이런 소신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그러니 평생 시편성무일도를 바치는 분도 수도자들은 시인이자 신비가가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시인과 신비가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바로 사랑입니다. 


끊임없는 시편성무일도를 통해 시편영성이 육화될 때 그대로 주님을 닮은 사랑의 시인, 사랑의 신비가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도의 교과서가 시편집이요 예수님을 비롯한 수많은 영성가, 성인들이 시편을 노래하면서 하늘나라에 들어가셨습니다. 긍정적이고 밝은 말마디의 중요성을 말하다 보니 강론 서두가 길어졌습니다. 


“나는 생명의 빵이다(I AM the bread of life)”


얼마나 긍정적이며 밝고 힘이 되는 말마디인지요. 여기서 택한 강론 제목이 ‘생명의 빵’입니다. 뜻이나 어감으로 봐도 이보다 더 좋은 말마디는 없습니다. 이 말씀을 묵상하면서 저는 토마스가 부활하신 주님을 뵈었을 때의 고백, “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요한20,28)을 이해했습니다. 


바로 ‘나는 생명의 빵이다’라는 말마디 안에 예수님이 하느님이심이 환히 계시되기 때문입니다. 바로 출애굽기에 계시된 하느님 이름이 ‘나다(I AM)’이고 영어로 쓰면 곧 이해가 됩니다. ‘나다(I AM)’에 이어지는 예수님의 고백은 얼마나 많은지요. 


‘나는 빛이다. 나는 문이다. 나는 진리다. 나는 생명이다. 나는 사랑이다. 나는 길이다. 나는 생명의 빵이다’ 예수님의 정체를 통해 예수님은 바로 하느님이시고 하느님은 무한한 사랑의 여백임을 깨닫습니다. 바로 예수님은 하느님이시자 ‘우리의 모두’이심을 깨닫습니다. 여백餘白, 여유餘裕, 여가餘暇, 여흥餘興의 ‘여餘’가 사라진 시대, ‘여백餘白의 주님’이란 말마디 역시 얼마나 우리를 넉넉하게 하는지요. 얼마전 써놓은 ‘하느님은 여백이시다’라는 자작시가 생각납니다.


-하느님은 여백餘白이시다/여백의 사랑이다

 여백의 아름다움이다/여백을 사랑한다

 하늘을/대지를/바라볼 때 마다

 텅 빈 충만의 여백의/하느님을 본다/읽는다

 여백의 제자리에 돌아오라/여백안에 머무르라

 텅 빈 충만의 행복이다-


‘텅 빈 충만充滿’의 여백이 바로 사랑의 하느님이심을 깨닫습니다. 우리 안에 여백을 많이 마련해야 하느님도 일하시기 좋습니다. 오늘 복음의 클라이 막스, 절정은 마지막 구절입니다.


“나는 생명의 빵이다. 나에게 오는 사람은 결코 배고프지 않을 것이며, 나를 믿는 사람은 결코 목마르지 않을 것이다.”(요한6,35).


우리의 근원적 배고픔과 목마름을 해결해 주실 분은 생명의 빵이신, 우리의 무한한 생명의 여백, 사랑의 여백이신 파스카의 예수님뿐입니다. ‘결코’란 말마디가 배고픔과 목마름의 유일한 해결책은 생명의 빵이신 주님뿐임을 증거합니다. 하여 매일 생명의 빵이신 주님을 모시는 미사가 그리도 은혜롭고 고마운 것입니다.


이런 생명의 빵, 파스카의 예수님을 닮아 갈수록 우리 또한 하느님의 생명의 여백, 사랑의 여백이 될 수 있습니다. 너그럽고 자비로울 수 있습니다. 넉넉하고 편안할 수 있습니다. 주님의 여백, ‘존재의 샘’에서 샘솟는 평화와 기쁨입니다. 이런 주님과 일치되었기에 스테파노의 감동적 순교입니다.


“주님, 제 영을 받아 주십시오.”

“주님, 이 죄를 저 사람들에게 돌리지 마십시오.”


그대로 예수님의 임종어를 닮은 스테파노의 감동적이 임종어, 최종 유언입니다. 예수님과 일치되어 ‘사랑의 여백’이 된 스테파노 였기에 이런 거룩하고 아름다운 임종어입니다. ‘순교의 피는 믿음의 씨앗’이란 말마디가 입증되는 장면입니다. 


‘그 증인들은 겉옷을 벗어 사울이라는 젊은이의 발 앞에 두었다. 사울은 스테파노릉 죽이는 일에 찬동하고 있었다.’ 


바로 이런 거룩한 임종 장면을 시종일관 지켜보면서 '보고 배운' 증인이 장차의 바오로 사도인 사울입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생명의 빵인 당신을 모심으로 당신과의 일치를 깊게 해 주시고, 우리의 근원적 배고픔과 목마름을 해결해 주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48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인가? -기도, 공부, 실행-2018.7.24. 연중 제1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4 94
2147 섬김의 여정 -섬김이 답이다-2018.7.25. 수요일 성 야고보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7.25 120
2146 깨달음의 여정旅庭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깨달음이다-2018.7.26. 목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부모 성 요아킴과 성 안나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7.26 125
2145 절망은 없다 -끊임없는 회개와 수행의 노력이 답이다-2018.7.27. 연중 제1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7 106
2144 가라지는 현실이다 -밀과 가라지의 공존-2018.7.28. 연중 제1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28 142
2143 부르심에 합당한 삶 -스토리와 내용이 있는 성체성사적 삶-2018.7.29. 연중 제17주일 2 프란치스코 2018.07.29 155
2142 훌륭하고 기품있는 삶 -하늘 나라 살기-2018.7.30. 연중 제17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30 153
2141 주님과의 관계가 답이다 -해처럼 빛나는 의인들의 삶-2018.7.31. 화요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1491-155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7.31 135
2140 참 보물, 참 행복의 발견 -하느님, 예수님, 하늘 나라-2018.8.1. 수요일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1696-178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01 103
2139 모두가 하느님 손안에 있다 -의연毅然히, 묵묵히默默히, 충실充實히, 항구恒久히-2018.8.2. 연중 제17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2 157
2138 무지無知의 병 -회개와 겸손이 약藥이다-2018.8.3. 연중 제1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3 134
2137 주님의 전사戰士 -삶은 전쟁이다-2018.8.4. 토요일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 사제(1786-1859)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04 119
2136 참 행복한 삶 -감사. 생명의 빵, 새 인간-2018.8.5. 연중 제18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8.05 129
2135 신비체험의 일상화 -주님과의 끊임없는 만남-2018.8.6. 월요일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8.06 166
2134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두려움에 대한 답은 예수님뿐이다-2018.8.7. 연중 제18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7 138
2133 영적 탄력 -믿음, 희망, 사랑-2018.8.8. 수요일 성 도미니코 사제(1170-122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08 137
2132 배움의 여정 -주님과 나, 그리고 이웃을 알아가는-2018.8.9. 연중 제18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09 142
2131 하느님 중심中心의 삶 -섬김, 따름, 나눔-2018.8.10. 금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8.10 118
2130 믿음의 여정 -믿음이 답이다-2018.8.11. 토요일 성녀 클라라 동정(1194-125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11 189
2129 행복한 성공적 광야 순례 여정의 삶 -기도, 사랑, 생명의 빵-2018.8.12. 연중 제19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8.12 177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