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4.12. 부활 제3주간 화요일                                                                          사도7,51-8,1ㄱ 요한6,30-35


                                                                          생명의 빵

                                                             -예수님은 여백餘白이시다-


어제 강론 제목은 ‘영원한 생명의 양식’이었고, 오늘 강론 제목은 ‘생명의 빵-예수님은 여백餘白이시다’입니다. 제목의 뜻도 어감도 좋습니다. 요즘 특이한 그러나 깊이 생각해야 할 것을 발견했습니다. 긍정적인 밝은 말마디의 중요성입니다. 성경 시편집들의 시가 세상의 시와 비교할 수 없이 좋은 것은 바로 긍정성에 있습니다. 대부분 생명과 빛, 희망으로 넘치는 찬미와 감사의 시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를 위로하고 치유하며 우리 영혼을 고양시켜 주님을 닮게 하는 시편입니다. 우리의 영적 감수성과 영적 탄력의 회복과 유지에 시편성무일도보다 더 좋은 것도 없습니다. 얼마전 어느 지인의 권고를 일거에 묵살했던 일이 생각납니다.


“신부님, 유명 시인의 시詩를 한 번 필사해 보시지요. 아주 시쓰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니 제가 이 나이에 왜 그 아까운 시간을 세상 시들을 위해 소모합니까? 참 좋은 하느님의 시편들을 끊임없이 노래하는데 왜 세상 시들을 필사합니까? 오히려 성서의 시편들을 필사하겠습니다.”


단숨에 거절했습니다. 참 잘했다 싶었고 지금도 이런 소신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그러니 평생 시편성무일도를 바치는 분도 수도자들은 시인이자 신비가가 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시인과 신비가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바로 사랑입니다. 


끊임없는 시편성무일도를 통해 시편영성이 육화될 때 그대로 주님을 닮은 사랑의 시인, 사랑의 신비가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도의 교과서가 시편집이요 예수님을 비롯한 수많은 영성가, 성인들이 시편을 노래하면서 하늘나라에 들어가셨습니다. 긍정적이고 밝은 말마디의 중요성을 말하다 보니 강론 서두가 길어졌습니다. 


“나는 생명의 빵이다(I AM the bread of life)”


얼마나 긍정적이며 밝고 힘이 되는 말마디인지요. 여기서 택한 강론 제목이 ‘생명의 빵’입니다. 뜻이나 어감으로 봐도 이보다 더 좋은 말마디는 없습니다. 이 말씀을 묵상하면서 저는 토마스가 부활하신 주님을 뵈었을 때의 고백, “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요한20,28)을 이해했습니다. 


바로 ‘나는 생명의 빵이다’라는 말마디 안에 예수님이 하느님이심이 환히 계시되기 때문입니다. 바로 출애굽기에 계시된 하느님 이름이 ‘나다(I AM)’이고 영어로 쓰면 곧 이해가 됩니다. ‘나다(I AM)’에 이어지는 예수님의 고백은 얼마나 많은지요. 


‘나는 빛이다. 나는 문이다. 나는 진리다. 나는 생명이다. 나는 사랑이다. 나는 길이다. 나는 생명의 빵이다’ 예수님의 정체를 통해 예수님은 바로 하느님이시고 하느님은 무한한 사랑의 여백임을 깨닫습니다. 바로 예수님은 하느님이시자 ‘우리의 모두’이심을 깨닫습니다. 여백餘白, 여유餘裕, 여가餘暇, 여흥餘興의 ‘여餘’가 사라진 시대, ‘여백餘白의 주님’이란 말마디 역시 얼마나 우리를 넉넉하게 하는지요. 얼마전 써놓은 ‘하느님은 여백이시다’라는 자작시가 생각납니다.


-하느님은 여백餘白이시다/여백의 사랑이다

 여백의 아름다움이다/여백을 사랑한다

 하늘을/대지를/바라볼 때 마다

 텅 빈 충만의 여백의/하느님을 본다/읽는다

 여백의 제자리에 돌아오라/여백안에 머무르라

 텅 빈 충만의 행복이다-


‘텅 빈 충만充滿’의 여백이 바로 사랑의 하느님이심을 깨닫습니다. 우리 안에 여백을 많이 마련해야 하느님도 일하시기 좋습니다. 오늘 복음의 클라이 막스, 절정은 마지막 구절입니다.


“나는 생명의 빵이다. 나에게 오는 사람은 결코 배고프지 않을 것이며, 나를 믿는 사람은 결코 목마르지 않을 것이다.”(요한6,35).


우리의 근원적 배고픔과 목마름을 해결해 주실 분은 생명의 빵이신, 우리의 무한한 생명의 여백, 사랑의 여백이신 파스카의 예수님뿐입니다. ‘결코’란 말마디가 배고픔과 목마름의 유일한 해결책은 생명의 빵이신 주님뿐임을 증거합니다. 하여 매일 생명의 빵이신 주님을 모시는 미사가 그리도 은혜롭고 고마운 것입니다.


이런 생명의 빵, 파스카의 예수님을 닮아 갈수록 우리 또한 하느님의 생명의 여백, 사랑의 여백이 될 수 있습니다. 너그럽고 자비로울 수 있습니다. 넉넉하고 편안할 수 있습니다. 주님의 여백, ‘존재의 샘’에서 샘솟는 평화와 기쁨입니다. 이런 주님과 일치되었기에 스테파노의 감동적 순교입니다.


“주님, 제 영을 받아 주십시오.”

“주님, 이 죄를 저 사람들에게 돌리지 마십시오.”


그대로 예수님의 임종어를 닮은 스테파노의 감동적이 임종어, 최종 유언입니다. 예수님과 일치되어 ‘사랑의 여백’이 된 스테파노 였기에 이런 거룩하고 아름다운 임종어입니다. ‘순교의 피는 믿음의 씨앗’이란 말마디가 입증되는 장면입니다. 


‘그 증인들은 겉옷을 벗어 사울이라는 젊은이의 발 앞에 두었다. 사울은 스테파노릉 죽이는 일에 찬동하고 있었다.’ 


바로 이런 거룩한 임종 장면을 시종일관 지켜보면서 '보고 배운' 증인이 장차의 바오로 사도인 사울입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생명의 빵인 당신을 모심으로 당신과의 일치를 깊게 해 주시고, 우리의 근원적 배고픔과 목마름을 해결해 주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54 예수님 중심의 참가족 교회 공동체 -기도, 말씀, 회개, 성체,-2020.11.21.토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21 112
2153 성전 정화 -삶의 중심, 기도와 말씀의 집, 사랑과 평화의 집-2020.11.20.연중 제3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0.11.20 172
2152 주님 환대의 기쁨과 평화 -회개, 환대, 찬미-2020.11.19.연중 제33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19 126
2151 주님의 착하고 성실한 종의 삶 -전례와 삶-2020.11.18.연중 제3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18 157
2150 죄인에서 성인으로의 참 아름다운 구원의 삶 -환대와 회개, 자기인식-2020.11.17.화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7 153
2149 개안開眼의 여정 -주님과의 끊임없는 만남-2020.11.16.월요일 성녀 제르투르다(1256-1302) 동정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6 115
2148 지상 천국天國의 삶 -착하고 성실한 삶;사랑, 지혜, 깨어있음, 책임-2020.11.15.연중 제33주일(세계 가난한 이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11.15 104
2147 진리의 협력자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 사랑의 환대-2020.11.14.연중 제3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14 101
2146 품위있고 행복한 삶과 죽음 -기도와 회개, 깨어있음의 은총-2020.11.13.연중 제3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0.11.13 109
2145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오늘 지금 여기-2020.11.12.목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1580-162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2 85
2144 최후 심판 -성덕의 잣대이자 심판의 잣대는 사랑-2020.11.11.수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317-397)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1.11 150
2143 믿는 이들 삶의 등정登頂; 겸손과 사랑, 인내, 한결같음-2020.11.10.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0 97
2142 성전 정화 -우리 하나하나도 옹달샘 성전이다-2020.11.9.월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1.09 93
2141 깨어 있는 삶, 슬기로운 삶 -주님과 우정의 사랑을 날로 깊이 하는 삶-2020.11.8.연중 제32주일(평신도 주일) 1 프란치스코 2020.11.08 124
2140 참 행복한 자유인 -그리스도 중심의 신망애와 찬미와 감사의 삶-2020.11.7.연중 제3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07 99
2139 슬기롭고 충실한 주님의 집사-하늘의 시민 -2020.11.6.연중 제31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06 113
2138 하느님의 기쁨 -회개하는 죄인 한 사람-2020.11.5.연중 제3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05 136
2137 예수님을 사랑하고 따르는 제자들 -예수님 공부, 예수님 살기, 예수님 닮기-2020.11.4.수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04 142
2136 자기 비움의 여정 -사랑과 지혜, 겸손과 자유-2020.11.3.연중 제3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03 103
2135 아름답고 행복한 삶 -신뢰, 순종, 감사, 환대-2020.11.2.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11.02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